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3-31 22:21
[한국사] 고대 발해/요하 지역 해안선의 허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704  

해안선이 들고 나는 변화는 절대적인가?
혹은 해안선의 들고 남의 폭은 어느 정도인가?
그 허실을 다음의 지도 자료를 비교하여 따져보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3-31 22:21
   
1. 고대 요동의 해안선 1 ㅡ 도배시러님 제공



2. 고대 하북성 해안선 1 ㅡ 도배시러님 제공


3. 고대 하북성과 요동의 해안선 2 ㅡ 도배시러님 제공



4. BC 8~5 세기 요서/요동의 고고물질문화 분포



5. BC 5 ~ 4 세기 요서/요동의 고고물질문화 분포



6. BC 5 세기 이후 세형동검의 분포지 상세

http://m.photoviewer.naver.com/image?source=https%3A%2F%2Fmblogthumb-phinf.pstatic.net%2F20150601_187%2Fzz56371_14331574127662luyt_PNG%2F%25EB%258F%2599%25EA%25B2%2580%25EB%25B6%2584%25ED%258F%25AC%25EB%258F%2584.PNG%3Ftype%3Dw800&nclicks=null#historyBack

7. 최초 낙랑군의 위치에 대한 이설(본인의 견해는 윤내현, 리지린 등의 설과 일치)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55735&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84%B8%ED%98%95%EB%8F%99%EA%B2%80&sop=or&page=2
남북통일 18-03-31 22:24
   
확실히 현 해안선과 다르네요
     
감방친구 18-03-31 22:30
   
그게 아니라 고대 해안선의 폭을 과장되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바다였다는 천진, 당산, 보정시 일대에서도 유적ㆍ유물이 나타나거든요
뿐만 아니라
바다였다는 잉커우 지역에서도 유적ㆍ유물이 나타나고요

기원전 물질문화 분포에서
현 대릉하ㅡ대요하 중하류 지역에서는 확실히 물질문화가 관찰되지 않으나 그 주변부 가까이에는 분포하고 있습니다

바다라고 해서 해안선이라고 해서 넓고 깊은 바닷물이 아니라 뻘/늪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이 되고

천진ㅡ난하 지역, 대릉하ㅡ대요하 지역이 뻘로 있다가 점차 늪으로, 늪에서 뭍으로 변했으리라 보입니다
감방친구 18-03-31 22:37
   
또 예전에 제가 소개한 세형동검 분포지도를 보면 아시겠지만
강단 학계에서 한국형 동검이라 부르는 세형동검은 서북한 뿐만이 아니라 하북성ㅡ내몽골ㅡ요서ㅡ만주ㅡ연해주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을 눈여겨 봐야 합니다

세형동검의 출현시기는 위만조선 시대가 아니라 그 훨씬 전인 BC 5세기입니다

즉 우리는 여태까지 강단주류학계에 속아온 것입니다
     
남북통일 18-03-31 22:40
   
자기네들이 그렇게 유물 없으면 아닌거야! 라고 주장하더니
오히려 유물에게 자신들 논리가 논파당하네요 쩝........
윈도우폰 18-03-31 23:41
   
시대에 따라 해수의 높낮이 변화로 해안선의 변화했다기 보다는 황허의 범람으로 인하여 해안이 메꾸어진 것입니다....황허의 경우 토사를 실어 나르는 양이 나일이나 메콩강보다 크게 퇴적되다 보니 델타(삼각주)를 형성하기 보다는 강줄기가 이리 저리 옮겨다니면서 더 넓은 해안가를 메꾼 형태입니다. 몇 몇 분은 마치 해수 높이의 변화인 듯 이해하시는 분이 있는 듯 한데 그건 아니고...요하의 경우는 황허에 비해 범람이 그렇게 크지 않지요...그렇기 때문에 요하 하구언쪽의 해안가는 고대나 현재나 그 차이가 황허 하구언만큼 크지 않지요. 대신 늪지가 형성되어 당태종이 고구려에 쫒길 때 이 늪지로 고생했다고 하는데, 아마 그 늪지가 요하 하구언쪽일 듯... 어쨌든 초기 고조선이 만리장성 윗단 고죽국 쪽 위로 있었다면 황허의 범람이 빈번한 곳보다는 산기슭에 위치이기 때문일거고 ... 반면 지나인들의 거주지는 황허 중류인 산서성 쪽이다 보니 범람지를 피하여 사는 것 자체가 어려워 결국 치수하는 쪽으로 발전하면서 소위 삼황오제의 신화가 등장하게 된 것이기도...
     
감방친구 18-03-31 23:46
   
예, 동의합니다
그렇게 봐야 유적, 유물이 설명이 되니까요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14 [한국사] 우리나라 청동기, 철기 상한 연대 (12) 감방친구 07-13 2712
613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11
612 [한국사] 삼국지 위지 동이전 (17) 감방친구 07-10 2705
611 [한국사] 고대 발해/요하 지역 해안선의 허실 (7) 감방친구 03-31 2705
610 [한국사] 거란과 고려 접경지 관련 기록 종합 교차 (시각화 지… (8) 감방친구 04-29 2705
609 [한국사] 물길 을력지 이동경로로 본 고구려의 서쪽 영역# (2) 감방친구 01-20 2700
608 [한국사] 고려와 고조선의 만남 감방친구 09-28 2694
607 [한국사] 민족과 공동체 (126) 감방친구 01-22 2679
606 [한국사] 고려 서북계 위치 추적 (4) ㅡ 봉집현(옛 철령위)은 현… (19) 감방친구 12-19 2673
605 [한국사] 식민사학(매국노사학)을 끝장내는 지름길 (14) 감방친구 06-08 2669
604 [한국사] 수경주(水經注)를 중심한 어이진(禦夷鎮) 고찰 (7) 감방친구 07-18 2667
603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62
602 [한국사] 여말선초 요동정벌에 대한 개인적 생각 (10) 감방친구 05-11 2661
601 [한국사] 고구려의 평양과 고려의 북방 국경 (4) 감방친구 09-28 2654
600 [한국사] 제가 초기 백제의 위치를 요동 남단으로 보는 이유 (5) 감방친구 12-27 2651
599 [한국사] 가탐도리기 登州海行入髙麗渤海道 연구 (7) 감방친구 03-19 2645
598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지도 (5) 감방친구 04-15 2641
597 [한국사] 조선 초기 국경선의 변화 (46) 감방친구 11-01 2636
596 [한국사] 춘천 하중도 청동기 유적 (25) 감방친구 11-18 2634
595 [한국사] 간도와 조중변계조약 (24) 감방친구 10-27 2634
594 [한국사] 안동도호부의 연혁 및 설치 이후의 국제 정세 (7) 감방친구 12-15 2631
593 [한국사] 무경총요(武經總要)의 요하(遼河)와 요수(遼水) 기록 … (4) 감방친구 03-25 2617
592 [한국사] 발해의 동평부와 요나라 요주 (13) 감방친구 01-31 2613
591 [한국사] 독사방여기요로 본 고구려 주요 성의 위치 (2) 감방친구 04-22 2607
590 [한국사] 고려 압록수(鴨綠水)는 북한 압록강이 아닌 중국 요… (6) 감방친구 10-07 2606
589 [한국사] 흠정만주원류고의 신라 문제 (4) 감방친구 06-09 2605
588 [한국사] 발해 유적 관련 추가 (7) 감방친구 10-22 260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