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3-25 08:40
[잡담] 러시아 석유 가스수출 제재는 가능할까?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1,693  

러시아는 세계적인 석유 가스 수출국이다.
러시아의 석유 생산은 미국에 이어 2위 생산국으로 사우디 아라비아와 동급이다.
미국 러시아 사우디 셋다 일일 1천만 배럴 정도로 일일생산량은 비슷하다.
전세계 일일 석유수요는 약 1억 배럴 정도이다.

러시아의 원유 수출는 일일 500만 배럴 정도로 세계 소비량의 5% 에 해당하는 양이니
러시아 원유 수출 제한 얘기가 나오자 벌써 석유값이 급등하며 춤을 춘다.
이는 아랍 에미레이트과 이란의 1일 생산량을 합한 정도에 맞먹는 막대한 양이다.
그러니 이중에 절반만 감소를 시키려해도 일일 250만 배럴의 석유 가 부족해진다.
러시아 수출의 21%를 차지한다. 천연가스는 7.5%

하지만 OPEC 의 협조를 구해 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가 협조해준다면 
약 일일 100만 배럴 정도는 단기간에 증산이 가능하고 몇개월 정도 준비를 거치면 
최대 300만 배럴 까지는 증산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 이란의 석유수출 제한을 풀면 추가로 100만 배럴
베네주엘라는 지금 워낙 원유 채굴 시설이 노후해서 생산량을 늘리려면 
2-3년 걸리지만 100만 배럴 정도는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

또 미국내에서 여러 석유 생산관련 규제를 완화하면 추가로 연말까지 100만 배럴 
최대 150만 배럴 정도 까지 연차적으로 증산이 가능하다고. 
그리고 석유가가 올라 다소 경기가 침체하고 
중국의 석유수요도 줄어들어 수요에서도 다소 감소가 있을 것이다.

벌써 이미 전쟁 1주 시점에서 러시아의 석유수출은 130만 배럴이 감소했고
석유관련 제품 수출은 170만 배럴 분이 감소 했다.
즉 러시아는 정식 수출제재가 시작되기도 전에 판매량의 30%가 줄어든 것이다.
그리고 영국 자료에 의하면 중기적으로 러시아의 석유와 석유제품의 수출량이 
330 만 배럴 ~ 최대 400만배럴 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러시아의 전체 석유생산의 40%에 해당하는 막대한 양이다.
석유관련 수입은 러시아 연방정부 수입의 40% 를 차지하는 막대한 수입원이라 
이게 막히면 러시아 정부는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미국과 유럽 각국이 다소의 인플레와 경기침체를 각오하고 
이자율을 올리고 석유가를 올려 수요를 감소시키면 
러시아의 수출분 500만 배럴 정도는 충분히 증산 등으로 커버 가능해서 
미국이나 서방이 러시아 경제제재로 선택가능 한 시나리오다.

아마도 머지않아 러시아 원유에 대한 단계적 수출 제한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주식 하시는 분들은 참조하시도록.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리얼백 22-03-26 00:48
   
미국은 좋겠다.
세일가스 팔아서 때돈 벌어서 경제부양 다 할듯.
dlrjsanjfRk 22-03-26 09:48
   
말처럼 쉬운게 아니라는게 문제죠. 중국이 석유을 줄일리는 없죠. 저번처럼 재해라도 터지면, 석유.석탄.가스는 또 올라갈겁니다. 지구에서 인류을 위협하는건 전쟁이 아닙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죠. 오늘 제주도 보니, 강풍으로 피해을 입었더군요. 일본은 초겨울을 겪는 지역도 있는 상황. 앞으로 한두달 더 지나면, 그때부터는 태풍이나 가뭄.홍수로 피해을 입게될 나라들이 많아질겁니다. 화산.지진도 마찬가지. 전쟁이 터져도 살아갈 나라들은 살아갑니다. 그러나 기후는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도 포함되며, 지구촌 그누구도 안전을 장담못할수도 있습니다.
     
dlrjsanjfRk 22-03-26 09:58
   
그리고 한반도도 위험에 처하게 될겁니다. 북한은 러시아쪽으로 붙었습니다. 이제는 많은 변수들을 생각해야하며, 점점 안좋은 상황으로 치닫을수 있습니다. 대비해야겠죠. 바다수온은 올라가고, 빙하는 녹고있으며, 해수면은 점점 상승중이며, 그로인한 해저화산,화산,지진,태풍,가뭄,홍수등 많은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단순히 님이 쓴 경재적인것들을 뛰어넘어 버리는거죠. 니켈이 거래중단된것처럼, 다른 원재자도 거래중단이 될수도 있습니다. 중.러의 단일화폐도 문제고 말입니다. 미.유럽은 새로운 대체 생산시장을 만들어야하는데. 아직도 해결이 되지않았습니다. 그로인해 물가상승만 올라간거죠. 석유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원자재,세계곡물들도 문제가 될수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유럽이 그 모든걸 충족시킬수도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물가가 상승하는겁니다. 이런 상황에 신냉전으로 가버리면, 물가는 감당못할겁니다. 인도조차도 누구편에 들기보다, 중립을 택할겁니다. 앞으로 닥칠 재해로 인한 에너지 문제때문에 말이죠. 세계 인구가 가장많은 나라 2개국가가 중국.인도입니다. 그리고 많은 기업들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나라에 문제가 발생하면, 또 문제가 생깁니다. 값산 노동력과 혜택들이 사라지면, 그때부터는 물가을 감당못합니다. 이머징 국가들은 점점 망해갈것이고, 그게 점점 선진국으로 향햘겁니다. 지금 돌아가는 꼬라지을 보면, 미래는 그리 밝지않습니다.
 
 
Total 1,50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2 [잡담] 중국의 청년실업 대책: 대학생 줄이기 (9) 이름없는자 06-19 3223
931 [잡담] 뉴욕증시 폭락... 다우 3만 붕괴, 나스닥 4% 급락 (4) 다크사이드 06-17 4752
930 [잡담] 자동차 인공지능 부기장 (7) 이름없는자 06-16 2684
929 [잡담] 청년실업 해결책 : 취업 토익 (16) 이름없는자 06-13 3156
928 [잡담] 한국 대졸자 취업난 해소 대책 (13) 이름없는자 06-12 4483
927 [잡담] 후진국 한국의 추억 (15) 이름없는자 06-12 8011
926 [잡담] 로또 1등 50명 2등70명.. (14) 후아유04 06-12 4674
925 [잡담] 다음주 월요일부터 역대급 폭락장 예상입니다. x 댔… (11) 카산드라야 06-10 6169
924 [잡담]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잡힐지? (18) CASA 06-10 2854
923 [잡담] 우리나라 대표적 공기업 민영화 사건.. (10) 프리코드 05-26 5031
922 [잡담] [영상]오징어 게임 자국의 관광산업으로(스페인,사우디 … (5) 조지아나 05-25 4557
921 [잡담] 국민의 적을 알기 가장 쉬운방법 (3) 지팡이천사 05-21 2671
920 [잡담] 한국, 인도, 동일 민속놀이 교류통한, 경제협력 촉진 이… (4) 조지아나 05-20 3701
919 [잡담] 러시아의 일일 전쟁 비용 (16) 이름없는자 05-19 7523
918 [잡담] 한국을 빛내는 한국계 후손들- Kpop ,복싱, MLB, NFL (6) 조지아나 05-16 4854
917 [잡담] 터키 에르도안 대통령 임기 (5) 이름없는자 05-15 5260
916 [잡담] [대만반응 종합] '대만국민들, 어떻게 생각할까?' … (9) 흩어진낙엽 04-29 4635
915 [잡담] 삼성과 TSMC 파운드리 (14) 혜성나라 04-27 4472
914 [잡담] 미국 빅샷 일정 변경 소문 (3) 혜성나라 04-25 2168
913 [잡담] 아래 '트리플 위기의 한국 경제' 기사 쓴 인간의 … (2) 파란혜성 04-12 2566
912 [잡담] 日경제학자 "한국경제에 마침내 '트리플 펀치'의 … (18) 파란혜성 04-11 6880
911 [잡담] 삼성 갤럭시S23 울트라는 2억 화소 카메라 기술이 탑재? (15) 백수건물주 04-10 4926
910 [잡담] 일본만 급료가 오르지 않는 수수께끼 (3) 마일드랩 04-03 3052
909 [잡담] 약쟁이 재용아 그냥 내려와라. 배당금이나 받아서 처먹… (13) 죠구 03-25 2762
908 [잡담] 러시아 석유 가스수출 제재는 가능할까? (3) 이름없는자 03-25 1694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