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2-12 15:47
[기타] 조선의 첨단 극장 연경당
 글쓴이 : shrekandy
조회 : 3,222  


한국또한 탈춤과 같이 여러 공연 문화가 있었지만 극장이 있었나는 의문이였는데

없던건 아니네요. 

조선 창덕궁의 건물인 연경당은 사실 왕실 전용 극장이였습니다. 

밑엔 극장으로 쓰인 연경당의 사진입니다. 그리고 설명도...


극장 3.PNG

츤테옥춘이란 작품을 공연하는 모습이라 합니다. 
극장 2.PNG

극장 1.PNG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nZ5&articleno=6025887



사진실-김봉렬-윤정섭 교수 건축학적 비밀 풀어

 

“창덕궁 연경당(演慶堂)은 살림집이 아니라 치밀하게 구성된 조선시대의 대표적 왕실 전용 극장이었다.”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창덕궁 연경당(1827년 창건)의 건축적 비밀이 풀렸다.

 

전 통 공연예술사학자인 사진실 중앙대 교수, 건축사학자인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무대미술 연구자인 윤정섭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최근 ‘전통예술무대 양식화 심포지엄’에 발표한 논문 ‘순조 대(純祖 代) 연경당의 복원 연구’를 통해 연경당의 특징과 구조에 관해 새로운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연경당의 건축적 특징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밝혀낸 것으로, 연경당의 실체를 둘러싼 논란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 연경당에 얽힌 비밀들

 

연경당은 순조 때인 1827년 효명세자(1809∼1830)가 창덕궁 후원에 창건한 건물. 이듬해 어머니인 순원왕후의 생일 축하 진작(進爵·경축 행사 때 왕과 왕비에게 술잔을 올리는 의식) 행사와 각종 정재(呈才·궁중 행사용 춤과 노래) 공연이 거행됐다. 경축(慶祝)행사를 연행(演行)한다는 의미에서 연경(演慶)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세기 각종 의식을 거행했던 곳이지만 연경당이 궁궐 건물로는 예외적으로 살림집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의문을 자아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는 모두 정전(正殿)과 같은 공식 집무 공간에서 열렸는데 왜 하필 살림집에서 궁중 연회가 열렸을까’ 하는 의문이었다.

 

“왕과 왕비가 신하들의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 사대부 주택을 모방해 지었다” “대군이나 공주의 궁궐 밖 거처를 옮겨놓은 것”이라는 추측까지 나왔다. 특히 국보 249호 ‘동궐도’(1820년대 제작된 창덕궁 창경궁 그림)에 나오는 연경당(ㄷ자형)과 지금의 연경당이 서로 달라 연구자들은 더욱 혼란스러웠다. 최근 연경당에서 궁중 연회 재현 행사가 열리기도 했지만 왜 이곳에서 연회가 열려야 하는지 등 그 실체에 대한 의문은 여전했다.

 

○ 연경당은 완벽한 구조의 전용 극장

 

사교수 등 세 명의 연구자는 ‘동궐도’와 의궤(각종 왕실 행사를 그림으로 표현한 책) 등 19세기 자료와 현존 연경당의 구조를 검토해 연경당의 건축적 특성, 극장으로서의 구조, 무대 미술과 공간 운영의 원리를 밝혀냈다. 


그 결론은

 ‘ㄷ자 본채는 객석이 되고 마당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무대로 활용되는 전용 극장 건축이라는 것. 사 교수 등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다.

 

△ 동궐도 속 연경당의 ㄷ자형 구조=ㄷ자형 구조는 기(氣)가 빠져나간다 하여 전통적으로 


기피했던 구조로, 살림집에 어울리지 않는다. 연경당은 살림집일 수 없다. △마당의 박석(薄石·넓적한 돌)과 단의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문=무대를 설치하기에 좋고 두 개의 문은 행사에 잘 어울리는 구조다. △남쪽의 조립식 담장=필요할 때 대규모의 행사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ㄷ자 본채의 좌우 건물=반투명 차일과 주렴(珠簾·발)을 설치해 무대 조명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런 건축적 특징으로 보면 연경당은 ‘객석(ㄷ자형 본채)이 무대(마당)를 3면에서 감싸는’ 구조로, 공연에 적합한 공간이다. 이들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창건 당시 연경당의 건물과 그곳에서 열리는 공연 장면을 영상물로 제작했다.

 

사교수는 “순조 대의 연경당(동궐도 속의 연경당)은 어느 시점에서 현존 연경당으로 고쳐지면서 살림집 형태로 바뀌었다”며 “그러나 순조 대 연경당의 극장 구조가 일부 보존되어 있어 복원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광표 기자 kplee@donga.com



영상도 찾았어요!

https://www.youtube.com/watch?v=myKSMZ4CQ-A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철부지 15-02-12 21:33
   
서양의 오페라 하우스가 더 뛰어납니다.
     
굿잡스 15-02-13 01:22
   
?? ㅋ 그런 식이면 뭔 서구는 울나라같은 향교나 서원이 있음요?? ㅋ 아님 종묘니 종묘제

례악이 있거나 연등행사니 화포회(火砲戱)등 국가단위의 대규모 불꽃축제고 (이미 고려시대

부터 존재.이런 것도 유럽은 14세기 피렌체에서 겨우 인형에 어쩌고 시작해서 16세기

정도 가서야 어느 정도 불꽃 축제라는 이름이 가능해졌던 상황))마상재(馬上才)니 남북국시

대부터 시작된 격구대회나 격구장이고(폴로는 영국이 인도지배하면서 19세기 말에 영국에

소개)아님 고급 대화나 유흥을 즐기던 전문 예인들이 있던 기방이나 관객과 배우가 구분없는

소리판 마당극이니 창극, 탈춤 판소리장 혹은 책대여해주던 세책점등이 있었던가요? ㅋ

그런 발달한 목조 건축물들이 존재하는지??

자신들 문화 환경속에서 건축물도 특징과 용도가 나뉘고 발전 변화하는 거군요.
     
하린 15-02-13 01:35
   
오페라하우스도 제대로 음향공학적으로 지어진 진 불과 몇십년 안됐어요...ㅋㅋㅋ

그 전엔 음향공학 따위가 어딨습니까...
무턱대고 크게 짓다가, 오히려 청력 테러 당하지...ㅋ
          
철부지 15-02-13 13:33
   
솔직히 말합시다 애국심은 잠깐 뒤로 미루구요.... 역사짧은 클래식 음악이 더 듣기 좋지 않습니까? 모차르트나 베토벤 .바흐 등
               
shrekandy 15-02-13 14:05
   
음...글쎄요 바이올린을 오래 연주하고 오케스트라 부악장까지 한 저로서는 동감이 안되네요. 전 개인적으로 클래식 안 좋아합니다 (아이러니하죠?).

특히 바흐...그 사람 곡은 제가 제일 싫어합니다...

클래식이라도 동양적 느낌이 강하게 들어간 곡들을 좋아하죠 대표적으로 조 히사이시의 곡들처럼요.

개인적으로 얼마전 몽골의 전통 창법을 보고 매우 놀랐습니다. 멋있더라고요.

결국 그냥 개인 취향인거죠
               
지해 15-02-13 18:36
   
귀가 서양쪽으로 발달 하신거 같습니다...
               
karin123 15-02-13 20:39
   
남들도 똑같이 클래식이 좋을 거란 생각은 어디서 나오신 거지;
 
 
Total 2,8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14 [기타] 어그로를 끌생각없으니.... 훈족 (3) 스파게티 02-17 2792
2613 [기타] 백제 궁남지 - 일본 정원문화의 시초 (1) shrekandy 02-17 6998
2612 [기타] 백제와 일본의 관계는 어떻게 봐야 합니까? (7) 아이신 02-17 2812
2611 [기타] 역사의 궁금한 점 하나... (11) 마라도 02-17 3183
2610 [기타] 허생전 으로 비춰본 북벌론. (2) 니르 02-16 2030
2609 [기타] 인조가 청태종에게 바친 국서 (15) 마라도 02-16 6168
2608 [기타] 변형 지수귀문도 - 어제 밤에 열심히 만들어 보았습… (8) 열심히공부 02-16 4811
2607 [기타] 왜 자꾸 한쪽에 치우쳐서 생각들 하시는지 (4) 봊이 02-16 1194
2606 [기타] 고조선 관련 (7) 바람노래방 02-16 2440
2605 [기타] 한국이 일본에 학문을 전한게 진짜? (20) 마라도 02-15 3917
2604 [기타] 세종대왕께서 알려주신 발음 열심히공부 02-15 4652
2603 [기타] 그냥 뭐라고만 해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15) Thorgeirr 02-15 1812
2602 [기타] 붕당정치 그것 맞은말 적의 말은 곧 진실 (3) 철부지 02-15 1450
2601 [기타] 청태종의 국서 전문 (25) 마라도 02-15 6342
2600 [기타] 지금 사용하는 부산 하수로, 조선시대에 만들어졌다 shrekandy 02-15 5708
2599 [기타] 아래아(.)의 발음이 한국 고대사의 비밀을 밝혀줄 것… (4) 열심히공부 02-15 7386
2598 [기타] 조선의 힘! 중.일엔 없던 선비의 공론정치 (4) shrekandy 02-15 4516
2597 [기타] 청태종이 인조에게 보낸 편지 (21) 마라도 02-14 7028
2596 [기타] 이순신 백의종군의 진실!! (필독) (6) shrekandy 02-14 12815
2595 [기타] 흔한 조선 임금님의 명나라 디스 (8) shrekandy 02-14 5086
2594 [기타] 시장주의 자들의 망상. (5) 철부지 02-13 1654
2593 [기타] 조선시대의 사기급 과학자 "이천" (11) shrekandy 02-13 8548
2592 [기타] 조선의 과학수사 수준 (6) shrekandy 02-13 7977
2591 [기타] 조선시대 초거대 저택의 위엄 (26) shrekandy 02-12 12547
2590 [기타] 조선의 첨단 극장 연경당 (7) shrekandy 02-12 3223
2589 [기타] 조선의 동양 최초+최고의 유량악보: 정간보 (10) shrekandy 02-12 11087
2588 [기타] (올~) 조선 서당 교육 수준 (4) shrekandy 02-12 559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