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6-03-31 11:00
국민의당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 노선 맞나요?
 글쓴이 : asdfnw2
조회 : 637  

이게 제가원하는 노선인데 당정체성이 궁금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개정 16-03-31 11:06
   
그게 대부분 중도파가 원하는 노선이긴한데, 아직 창당한지 얼마 안되어서 별 영양가 없는 '말'만 오고가는 상황이죠.
머이러언 16-03-31 11:18
   
안보는 보수
경제는 진보?
정치는 중도
종합적으로 중도보수라고 많이 부르죠.

더불어지지자들이 착각하는 게
국민의당과 더불어는 정체성 자체가 다릅니다.

안철수는 운동권출신도 아니고 실용주의적인 인물이죠.
사상이념을 중시하는 더불어당과는
확실히 다릅니다.

더불어 지지자들도 대놓고
국민의당은 새누리2중대라 부릅니다.
사실 그런 시각도 무리는 아니라 봅니다.

더불어 지지자들도 자신들과 색깔이 다른단 걸 알거든요.
그러니까 연대 단일화는 의미가 없습니다.
지지층도 다르고요.
그동안은 달리 선택이 없으니 싫어도 찍었던거죠.
이제는 대안정당이 생겼다는 겁니다.

총선이후 국민의당이 케스팅보트를 쥐게 될겁니다.
때론 좌측으로 때론 우측으로..ㅎㅎ

전 이런 정치지형이 좋네요.
양당구도보단..
     
그건아니지 16-03-31 11:25
   
개소리.
결선투표제 시행되는 나라도 아닌데 대안정당?
무개념의 극치거나,
새누리의 특공대거나.
          
머이러언 16-03-31 11:28
   
대안정당이란 현재 대한민국의 대안정당으로 보는 게 아니라
그당동안 양당을 싫어했던 유권자들에게 대안정당이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반말 어그로는 사절입니다.
최소 게시판 규정은 지키시길 바랍니다.
글은 자신의 얼굴입니다.
          
개정 16-03-31 11:30
   
이게 국민의당을 대하는 현재 더민주 지지자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절차적 과정에 대한 고민이나 거시적 필요성이 어떠하든 현시적 선거에 여당이 조금이라도 유리하면 개소리, 무개념의 극치, 새누리의 특공대.

나라 망할때까지 양당체제 가자는거죠.
     
푸컴 16-03-31 12:02
   
민주화를 외치던 분들께서 고생 많이 하셨죠.

다만, 그 민주화를 주장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정치,외교,안보 같은 문제가 더욱 중요해졌다는거죠.

우리가 새누리당이 북풍을 활용했던것을 잘 알고 그것에 비판을 했다면,
역으로 더불어는 운동권과 민주화에 대한것은 그만 이용해야죠.

미래로 나아가려는 자세,
정책적 합리성에 기초하여야 하죠.

말씀 많이 동감합니다.

반대를 위한 반대, 비난을 위한 비난
오로지 승리를 위한 연대...

이런 논조는 그만했으면 하죠.

안철수 신당이 없었을때는 왜? 그렇게 연전 연패하였나요?
여당이 실수 투성이고, 그렇게 비판하는 사건들이 많았는데
더불어 지지자들 외에는 온국민이 바보라서 이런 결과가 나왔나요?

아니죠. 여당이 실수하는 만큼, 더불어도 실수 투성이였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거고
그런 이유로 안철수 신당이 생긴거죠.

인과에 대한 정확한 분석없이
여전히 승리를 위해서는, 새누리를 이기기 위해서는
오로지 더불어로 향햔 야권연대... 이런 감정적 호소보다는

대안을 내놓으세요.
새누리의 감정적 호소문과 같은 방식말고

이성적으로 더불어를 지지 해야 하는
경제,외교,안보에 대한 명확한 당정체을 말해주세요.

더불어 지지자분들보면~
안철수는 나쁜사람~ 나쁜사람~
정의당은 욕심쟁이~ 욕심쟁이~
새누리는 가난한 서민들의 적~

이런 감정적 비판을 하면서, 그러니 더불어를 지지해~
이러는데요.

왜 이성적으로 더불어를 지지할
경제, 외교, 안보에 대한 명확한 정체성은 말하지 않죠?

외교안보를 놓고보면, 50%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만한 무엇가의 대안은 보였나요?
경제는 박근혜캠프에서 경제민주화를 주장하던 김종인씨의 경제민주화인가요?
그때는 반대하거나 비판하지 않았었나요?
갑자기 몇년이 지나보니 기가막히게 좋던가요?
래빗 16-03-31 11:27
   
누구 말같이 3만불시대에  운동하던 애들은 이제 정치 그만 해야지요. ..

너무 오래 해먹었어요.

북한 핵실험 이후에도 개성공단 대폭 확대와  금강산 관광 다시 하자는 정신없는

더민당보다는 국민의당이 오히려 더 믿음은 갑니다.
asdfnw2 16-03-31 11:50
   
확실하지가않네요 경제보수 안보진보 거나 경제진보 안보보수 아니면 경제안보둘다 이도저도아니면 중도의 명분은 양당견제뿐인가 하는생각이드네요 당장의 몸집불리기에만신경쓰니 정작엔 중도민심이 이탈한거같너군요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왜쪼달렸는지 알거같네요
체크무늬 16-03-31 20:23
   
국민의당 홈피들어가서 살펴보니,

경제는 진보나 보수와 같은 이념을 따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과학기술 혁명등을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경제인 출신답게 실용주의 노선입니다.

안보는 일전에 정동영과 같은 진보주의자를 받아들이면서 이상돈과 같은 보수주의자가 반대하기도 했습니다만,
서로 국가의 안보를 위하는 마음은 같다고 인정하고, 특정사안은 토론하여 합의안을 도출하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4856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1003
70327 4.13총선 판세 예측 (7) 아라라랄랑 03-31 738
70326 연대 연대 연대 아이고 지겨워!!!!!!! 지긋지긋해!!!!!! (6) ellexk 03-31 594
70325 선거가 코앞인데 더민주가 저지른 3가지 실수 (7) ellexk 03-31 595
70324 언제나 그랬듯이... (3) angel119 03-31 428
70323 [연합]총선 성적표에 정치적 명운 걸린 여야잠룡들 xs에cy키 03-31 547
70322 새누리 페북사과.jpg (4) 젤리팝 03-31 886
70321 자유님 지먹은 이유가... 새연이 03-31 477
70320 새누리의 안철수 응원이 화제네요 (3) 현숙2 03-31 850
70319 새누리 독재는 가능할 것인가 (6) 서울맨 03-31 642
70318 ‘금수저’ 지켜주는 박근혜 정부 (7) 처용 03-31 743
70317 노조가 없어지면 행복할거란 당신에게 (20) 처용 03-31 709
70316 드뎌 자유를 외치는분 가셨네요 (5) 새연이 03-31 626
70315 국회의원이 지역이익을 대표?? (18) 주말엔야구 03-31 1445
70314 양당이 아닌 다당으로 갈려면 결선 투표제를 먼저 시행… (4) 그건아니지 03-31 419
70313 국민의당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 노선 맞나요? (9) asdfnw2 03-31 638
70312 아직도 안철수가 호구로 보이나 보군요. (32) 동천신사 03-31 1187
70311 국기에대한맹세 (3) 엿먹이기 03-31 516
70310 대구 민심이 돌아선이유???? (13) 나이thㅡ 03-31 1298
70309 김무성이가 곰인줄 알았더니 여우네.. 하늘바라기 03-31 511
70308 영남권이 변화를 선택할이유가 있을까요? (5) 누네비오 03-31 496
70307 정의당이 너무 욕심을 내는거 같네요... (2) 나이thㅡ 03-31 490
70306 영남보다 호남이 비정상인거지 (18) 고구마깡 03-31 875
70305 친노를 찾는자들.. (3) 민주시민 03-31 435
70304 뉴스타파 목격자들 46회 "개성공단, 못다한 이야기" (7) 처용 03-31 649
70303 단일화는 사칙연산이 아니지 말입니다. (1) 대아니 03-31 416
 <  5931  5932  5933  5934  5935  5936  5937  5938  5939  59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