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10-12 02:22
[한국사] 부여도 흰색을 숭상했다. 백의민족
 글쓴이 : 예왕지인
조회 : 1,041  

우리 민족이 언제부터, 왜 흰옷을 즐겨 입게 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중국 고대 삼국지에 의하면 부여(B.C 59~AD 494)인은 백의를 숭상한다고 했고, 고려도경(고려 인종 원년, 고려에 온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여행기)에도 고려의 남녀 모두가 백저의(白紵衣:흰모시옷)를 입었다고 해, 그 역사가 매우 긴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고려말(AD 1362년) 문익점이 중국에서 목화씨 10개를 가져왔다. 그중 하나가 재배에 성공해, 의복재료의 혁명을 이룰 수 있게 했다. 목면은 조선시대의 헐벗음 해결에 크게 기여했음은 물론, 목화 본연의 흰색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백의 일색의 의생활이 그야말로 만개했다. 이름하여 '백의민족'이 된 것이다.

백의민족이라는 별칭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태양을 숭배하는 원시종교에서 비롯돼 백의를 입었다는 설, 청결하고 순결해 본능적으로 흰색을 좋아했기 때문이라는 설, 부여시대부터 입던 흰색상복(喪服)이 상례를 중시하게 되면서 상복을 입는 기간이 길어지다 보니 습관화 됐다는 설을 비롯, 염료의 생산과 염색기술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라는 설 등, 어느 것도 나름의 논리가 있어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흰옷을 금하기도 했기 때문에, 백의가 항일정신(抗日精神)의 상징으로 더욱 강조되기도 했다.

그러나 고려 말부터 조선 말기까지 여러 차례 백색 금제도 있었다. 음양오행에 따라 청색옷을 입어야하므로, 또는 백색은 상복의 색이라 해 금하기도 했으나 누구도 흰색 옷을 말릴 수는 없었다.

일찍이 목면이 의생활혁명을 일으켰다면, 복식사를 놓고 볼때 6.25도 또 하나의 의생활 혁명이었다. 전쟁 중 구호물자로 입어본 서양복의 편리함과 익숙함이 전통한복을 밀어냈다는 것이다.

서양에서도 백색은 '순수''순결''희망'을 상징하는 최고의 색, 즉 신의 색이었다. 교황이 흰 옷을 입고, 왕과 여왕도 최고의 행사에 흰색을 입는다. 흰 웨딩드레스도 결혼하는 그날만은 순결하고 품위 있는 여왕이고 싶다는 배경에서 비롯됐다. 남성 최고의 정장인 연미복에 하얀 나비넥타이를 매는 것도 그런 것이었다.

과거뿐 아니라 현대에도 흰색은 종종 유행색으로 등장하곤 한다. 발렌시아가(Balenciaga), 질 샌더(Jil Sander), 알렉산더 왕(Alexander Wang), 버버라 프로섬(Burberry Prosum) 등 세계적 디자이너들이 2013년 S/S 트렌드로 흰색을 제시한바 있다.

흰색이 이렇게 귀한 색이었고 과거나 현재나 세계인이 좋아하는 색이었지만 '백의민족'이라는 별칭을 가진 나라나는 거의 없다. 흰색 옷을 다시 바라보면서, 이제는 우리도 나름대로 흰색 옷의 강점(强點)을 다시 '키워갈' 방법을 궁리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20-10-12 03:06
   
밑에서 이야기한건데 원나라를 왜 중국으로 설명하는건지... 원나라에서 수입했으면 몽골에서 수입한거죠. 뭐 님을 탓하려는건 아니고 우리나라의 전반적 역사인식이 에러라는거. 우리나라 위쪽에 있는 국가는 죄다 중국임.
 
 
Total 9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4 [한국사] [역사지리 #3] 부여의 위치 추정 (4) 윈도우폰 04-07 1057
93 [한국사] 일본의 백제 왕족 성씨 분석 (다타라(多多良), 우라(… (2) 보리스진 08-07 1729
92 [기타] 부여 말갈 관계 가설 (1) 관심병자 07-26 989
91 [기타] 고인돌 1140개 불가리아, 부여족 후예 ‘불가르족’이… (1) 관심병자 07-19 2521
90 [한국사] 말도 안되는 부여의 위치? 부여는 어디에? (만리장성 … (9) 수구리 03-10 2420
89 [기타] 우주 탄생-인류-바이칼..고조선과 부여.. (2) 도다리 01-19 1618
88 [한국사] 흉노영토와 북부여 영토(북부여의 다른이름인 동호… (2) 수구리 01-11 2163
87 [한국사] 부여 (2) 스리랑 12-17 1068
86 [한국사] 말갈(靺鞨)이 오환이며 북부여족으로 고구려 속민이… 수구리 09-05 1429
85 [한국사] BC 1세기의 고구려 부여 등 고조선 열국(列國) 지도 (1) 수구리 08-27 1751
84 [한국사] 동호東胡는고조선인 북부여로 구레나룻 수염이 있는… 수구리 08-08 910
83 [한국사] 가야, 임나, 일본 어원 분석결과: 부여와 관련된 명칭… (4) 보리스진 07-29 872
82 [한국사] 부여족은 원래 어디에서 온 것인가(3) (6) 독산 07-26 902
81 [한국사] 부여족은 원래 어디에서 온 것인가(2) (2) 독산 07-26 739
80 [한국사] 부여족은 원래 어디에서 온 것인가(1) (3) 독산 07-26 1014
79 [기타] [인용] Tamil Nadu 정부, Keeladi에서 연구(ft.아라가야 도… (3) 조지아나 07-24 768
78 [기타] 인도 뉴스]엄청난 발견_ 인더스 문명(=아라가야 도부… (2) 조지아나 07-23 1124
77 [한국사] 홀본부여=해씨부여/ 마한=말갈=발해/ 해=고 영종햇살 04-11 1277
76 [기타] 미래한국 위하여 부여사 올바른 교육과 연구가 필요… (10) 조지아나 02-09 1437
75 [한국사] 부여와 읍루 (9) 감방친구 01-19 2754
74 [한국사] (부여시대~ 조선시대)까지 한복 변천사 mymiky 11-17 1226
73 [한국사] 부여도 흰색을 숭상했다. 백의민족 (1) 예왕지인 10-12 1042
72 [한국사] 일뽕이 만든 부여는 한국인 하고 무관. 한국인 조상… (6) 예왕지인 09-17 1638
71 [중국] 중국인 : 고구려 부여 백제는 중국역사다 (5) 예왕지인 09-05 1363
70 [한국사] 중국이 부여 고구려는 단군 조선을 모른다고 주장하… (4) 예왕지인 09-04 995
69 [한국사] 압록강의 어원 부여의 압로와 신라의 읍륵 (3) 호랭이해 07-18 1496
68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공주, 부여태비 ssak 06-13 2172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