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6-14 15:24
[기타경제] 삼성 메모리건
 글쓴이 : Verzehren
조회 : 4,003  

TSMC나 엔비디아는 곧 폭망하거나

망할것처럼 주작하는데....(주문형 AI반도체로 대박날

것처럼 얘기하는 것도 웃긴게...주문형 AI반도체도 구글, 메타

애플과 심지어 테슬라까지 다 생산하기 때문에 의미없는 얘기임)

HBM메모리 생산하는 삼성은 폭등할걸로 선전 선동하는데

실상은.....

HBM메모리의 경우 대부분(95%이상)은 GPU카드에서 쓰이고

그 GPU는 시스템상 (TPM문제등으로 인해) 종속적으로 랙마운트

서버 시스템에서 사용할수밖에 없고 (DC에서 쓰이는게 비율상 압도적으로 높음)

결과적으로 전세계 서버 시장 규모가 커야 HBM메모리도

커질수밖에 없는데.....

현실은.....

https://i.imgur.com/KOKg06i.jpg

슈퍼컴퓨터 시장은 앞으로 7년후인 2030년이 되어도

전세계 21조 정도밖에 안됨.

그런데 그에 반해 일년에 수천만대 생산하고 팔리는 PC시장은

https://i.imgur.com/pUTjQh4.jpg

2021년 기준 300조임

10배가 넘음.

혹자는 워크스테이션으로 보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는데

https://i.imgur.com/OwtyYvF.jpg

2019년 활황기 기준 워크스테이션 시장이 390억 달러

원화 환산 대략 50조원 정도 규모임

정리하면 고성능 GPU가 이끌어가는

슈퍼컴퓨터 시장은 20조원도 안됨

그것도 앞으로 7년이나 더 기다려야됨

HPC 즉 슈퍼워크스테이션부터 타이니WS까지 다 합쳐도

50조원 규모

그에 반해 PC시장은 2021년 300조 규모



저번에도 한 얘기지만, A100이든 H100이든간에

(H100 DGX나 HGX모델까지 다한다해도)

HBM메모리는 80기가 박히는게 전부인데

일반 PC 메모리는 요즘 웬만하면 16기가씩 박혀서

나감. 그러니까 안팔리는 GPU카드 1장 팔릴걸 기대하기보다

PC 10대 판매하는게 삼성한테 압도적으로 이득

왜? HBM은 양산구조의 복잡성으로 생산이익 자체가

떨어짐. 그에 반해 일반 DDR4, DDR5 및 서브램 시장은

압도적으로(약 10배 이상) 크고 수익이 많이 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한용병 23-06-14 15:40
   
강남토박이 선동글 반박 .......??

제목이 바뀐건지... 내용이 바뀐건지...
     
Verzehren 23-06-14 15:50
   
제가 안바꿨어요. 게시판 관리자나 운영자가 바꿨거나 아니면 강남토박이가 신고했거나 그랬겠네요.
팔상인 23-06-14 21:55
   
작성자분이 기초적으로 올바른 접근을 하시는 것임

투자와 경제는 다름
투자는 그 투자자가 무엇에 투자를 해야 자기사익이 되느냐라는 관점을 기초로 경제를 봐야하지만,
경제는 투자자와는 무관하게 무엇이 경제적 공익인가라는 관점을 기초로 투자를 전망해야 함
그러면서도 투자와 경제는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인 관계임으로 뗄레야 뗄 수는 없음

그래서 분석가는 시장가격(예컨대 주가 같은 거)는 논의범주에서 배제해야 함
왜냐면 시장이 합리적이라면 실적 자체로만 평가하고 거기에 주가가 집중되야하지만,
전세계 주가를 평가하는 시장의 대중들은 실적자체로 알맞는 평가를 한 역사가 없음

언제나 인지도가 높으면 고평가되고 인지도가 떨어지면 저평가하며,
이것이 시장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됨
그리고 그 인지도는 경제계나 투자계의 정보가 주도해왔음
그렇기에 이 영역은 인문적인 영역이지 분석의 영역이 아님

하지만 그 기반이 되는 것은 종목의 실적임
그 실적으로 정합적인 가치평가가 된 이후에나
대중의 평가가 시간이 지난 후에나 올바르게 평가해줘서 주가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 것임

반대로 종목의 실적이 떨어지는데 평가만 좋아서 시장가격이 상승하면 무슨 일이 벌어지겠음?
이를 간과하니까 상폐 당하는 종목 같은데다가 꼴아박는 것임

그러니 이런 종목 분석을 할 때 사업별로 지분을 확인하는 것..
Verzehren 씨의 사업내의 실적지분을 살피는 것은 기초적 분석 중의 핵심에 속함
     
토막 23-06-15 15:14
   
하지만 실적 가지고 앞으로의 전망을 하진 못하죠.

가정용 카메라 시장 스마트폰에 밀려 망할꺼 뻔히 보였지만.
실적은 망하기 직전 까지 계속 좋았죠.

실적은 과거고 전망은 미래임.
주식투자도 마찬가지. 뭐 단타쟁이들이야 상관 없는거겠지만.
장기 투자 생각하면 현재 실적보다 미래 전망이 더 중요함.
현재 실적이 좋다고 미래도 좋다는 보장 없음.
          
팔상인 23-06-23 21:31
   
관심없다 강남토막
          
팔상인 23-06-23 23:24
   
그리고 이 댓글에 관심을 가질 타인에겐 관심 있으니 한마디 하자면..

실적의 증가추세냐 감소추세냐의 과거실적은
투자에 있어선 상당히 중요한 참고항목임
오죽하면 피터린치가 Peg같은 평가기준을 만들었겠고
전세계 투자대가들의 주요기준 중에 하나겠음?
*한국 증권가는 보고서에 Peg를 아예 누락하는 경우도 허다할 정도로 저질인게 현실임

게다가 토막이 이 새끼는 자신이 투자를
아예 해본 적이 없는 "문외한"이라 스스로 밝힌 바 있음
게다가 투자계에서 사용하는 투자와 투기의 구별개념 자체도 없음
그래서 얘가 강조하는 것은 항상 투자의 명칭만 빌려 쓴 실제론 "투기개념"만 내세움
테마만 가지고 투자가 어쩌네 저쩌네 하는게
투자계에선 그게 다 투기로 분류하는 개념임
얘가 주장하는 건 단기투기냐 장기투기냐의 개념만 성립함

즉 투자에 대해 공부를 전혀 해본적이 없어서 어디서 주워들은 소리와
증권사의 찌라시가 강조하는 주장과 일치하는 소리만
적절한 타당성을 가진 모든 반론에 대하여 고집함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고 그게 같은 의미의 단어가 아님
토막이의 모든 '투자'라는 단어는 '투기'의 의미로 해석하는게 맞음
왜냐면 실질적인 투자에서 쓰이는 기초 기준에 대해서 아예 개념이 없음

이런 개념은 검색해서 나오는 개념도 아니니,
토막이에게 투기와 투자를 무슨 기준으로 구별하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헛소리로 일관할게 정해져있음
 
 
Total 3,5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76 [기타경제] 기재부 장관 유머감각 근황 (25) Verzehren 09-01 5396
3275 [기타경제] 외평채 발행....정신나간 근황 (31) Verzehren 08-30 5426
3274 [기타경제] 가계부채 정말 문제 ? NO ! (25) archwave 08-19 3870
3273 [기타경제] 중국 부동산 거품과 한국 경제에 관하여 (10) Verzehren 08-18 3850
3272 [기타경제] 벌써 휘발유 2,000원, ‘유류세 인하’ 계속? (13) 가생이다 08-15 3490
3271 [기타경제] 나라 경제가 암담한 상황임. (26) Verzehren 08-14 3041
3270 [기타경제] 늙어가고 구멍나는 경제문제 어떻게 풀지? (4) 무영각 08-13 1264
3269 [기타경제] 무디스, 미국 지방은행 10곳 신용등급 강등 (2) Verzehren 08-08 2347
3268 [기타경제] 전대미문 최악의 윤석렬 경제 (23) 케이비 08-05 5060
3267 [기타경제] 경제 효과 (5) Verzehren 08-03 1397
3266 [기타경제] 초전도체 경제효과는 조심해야합니다 (11) Verzehren 08-02 2923
3265 [기타경제] 세계 각국 국채 금리 비교 (6) archwave 07-28 3168
3264 [기타경제] [속보] SK하이닉스 2분기 영업손실 2조8820억…"3분기째 적… (4) Verzehren 07-26 2654
3263 [기타경제] 법정 간 곰표밀맥주… 세븐브로이맥주·대한제분 오는 28… (2) 이진설 06-21 1878
3262 [기타경제] 삼성 메모리건 (6) Verzehren 06-14 4004
3261 [기타경제] HBM메모리 팩트체크 (1) Verzehren 06-05 2393
3260 [기타경제] 여기가 반도체 종토방인지? (9) 노을아래빛 05-31 1586
3259 [기타경제] 당분간, 나머지를 위한 3나노는 없다. 업데이트된 TSMC의 … 흩어진낙엽 05-23 1469
3258 [기타경제] 경사수지 추락하는데, 위기는 아니라고? (6) 땡말벌11 05-18 2567
3257 [기타경제] 한 번도 경험 못한 '超공급과잉' 예고···"향후 10… (5) 흩어진낙엽 05-17 2104
3256 [기타경제] 삼성전자·SK하이닉스 역대급 적자…반도체 산업 괜찮을… (1) 흩어진낙엽 05-17 985
3255 [기타경제] 삼성·SK 재고만 71조원…수요부진에 가격 하락 탓 흩어진낙엽 05-17 969
3254 [기타경제] 삼성전자 1분기 반도체 적자 4조5천800억원 NIMI 04-27 1910
3253 [기타경제] 2023년 4월 선진국 1인당 GDP 예상치 (13) 천국입성 04-12 5816
3252 [기타경제] 최악의 성적표 받아든 삼성전자...1분기 영업익 95.8% 급감 (1) NIMI 04-07 1580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