이철호 논설위원은 “요즘 일본의 행보가 신경질적으로 변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감정적으로 대응할 일이 아니다”라며 “우리 스스로 ‘일본 우경화=제국주의’라는 도식적 판단에 사로잡혀 있는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은 이라크에 자위대 500여 명을 파견했을 때 헌법 9조 해석과 자위대법에 묶여 자체방어조차 못한 나라”라며 “일본 우경화를 과장되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아베의 돌출행동은 다분히 국내 정치용이다. 아베의 한·일 정상회담 구애에 언제까지 손사래를 칠 일이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오히려 기습적으로 응하는 것도 방법이다. 쓸데없이 경제보복이나 염한(厭韓) 정서를 자극하는 것은 자해행위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기업의 이해관계를 여과없이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평가는 후세 역사가에게 맡기고 기필코 (한·일)국교 정상화를 해야겠다’고 했다. 당시 반대 시위에 앞장섰던 이명박 전 대통령도 말년에는 완전 딴판으로 변했다. 이게 현실이다. 어느 때보다 감정을 접고 차분하게 한·일 관계를 관리해야 할 때”라며 “더 많은 냉철한 친일파를 주문한 김구 선생의 말씀을 다시 한 번 음미해 보았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이철호 논설위원의 칼럼과 관련, 중앙일보의 한 관계자는 “며칠 전에도 글에서 친親삼성이 너무 심하다며 내부 기자들 사이에서 비판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13일 <삼성전자와 현대사 교과서>란 칼럼에서 “(삼성전자가) 여기까지 오기에는 이병철 회장의 집념과 박정희 대통령의 과감한 규제완화가 밑거름이 됐다”고 주장한 뒤 “(한국사회에서) ‘재벌’ ‘외국자본’ ‘경쟁’에 대한 거부감은 더 짙어가는 느낌이다. 과연 오늘 삼성전자를 세우려 했다면 가능했을까. 국회 청문회에 불려나가 얻어터졌을지 모른다”라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