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8-17 05:27
[한국사] 말갈족 대해서 알아보자
 글쓴이 : 하플로그룹
조회 : 4,481  


EBA790EAB088.jpg

말갈족은 원래 지금의 연해주 지방과 만주일대, 한반도 북부에 널리 퍼져 있는 종족입니다.

이들은 7개의 부족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윗분의 글처럼 속말, 백산, 흑수, 불녈, 호실, 안차골, 백돌로 나눌수 있습니다. 부족의 이름은 대대로 살던 곳의 특징적인 지명에서 따온 겁니다. 예를 들어 흑수말갈이 대대로 살던 곳은 문자 그대로 물빛이 검은 곳이었다는 겁니다. 석유가 났던 곳이 아니냐는 관측이 있고 살던 지형의 특성상 강바닥의 색이 검은색이거나 깊은 강이라 검게 보였다는 관측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속말과 백산은 예맥족으로 나중에는 수렵이 아니라 농경을 주로 하게 됩니다.

속말과 백산은 한반도의 현재 함경도 지방과 함흥에서 강원도 일대로 터전을 잡고 농사를 지으며 정착 생활을 하게 됩니다. 이들이 바로 옥저와 동예입니다.

반면에 옛날의 숙신족의 풍습을 그대로 이어받은(숙신족은 고조선때부터있던 부족으로 수렵과 약탈을 하던 사람들이고 매우 용맹하고 거칠며 특히 독화살을 잘쓰기로 유명한 부족입니다. 그들의 후예가 말갈입니다.) 부족이 나머지 다섯부족인데,

이중에 속말, 백산, 불녈, 호실, 안차골, 백돌은 부여에 밀려서 점차 만주 일대에서 한반도로 오게 되었고 흑수말갈은 부여보다 더 북쪽으로 가거나 연해주 지역으로 쫒기게 됩니다.

이중에 속말을 비롯한 다섯부족은 고구려가 건국하면서 힘을 떨치자 다시 밀려서 한반도의 평안도, 황해도 지역으로 가게 되었고 그러면서 백제와 잦은 마찰을 하게 됩니다. 

나중에 옥저와 동예가 고구려에 평정된 다음엔 동예의 아랫쪽 땅(지금의 강원도 남부)까지 진출합니다.

거의 약탈만을 일삼다가 때때로 백제와 신라에 심각한 타격도 주기도 했습니다.

말갈족은 점차 고구려의 힘이 커지자 부족 내부적으로 고구려에 복종하는 시스템으로 갔고 고구려의 의도에 따라 백제, 신라를 적당히 괴롭히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결정적으로 광개토대왕이 백제, 왜, 가야의 연합군과 싸우면서 아예 말갈의 땅을 전초기지로 삼으면서 한반도에 있는 말갈족은 고구려에 완전히 예속됩니다.

즉, 한반도 말갈은 완전 예속되기 전에는 고구려의 사주를 받는 행동대원격이었고,

광개토대왕 이후 예속된 후에는 전방의 백성으로 자연스럽게 전방부대의 역할도 겸하게 된겁니다.

나중에 신라의 당항성을 공격할때는 말갈군대 1만명이 전위부대 역할을 합니다.

참고로 고구려는 주변 부족들을 차례로 제압한 다음에 그 부족들의 생활터전 가까운 곳에서 전쟁이 나면 고구려 중앙군과 더불어 전위부대로 활용을 많이 했습니다. 당태종이 침공했을때도 고연수, 고혜진의 부대에는 다수의 말갈, 거란족이 있었습니다.

다만, 흑수말갈은 예속을 거부하고 계속 수렵과 약탈을 하면서 복종과 반항을 번갈아 하게 됩니다.

나중에 흑수말갈은 지금의 연해주와 옛 북부여 지역에 있으면서 발해를 괴롭히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발해 멸망후엔 여진족이 되는 겁니다. 결국 이들은 청나라를 세우면서 길고 긴 역사만에 중원을 정복하는 개가를 올리게 됩니다.

고구려 멸망 후의 한반도 말갈부족들(속말부 백산부)은 대조영과 발해를 세우는데 참가해서 큰 역할을 담당하지요. 대조영과 함께 전장에 섰던 한반도 말갈의 우두머리인 걸걸중상(대조영)은 고구려 출신이었다고 합니다.  대조영의 아버지가 대조영 입니다. 말갈을 이끈 사람이 대중상인 겁니다

말갈이 생각보다 오랜시간동안 명맥을 유지할수 있었던 이유는 일단 유목민족, 수렵민족의 특성상 일망타진의 토벌이 쉽지 않았고

그들이 그만큼, 기동력과 용맹함, 사나움을 겸비했기 때문입니다. 오랫동안 국경지역의 백제, 신라 고을들에겐 두려움의 대상이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스카라스 16-08-17 09:07
   
이전에 무례하게 말씀드린 것에 대해 죄송합니다. 깨나 유익한 글들이 많습니다.

여쭈고싶은 게, 숙신족은 고조선의 갈래인가요?
여진족이 고조선의 후예를 자처했다던데요..
     
두부국 16-08-17 09:30
   
거란족이나 선비족은 고조선의 후예라고 자처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Ef78GfHdXk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353&aid=0000004031




하지만 여진족은 모르겠습니다
구름위하늘 16-08-17 12:18
   
여진이나 숙신이나 시대 (또는 중국 쪽 역사 기록자)에 따라서 달리 부른 이름이고,
다를 바가 없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신채호 선생님의 의견과 비슷하게 말갈이 '종족'명이 아니라 지역 명이라고 생각하는 쪽 입니다.
대략 마을과 비슷한 의미로 말갈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고독한늑대 16-08-17 15:20
   
거란 고전에 말갈과 발해와 마간은 같은 말이라고 하는데요...

마한 말갈 발해는 같은 어원으로 출발되었다가 맞는것 같습니다..


고려에 통일된 신라인이라고 밝히면서 여진을 통일한 김함보는 여진인을 통합할때 여진발해 동본일가라고했고 모두 7개 물길부족에서 왔다고 했죠..

여진인을 고려인세력이 통합하면서 발해를 거론했습니다..

위 내용과 거란고전 내용을 종합하면 마한 말갈 발해는 같은 말이라 생각됩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0 [한국사] 국뽕들은 일본이 조선에 조공바치니깐 (6) 핑골 08-23 2024
459 [한국사] 한국인들의 역사왜곡 핑골 08-23 1070
458 [한국사] 조선과 중국의 관계! 조선은 중국의 종속국 핑골 08-23 1106
457 [한국사] 조선의 조공관계의 진실 (1) 핑골 08-23 1104
456 [한국사] 중국의 영원한 속국 조선 핑골 08-23 2829
455 [한국사] 조선은 중국의 속국 핑골 08-23 1373
454 [한국사] 고려와 조선이 원나라와 명나라 청나라의 속국이였… 핑골 08-23 2247
453 [한국사] 조선이 스스로 중국의 속국임을 자처했다는 증거 핑골 08-23 806
452 [한국사]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1) 러키가이 08-23 1724
451 [한국사] 만주 흥동학교 역사교과서 100년 만에 문화재 된다 (1) 두부국 08-23 2055
450 [한국사] 연오랑세오녀설화 [延烏郞細烏女說話] (1) 고독한늑대 08-23 2386
449 [한국사] 사랑이 순 우리말인줄 아는 사람이있네요 ㅋ (23) 다붓 08-23 4393
448 [한국사] 만약, 단군 지위를 계승했다면 (5) 아스카라스 08-22 2301
447 [한국사] 우리나라의 고서는 다 어디로 간건가요? (21) 아스카라스 08-22 3278
446 [한국사] 우리말에 숨어있는 고구려 어원.. (66) 막걸리한잔 08-22 4289
445 [한국사] 고조선재평양설을 지탱하던 한 축이 허물어졌군 (2) 목련존자 08-22 2537
444 [한국사] 8 월 23 일 화요일 일곱시반에 아프리카 tv 에서 이덕… 풍림화산투 08-22 1714
443 [한국사] 나 참 일본인이 북방계이고 한국인이랑 만주인이 남… (34) 고독한늑대 08-21 3946
442 [한국사] 학창시절 한국사 교과서를 돌이켜 생각해보면 (10) 의로운자 08-20 2375
441 [한국사] 병자호란 후 환양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4) 흑요석 08-20 6700
440 [한국사] 동남아 모계 유전자 F.B가 많은 중국인 한국인 만주인 (16) 하플로그룹 08-19 3028
439 [한국사] 독립군 홍범도 장군과 오동진 장군 두 사람의 자금지… (3) 스리랑 08-18 2517
438 [한국사] 말갈 (16) 관심병자 08-17 3490
437 [한국사] 말갈족 대해서 알아보자 (4) 하플로그룹 08-17 4482
436 [한국사] 고구려사람들의 거란인식 (4) 안라인수병 08-16 3555
435 [한국사] 한옥 내부와 외부의 모습 그리고 홍성 백아 김좌진 … 하플로그룹 08-15 1393
434 [한국사] 조선시대 서민층 시골집 구조 하플로그룹 08-15 1495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