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8-23 00:12
[한국사] 사랑이 순 우리말인줄 아는 사람이있네요 ㅋ
 글쓴이 : 다붓
조회 : 4,393  

생각할 사 헤아릴 량 이게 사랑의 어원이고순우리말은다솜인데어떻게든 끼워맞춰 말레이말뭐? 시랑 ㅋㅋㅋㅋ 어떻게든 어거지로 연관시키는사람이 있어요~~~
뭐하는 분일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플로그룹 16-08-23 03:19
   
사랑은 그럼 고대 한반도에 살았던 말레시아 말인가?
애=한자
사랑=순우리말
다솜-순우리말
하루하루-하리하리
바보-보보
     
고독한늑대 16-08-23 04:52
   
아직도 이 죠몬인이 설치네

날은 태양을 뜻하고..日날일
하늘은 본래 하날을 이다..
하나님 하느님 할때도 마찬가지다. ㄹ음이 탈락되어서 발음되는것인데..
하날님 하늘님이다.
하는 동이족의 하나라를 뜻한단다..
또 사투리 중에서도 오늘이라는 발음을 오날이라고 한다.

하루 또한 마찬가지..
하는 동이의 하나라를 뜻한다..

사랑이 순 우리말?? 뉴스 기사 좀 읽어봐라..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03103600445248063

아무것이나 막 갖다가 붙이는 꼴하고는 ㅋㅋㅋㅋ
          
아스카라스 16-08-23 11:19
   
왜 하나라인가요??? 의외인데요....
          
꼬꼬동아리 16-08-23 11:24
   
사랑 순우리말 맞아요
우리말 아카데미인 '가갸소랑'에서 '소랑'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고 계신가요? '소랑'은 '사랑'의 제주도 사투리로 '이성에게 매료되어 좋아하거나 호감을 갖는 마음'을 뜻합니다. 제주 방언임으로 '사랑한다'는 '소랑허다'라고 써야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이 낱말은 해당 의미뿐만 아니라 나이가 어린 여자아이, 매우 밝은 정도를 뜻하는 낱말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그리나=사랑하는 우리사이
그린내=연인
다소니=사랑하는 사람
사랑옵다=생김새나 행동이 사랑을 느낄정도로 귀엽다
다솜=애틋한 사랑
다은=따사롭고 은은한 사랑
굄=유난히 귀엽게 느껴 사랑함
          
커크 16-08-26 04:01
   
잽은 아닐 겁니다.

유투브에서 설치는 자칭 고려인과 비슷하다능.
고독한늑대 16-08-23 04:56
   
말레이 죠몬인의 항변?? ㅋㅋㅋㅋㅋㅋ
자기 조상 욕보이는건가?? ㅋㅋㅋ
죠몬인과 말레이인은 손을 모으는 모습도 옷도 비슷하더구만 ㅋㅋㅋㅋ
고독한늑대 16-08-23 05:09
   
일본어와 말레이어
anata kimi ( 일)- anda kamu( 바하사 마인어)
suki(일)-suka( 마인어)
i ware(일) =======wareware we
ittekimasu itteirashai tadaima , okaeri 인도네시아어 ㅋㅋㅋㅋ
성공시대15 16-08-23 11:44
   
사랑의 어원은 스리랑이라 생각합니다. 스리랑카라는 나라가 있습니다.  스리랑카의 뜻은 밝고 찬라하게 빛나는 섬이란 뜻입니다. 누군가를 사랑할 때 느끼는 감정을 이 보다 더 잘 표현할수 있을까요? 스리랑은  타밀어라 생각합니다.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 북부인이 드라비다족의 타밀어를 쓴다고합니다. 또한 스리랑은 아리랑과 함께 쓰이는데요. 아리랑의 뜻은 쌀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왜 아리랑을 쌀이라고 생각하고 스리랑을 사랑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는지 설명해보겠습니다. 캄보디아 여행 중에 아이들이 놀고있는 놀이가 내가 어릴적하던 놀이와 정말 비슷했습니다. 내가 어릴적 즐겨하던 비석치기 놀이를 캄보디아 아이들도 하고 있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여행 중엔 자치기하는 아이들도 보았습니다. 이 것을 보고 쌀농사법이 동남아시아에서 한반도로 전해졌다는 학설이 있는데 그게 사실이구나 싶었습니다. 동남아시아 아이들 놀이가 아직도 한국에 남아있는데 동남아시아 언어라고 안남아 있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성공시대15 16-08-23 12:20
   
보릿고개란 말이 있습니다. 봄에 쌀이 다 떨어지고 보리를 심어 쌀을 수확할 때 까지 힘들게 보낸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예전엔 보리도 귀한 곡식이고 일반 서민들은 조,수수,메밀 등을 먹었지 보리는 흔하게 먹을 수 없었습니다. 근데 왜 보릿고개란 말이 생겼을까요? 내가 추측해봤을 때 이 보릿고개란 말은 아리랑고개란 말의 반대편에 있는 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보릿고개는 어떤 말과 대비되는 말인데 그 대비되었던 말은 사리지고 보릿고개만 남게된것입니다. 보릿고개에 고개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고개를 넘는 것은 힘들일이고 고개를 고난의 대표명사로 쓰인것입니다. 그리고 고난은 부정명사고 보리도 부정명사로 쓰였다면  부정 더하기 부정입니다. 보통 이렇게 부정+부정은 안쓰는 관습인데 왜 이것만 부정+부정일까요? 보통 "돈 벼락 좀 맞아 봤으면 좋겠다" 이렇게 긍정+부정 이렇게 쓰입니다. 그래서 아리랑고개는 긍정+부정의 조합이고 아리랑은 긍정의 단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성공시대15 16-08-23 12:21
   
또한 어떤 티비 다큐에서 본것인데 동남아시아 농촌에도 우라나라 농악음악에 쓰이는 북,장고,꾕과리,징 등등 거의 모든 것이 다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내가 시골 농촌 출신이라 어릴적 어른들이 농사일하며 북치고 꾕과리치고 다같이 합창하며 힘들일을 하는 모습을 볼수 있었습니다. 대규모 일손이 필요한 모내기를 할 때나 마을저수지 보수공사시엔 꼭 북치고 장고치고 합창을 했습니다. 그래서 아리랑이란 민요가 농민들이 일하면서 부르던 노래가 구전으로 전해진 노래고 이 아리랑은 고대 한반도 농경민족의 언어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성공시대15 16-08-23 12:26
   
밑에 글이 먼저 쓴글입니다. 편집하려다 순서가 바꿔습니다.
                    
남아당자강 16-08-25 09:42
   
이거 어디서부터 손대야할지..... 귀찮아서 일일이 반박하기 싫고..... 망상은 혼자서 하세요.
성공시대15 16-08-23 12:48
   
우리나라 쌀과 다르게 길쭉한 동남아시 쌀을 알랑미라고 말하곤 합니다. 알랑미를 안남지방 쌀이라 알랑미라고 한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알랑을 한자로 표기하다 보니 비슷한 발음의 문자로 표기한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또한 농경민족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쌀이고 농요에 쌀과 관련있는 농요가 하나도 없는 것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여러가지 이유로 아리랑을 쌀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리랑 스리랑을 함께 해석하면 이렇습니다. " 쌀(벼) 찬란하게 빛나내" 지금 우리가 수확철 논을 보고 황금들판이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와같이 해석하지 못하는 농경민족의 언어들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랑캐를 사람+개라고 해석한다면 어색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랑은 오랑우탄의 오랑이고  캐를 멍멍이 개라고 합니다. 욕으로 쓰이는 개 같은 놈, 개 새끼 등이 이 오랑캐라는 말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농경민족이 유목민족을 개에 비유해서 썻던말인것 같습니다. 정착해서 살던 농경민족이 이동하면 살던 유목민족을 들개들이 집없이 떠돌아 다니는 모습과 같다고 봤던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토종개 중에 진돗개와 삽살게가 있습니다. 진돗개는 털이 짧고 삽살게는 털이 깁니다. 짧은 털의 개는 더운지방에서 온 사람과 함께 왔을 것이고 털이 긴 개는 추운지바에서 온 사람과 함께 왔을 것입니다.
성공시대15 16-08-23 13:00
   
개의 특성으로 봤을 때도 한반도는 북방인과 남방인이 함께 살던 곳이 틀림없다라고 생각합니다. 고대 한반도는 남방인이 쌀농사를 하면 살던 곳이고 북방인이 철기로된 무기로 남방인을 무력으로 복속시켰다고 생각합니다. 고대 남방인이 쓰던 남방어는 북방어로 대체되고 지금은 어떤 뜻인지 애매한 말들로 남은 남방어가 있지않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남방어란 타밀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농사과 관련된 단어들 중 타밀어와 유사한 단어들이 많다고 합니다. 또한 가야의 허황옥 설화도 사실이라 주장하는 학자가 있습니다. 허황옥이 인도공주는 아니고 인도계 왕족이라합니다. 인도계 왕족이 중국남부에 집성촌을 이루고 현재도 살고 있다고 합니다. 허씨 가문에서 중국 허씨 집성촌에 방문한 영상이 유툽에 있습니다. 그 허씨들은 물고기를 숭배하고 인도 남부의 드라비다 족도 물고기를 숭배한다고 합니다. 우라니라 남부지방 옛집들에 물고기 그림을 집에 붙혀 놓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남방계 민족의 물고기 숭배사상이라고 합니다.
구름위하늘 16-08-23 13:22
   
사랑에 대한 어원 의견은 다양한 것 같습니다.

찾아본 내용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닻는 것은
국립국어원 온라인 국어생활종합상담에서 나온 것 입니다.

http://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61&qna_seq=16821

사량에서 온 한자어 이라기 보다는 고유어로 생각하는 군요.
     
꼬꼬동아리 16-08-23 13:29
   
맞아요 순우리말 중에 사랑옵다 라는 말이있죠 예전 고등학교때 생각이 나네요 교장이 연설중에 생각좀 하고 살아라 하면서 생각을 한자로 적더군요 대체 생각을 한자로 어떻게 만들었는지 교실와서 문학선생님하고 한참  웃었던 기억이 있네요 순우리말도 어떻게든 한자를 붙여 뜻을만들려하죠
사량?  참 웃긴 한자어입니다 뭐든 같다붙이면 한자가 되죠
꼬꼬동아리 16-08-23 14:44
   
다붓님이 완전 어거지임 사량?  ㅋ 웃기네요 같다붙이면 다 한자됨?
새끼사자 16-08-23 15:08
   
90년대 초반 대학 레포트에 아래아한글 워드가 첨 등장하고나서 나온 폐해가 한자어가 아닌데도 다 한자로 자동 변환시켜서 제출...교수 빡침...모르는 한자 남발하지 말라던...ㅋㅋㅋㅋ
마그리트 16-08-23 17:31
   
우리가 쓰는 한자어는
우리말에 한자를 끼워 맞춘 것이 대부분입니다.
사랑이라는 우리말을 한자로 표기하려다 보니
필요시 사자와 랑자를 차용하는 것이겠지요.
중공에선 사랑이라는 단어를 愛라 쓰고 '아이'라고 발음합니다. 비슷하지조차 않아요.
고프다 16-08-23 22:20
   
'사랑'이 思量(사량)에서 나왔다는 설은 통설이 아닙니다.

고전문헌을 통해 살펴보면 한자어 愛는 언해하여 “괴다”와 “닷다"로 표현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1446) : 愛 -> “괴여”   

능엄경언해(1462) : ㄷ+아래아  ㅅ+아래아  며 (다소며  ㅏ ㅗ 자리에 아래아 넣으면 됨)

법화경언해(1463) : “ㄷ+아래아 살”, “ㄷ+아래아 ㅇ+아래아+ㄹ”  (다살 다올  ㅏ  ㅏ  ㅗ  가 아래아임)

아 이거 아래아가 표기 안되니 되게 불편하네 ㅜ.ㅜ

여튼 훈몽자회(1527)와 광주판 천자문(1575) 에서도 동일하게 愛를 언해하면 “괴다”와 “닷다"가 됨



반면에 사랑( ㅅ+아래아  랑)  은 어디서 보이냐면 한자 思를 언해하면 사랑이 됨

즉 예전에는 순 한국어로 사랑  이라고하면 생각한다는 뜻임 ...

 우연히 思의 음독 음가 사와 사랑의 첫음절 음가 사가 같은것 뿐이고

思量(사량)은 후대에 억지로 끼워맞춘 해석임..

월인석보(1459) : 思 -> ㅅ+아래아  랑  할씨라



思量(사량)이라는 말은 그보다 훨 후대에 불교책 야운자경(1577)에 나옴



그래서 사랑이 思量(사량)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은 좀 말이 안됨..

적어도 기록상 思量이 '사랑'보다 늦음

뭐든 한자에서 나왔다고 답정해놓고 끼워맞춘 어원 설명의 한 예인듯 보임.
     
구름위하늘 16-08-24 17:13
   
저도 아래아 표기가 힘드니,
자료 설명을 포기하고 링크만 걸었습니다. ^^

좋은 자료에 감사.
엄빠주의 16-08-23 23:53
   
저는 '사량(思量)'이 그냥 고유어인 '사랑'을 음차한 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없습니다 16-08-24 18:41
   
'사랑'이 思量(사량)에서 나왔다는 설은 양주동 박사가 주장한 이론인데 현재는 부정되고 있습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0 [한국사] 국뽕들은 일본이 조선에 조공바치니깐 (6) 핑골 08-23 2024
459 [한국사] 한국인들의 역사왜곡 핑골 08-23 1070
458 [한국사] 조선과 중국의 관계! 조선은 중국의 종속국 핑골 08-23 1107
457 [한국사] 조선의 조공관계의 진실 (1) 핑골 08-23 1104
456 [한국사] 중국의 영원한 속국 조선 핑골 08-23 2829
455 [한국사] 조선은 중국의 속국 핑골 08-23 1373
454 [한국사] 고려와 조선이 원나라와 명나라 청나라의 속국이였… 핑골 08-23 2247
453 [한국사] 조선이 스스로 중국의 속국임을 자처했다는 증거 핑골 08-23 806
452 [한국사]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1) 러키가이 08-23 1725
451 [한국사] 만주 흥동학교 역사교과서 100년 만에 문화재 된다 (1) 두부국 08-23 2055
450 [한국사] 연오랑세오녀설화 [延烏郞細烏女說話] (1) 고독한늑대 08-23 2386
449 [한국사] 사랑이 순 우리말인줄 아는 사람이있네요 ㅋ (23) 다붓 08-23 4394
448 [한국사] 만약, 단군 지위를 계승했다면 (5) 아스카라스 08-22 2301
447 [한국사] 우리나라의 고서는 다 어디로 간건가요? (21) 아스카라스 08-22 3278
446 [한국사] 우리말에 숨어있는 고구려 어원.. (66) 막걸리한잔 08-22 4289
445 [한국사] 고조선재평양설을 지탱하던 한 축이 허물어졌군 (2) 목련존자 08-22 2537
444 [한국사] 8 월 23 일 화요일 일곱시반에 아프리카 tv 에서 이덕… 풍림화산투 08-22 1714
443 [한국사] 나 참 일본인이 북방계이고 한국인이랑 만주인이 남… (34) 고독한늑대 08-21 3946
442 [한국사] 학창시절 한국사 교과서를 돌이켜 생각해보면 (10) 의로운자 08-20 2375
441 [한국사] 병자호란 후 환양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4) 흑요석 08-20 6700
440 [한국사] 동남아 모계 유전자 F.B가 많은 중국인 한국인 만주인 (16) 하플로그룹 08-19 3028
439 [한국사] 독립군 홍범도 장군과 오동진 장군 두 사람의 자금지… (3) 스리랑 08-18 2517
438 [한국사] 말갈 (16) 관심병자 08-17 3490
437 [한국사] 말갈족 대해서 알아보자 (4) 하플로그룹 08-17 4482
436 [한국사] 고구려사람들의 거란인식 (4) 안라인수병 08-16 3555
435 [한국사] 한옥 내부와 외부의 모습 그리고 홍성 백아 김좌진 … 하플로그룹 08-15 1394
434 [한국사] 조선시대 서민층 시골집 구조 하플로그룹 08-15 1495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