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해외뉴스
 
작성일 : 15-02-12 06:27
[미국] 국가별 평균 소득순위 (Gallup)
 글쓴이 : abcd2014
조회 : 18,521  


jedu48c0d0oyrzdw5dupaq.png

li6fmf84xkmhuqxkg-wa_a.png



국가별 평균 가족 소득  (Gallup)


Worldwide, Median Household Income About $10,000

WASHINGTON, D.C. -- The median annual household income worldwide is $9,733, and the median per-capita household income is $2,920, according to new Gallup metrics. Vast differences between mor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and those with developing or transitional economies illustrate how dramatically spending power varies worldwide. Median per-capita incomes in the top 10 wealthiest populations are more than 50 times those in the 10 poorest populations, all of which are in sub-Saharan Africa.

각 국가당 2,000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물어봐서 얻어 낸 자료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소득순위를 볼수있는자료...아주 정확한 자료는 아니지만,.상당히 정확하다는 가정하에
우리가 알고 있는 전세계의 모든 국가들의 1인당 국민 소득값과 실제 체감 소득은 큰차이가 있다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http://www.gallup.com/poll/166211/worldwide-median-household-income-000.aspx



2015-02-12 06;26;51.JPEG




번역:abcd2014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골룸옵퐈 15-02-12 20:19
   
중국은 한국의 1/10 수준이군요, 중국이 발전하고는 있지만 나라가 부강해질 뿐 여전히 99%의 국민들은 궁핍한 듯.
병큰 15-02-13 01:36
   
맞벌이 가정이 많으므로 한국이 수치가 높다고 생각됩니다
     
관성의법칙 15-02-13 13:52
   
실제로는 한국은 선진국들에 비해 맞벌이비율이 낮음..

선진국 경제클럽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을 보면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이 60~80% 선에 이른다. 따라서 맞벌이 가구의 비율도 50~70% 선을 웃돌고 있다. 한국펀드평가 우재룡 사장은 “선진국들은 물가가 비싸기 때문에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가계생활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 “한국도 사회구조가 선진국형으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
다른 선진국들의 맞벌이 비율이 50~70%...

한국은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1575920
43%
     
KNVB 15-02-15 12:46
   
우리나라는 아직도 여성인력 활용이 지지부진한 편이죠. 물론 최근 들어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는 추세니까 달라지겠지만, 유럽에 비하면 여전히 맞벌이 비중이 낮습니다. 그리고, 여성의 급여도 남성에 비하면 낮은 편이죠.
          
진짜사나이 15-02-15 15:57
   
여성인력 활용만 잘해도 진짜
     
nuntingzap 15-03-22 02:35
   
한국 여성 취업 안하는걸로 유명한데 무슨 맞벌이 ㅉㅉ
꺼져쉐꺄 15-02-13 16:27
   
중국이 20~30년후에는 가장 잘사는 나라가 될거라고 조선족이나 중국애들이 말하더니만...

그냥 상위 1% 애들  몇 십? 백 몇?만명? 정도만 잘사는거고

나머지 99.9999% 애들은... 절대빈곤이군요 ㅋㅋ

중국인들이 평균적으로 잘 살기 위해서는  지구가 1개더 있어야 한다던데

역시 개소리였군요

우리보다 한~~~~참 못사네요
     
KNVB 15-02-15 12:48
   
그냥 한국인에게 얕보이지 않기 위한 큰소리죠. 공사판 막노동하던 조선족이 요새 중국 잘 산다면서 무시하지 마라라고 얘기했는데, 한국 노동자가 그렇게 중국이 좋으면 거기서 일하지 왜 멀리 한국까지 일하러 왔냐고 물으니까 대답이 없더라능.
살척한혐 15-02-13 20:49
   
맞벌이 부부보다는 아들 딸이 직장에 다녀도 결혼전까지 분가하지 않는 경우가 한국에 많기때문이 아닐까 하네요
     
관성의법칙 15-02-13 22:58
   
너무 갔다 붙인 느낌..ㅡㅡ;;;
vvv2013vvv 15-02-13 23:33
   
5위와 6위는 정말 4차원 안드로메다 넘사벽 차이네요
미국보다 높은 나라들은 사이즈가 작아서 사실상 미국이 짱짱맨ㄷㄷ
그밖에 상위권 국가들도 마찬가지인데 한국의 순위가 인상적이네요
언제 저렇게 올랐대
쉰대가리 15-02-15 14:18
   
이런거 볼때면 참 나빼고 다들 잘사는구나 싶네...나만 어려운가.....
anka63 15-02-15 17:09
   
잘 봤습니다.
곽단 15-02-16 00:29
   
어디서 조사한건진 모르지만...
ㅈㄹ하고 자빠졌네.
aeon 15-02-16 04:33
   
갤럽이라 적혀 있거늘...
초콜렛 15-02-21 14:25
   
나름 괜찮은 직장 다니는 한국인으로서, 노르웨이 출장가면 우린 너무 흥청망청 살고 있지 않나 싶어 반성하게 됩니다. 워낙 물가가 살인적이기도 하지만, 걔들 공무원들 점심은 거의 집에서 싸온 도시락이더라구요. 그리고, 선진국일수록 맞벌이 비중은 높고 가처분 소득은 줄어드는게 아닌가 싶어요. 제가 아는 미국 교수님(한국 사람임)도 자기네 과에 교수 10명인데 맞벌이 안하는 사람은 자기네 집밖에 없다고...ㅎㅎ 그런데, 그게 먹고 살기 힘들어서는 아니고 차 2대 이상 굴리는 생활유지하려면 어쩔 수 없다는...
JJUN 15-02-27 13:52
   
다른건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과소비 혹은 문화생활비용이 타국가에 비해 엄청나게 높습니다.

우리나라 살기 힘들다 어렵다 그러는데
외국인들과 우리나라의 소비실태 정말 다릅니다.

술값만 해도 수십배에 이르르며 외식비용은 말할것도 없습니다.
우리나라만큼 극장 많이 가는 나라도 없으며
회식 또한 우리나라만큼 많이 하는 곳도 없습니다(술을 먹든 그냥 식사만 하러 가든 뭐든간에)

더 웃긴거는 기름값은 엄청 비싸고 대중교통은 매우 저렴한편인데도
차는 다들 한대 이상씩 가지고 있습니다.

그뿐인가요? 자녀들 사교육비용으로 외국에 비해서 수십배 지출하는것이 우리나라입니다.

결혼하는데 최소 몇천만원
집구하는데 최소 1억(전세)
반지는 다이아가 필수

평일이든 주말이든 교외 나가보셨나요?
사람 미어터집니다.
주말은 당일 팬션 잡으려면 10군데중 9군데는 방이 없습니다.(뭐 발품 팔아서 열심히 찾으면 나오긴 나옵니다만)

이것 외에도 과소비라 판단되는 것들이 부지기수입니다.
그런데도 생활이 되는거보면 참 신기한 대한민국이죠.
정말 힘든것 맞는지 의심스러울뿐.....

외국은 안그러냐고 물어보신다면

네. 안그럽니다.

하고싶은 말은
한국의 과소비문화를 지적하기 보다는
문화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것이죠.

이 말인즉슨, 그만큼 사람들 눈이 높아졌다는 얘기죠.
전세계 약 200여개국가중 이렇게 소비하면서 우리 나라는 좋은 나라야라고 말 할 수 있는 국가가 몇이나 될까요?
maruchi 15-03-26 16:00
   
오천만 먹여살리기도 이리 빡센데, 십오억이 우리나라 수준되려면, 차라리 세계통일이 더 빠를듯.
가생이닷흐 15-03-28 20:21
   
이거 너무 오류가 많아요.
     
마리치 15-06-06 00:19
   
당신 머리도 그렇지요
 
 
Total 2,03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해외뉴스 게시판입니다. (7) 가생이 11-16 150658
2033 [기타] 혁신적인 한국의 인공태양 cjcjsflgid 06-07 1887
2032 [기타] 해외에선 특별한 한국 음식 cjcjsflgid 06-07 871
2031 [기타] 한국, 음쓰 재활용 챔피언! (1) cjcjsflgid 06-07 677
2030 [일본] [JP]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위 연발...U-22 일본 대표 스탭에게 주… (1) 김불빛 10-02 10559
2029 [일본] 3월 23일] 일본판 대학 랭킹 2023 - 高校生新聞 (15) 드슈 03-23 17347
2028 [일본] 3년 만에 행동제한 풀린 새해 전날 풍경. (3) 드슈 12-31 12813
2027 [일본] 급식대란] 물가상승으로 급식 현장은 한계에 이르러. (13) 드슈 12-23 16318
2026 [일본] 일본폭설] 사망6명, 중상19명, 관련 조사중 사망자 7명. (4) 드슈 12-23 9776
2025 [일본] 부등교 24만, 부등교를 아시나요? (5) 드슈 12-11 8821
2024 [일본] 10월 경상수지, 641억엔 적자 (6) 드슈 12-08 5361
2023 [일본] 통일교 피해자 구제 법안, 중의원을 통과 드슈 12-08 4543
2022 [일본] 화제) 핀잔하는 80대 노인을 내동댕이 친 남자 체포 (7) 드슈 12-02 5057
2021 [일본] 신임 총무대신에 마츠모토 다케아키 (1) 드슈 11-21 5136
2020 [일본] 키시다 내각, 정권발족이래 최저 지지율 30.5% (3) 드슈 11-21 1877
2019 [일본] 방위비 증액 재원, 법인세 증세로 기울다. (4) 드슈 11-17 4742
2018 [일본] 게이세이(京成) 전철 탈선 드슈 11-17 1998
2017 [일본] 신형 코로나 감염자 급속 증가 드슈 11-15 4962
2016 [일본] 키시다 내각 "대신들의 사임 도미노" (1) 드슈 11-15 1584
2015 [일본] 키시다 총리, 미-중-러 참가 회의에서 중국을 지목 비판 (1) 드슈 11-14 3999
2014 [일본] 고등학교 입시, 영어 스피킹 테스트 보호자들이 중지 호소 (2) 드슈 11-09 2061
2013 [일본] 【여론조사】키시다 내각의 지지율 36% '최저' 마침내 3… (3) 드슈 11-07 4377
2012 [영국] 미스테리한 미이라의 조상을 알게되다 (6) 다잇글힘 11-16 31937
2011 [영국] 성서에 나오는 소돔의 멸망은 실제? "요르단 계곡에서 운석 폭… (60) 다잇글힘 11-07 29040
2010 [영국] (논쟁) Gain of Function by 네이쳐 (1) 다잇글힘 11-05 10980
2009 [중국] ‘中 부총리 성폭행’ 폭로 뒤엔 권력 암투? 시진핑의 숙청설 … (13) 즐겁다 11-04 3433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