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3-30 21:33
[한국사] 대한제국의 CIA "제국 익문사"
 글쓴이 : history2
조회 : 2,812  

제국익문사(帝國益聞社)19026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이 황제 직속으로 설립한 비밀정보기관이다. 이 기관은 정부고관과 서울 주재 외국 공관원의 동정, 국사범과 외국인의 간첩행위를 탐지하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 ‘제국 익문사 비보장정에 비밀활동지침을 규정하였다. 제국익문사는 근대적 형태의 정보기관이며, 표면적으로는 '매일 사보를 발간해 국민들이 보도록 하고 국가에 긴요한 서적도 인쇄'하는 현대판 통신사 기능을 담당했다.



화학비사법.jpg
                                                     화학비사법을 사용하라는 명령서

 

요원은 총 61명으로, 수장은 독리이고, 그 아래 사무, 사기, 사신이 있었으며, 상임통신원 16명이 있었다. 요원들은 고종에게 정보를 보고할 때 화학비사법(化學秘寫法)이라는 특수한 방법으로 보고를 하였다.

 

1. 설치배경

 

대한제국 선포 후에도 일본인들은 궁안에 군대를 배치해 고종을 감시하고 친일 관료들을 통해 정보를 빼내고 있었기 때문에 비밀 정보 조직이 절실한 상황이였다. 조선시대 왕실의 책들이 보관되어 있는 장서각에 고종의 비밀 정부 조직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바로 제국익문사비보장정. '제국익문사'의 익문사는 당시 중국에 있던 언론사의 이름이다. 일본의 감시를 피해 비밀리에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목적을 드러내면 안되니 언론사를 가장해 활동했던 것이다. 당시 사람들한테 통신사나 언론사라는 익숙한 용어를 일부러 썼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비보 장정'이라는 것은 '비밀을 보호한다'는 의미로 황제에게 직접 비밀리에 보고하는 체계에 관한 규정이란 뜻을 갖고 있다. 1902년에 창설된 것으로 알려진 제국익문사 조직의 운영방식과 규정을 기록을 보면 조직원의 구성과 임무가 자세히 나와 어떻게 활동 했는지 알 수 있다.


<제국익문사 조직의 운영방식과 규정 및 구성와 임무>

수도의 경성에는 보통 정보원이 지방에는 상임 정보원이 항구와 외국을 담당하는 정보원까지 총61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들은 외국인들의 왕래가 잦은 국내 개항장(인천항, 원산항, 옥구항, 목포항, 부산항)과 일본, 중국, 러시아의 개항장(북경, 여순, 상해, 블라디보스크, 나가사키, 오사카, 도쿄 중국, 러시아, 일본)까지 진출해있었다.


제국 익문사 파면.jpg
                                                            파견된 지역
그림04.jpg

이기환_기자의_흔적의_역사_경향신문_블로그014.png
                                   제국 익문사와 일본정보 당국의 보고서 (치열한 정보전이 벌어진 대한제국시기) 


2. 제국익문사 정보원들의 주요 임무

 

a) 바로 일본인과 접촉하는 고위관료들의 감시했다.

b) 개항장을 비탐하는 것이였다. 정보원들은 항구에 드나드는 각국의 군항과 사람들의 동정을 파악하기도 하기도 하고, 외국 군대의 침공 움직임이나 당시 일본인들이 자주 저질렀던 가짜화폐 유통 등을 감시를 했다.

c)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일이였다. 특히 주한외국공사관은 각국의 고급정보를 탐지할 수 있어서 정보원들의 주요 활동무대가 되기도 했다.

 

l_2017032901003957100329954.jpg

img42108.gif
                                                 제국 익문사 요원의 동향 보고서



또한 제국익문사는 당시 대한제국과 수교를 맺고 있던 11개 나라 중 한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러시아(2), 청나라(3)그리고 일본(4)에 총 아홉명의 외국정보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제국익문사는 한마디로 국가 기밀과 외국의 정세의 변화를 탐지하는 정보 기관이였다. 이 당시에 대한제국이 겪고 있는 현실 중에 정부 내에 중요한 정보들이 밖으로 흘러 나가고 있었다. 특히 일본 측에서 굉장히 강한 치밀한 첩보전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차단하기 위해 정부 기밀 유지에 목적도 있었고 동시에 세계 정세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파악하고 있어야 바른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 될 수 있었을테니 이 두 가지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1900년대 들어와서 황제 직속기관으로 비밀리에 구성해서 가동을 했다. 특히 일본에는 4명이나 되는 정보원을 배치한다. 이들은 주요 도시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정책 방향 군부대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주력한다.

 


3.익문사의 재정확보

 

최초의 정보 기관이였던 제국익문사에 정보원들은 국내는 물론 일본과 청나라 러시아 또 멀리 유럽에 까지 파견돼 활발한 활동을 펼친다. 이만한 조직을 운영하자면 그 정보원들의 활동비나 체류비등 비용 및 조직 운영비는 어디서 조달이 됐는지 알아보려면, 왕실 운영비를 기록한 내장원 회계 체계를 보면 알 수 있다.

 

1903(대한제국기)이 되면서 1897년 약 17만냥에 불과했던 왕실수입이 대한 제국 중기에는 180배 가까이 늘어난다.

불과 7년만에 수입이 180배나 상승했다(이는 재정을 호조에 일원화 되어있던 것을,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탁지부와 내장원으로 2원화 한 결과이다)

 

예로, 전분 3만냥을 괴짜표에 의거해서 궁궐로 매입했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로 들어갔다고 기록만 되어 있고 전체 지출 내역에 40%를 차지 하고 있는 내입은 황제의 명령으로 사용된 자금인데 다른 지출 항목과 달리 출처를 적지 않아 어디에 쓴 돈인지 현재로서는 알기 어렵다. 역사학자들은 바로 매입된 자금 중에 상당부분은 금괴 또는 은괴로 저장이 되었거나 아니면 외국 은행에 저장된 것이 많다고 추정한다.

 

또한 외국 은행에 예치를 시켜 놓은 이유는 유사시에 사용하기 위한 비자금과 같은 기능을 했을 것이다. 즉 제국익문사가 자유롭게 자금의 압박을 받지 않고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외국 은행에 저장해둔 자금이 활동 자금으로 쓰였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황실 자금 중에는 아예 장부에 기록되지 않은 돈도 있다. 바로 외국은행에 예치된 예금일 것인데, 당시 대한제국 황실은 상해 로청 은행에 40만냥, 덕화 은행 25만불 예금을 갖고 있었는데 이 돈 역시 제국익문사의 비자금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밀 밀서.jpg
                                                   제국 익문사의 비밀 밀서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story2 18-03-30 21:56
   
고종의 비밀자금을 유용해서, HSBC가 중소형 은행에서 대형은행으로 성장했다는 루머가 있을 정도로, 당시 고종은 홍삼의 유통과 금 판매수익으로, 엄청난 자금을 민영익, 내장원경 이용익 그리고 제국 익문사를 통해 마련하고 해외은행에 예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자금은 고종의 망명이 주 된 이유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항상 자금난에 허덕이던, 임시정부는 이 자금을 찾아서 운영비로 사용하려고 했지요. 그 과정에서 민영익의 아들을 찾아 이 자금을 찾으려고도 했고, 의친왕을 망명시켜 자금을 확보하려고도 했지만, 이미 은행이 이 자금을 다 자신들의 계정에 돌려놓고, 남은것은 채권채무관련 서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HSBC에게 고종의 피같은 돈이 흘러가서, 세계적인 대형은행이 되었다니 다소 당황스럽 습니다.
history2 18-03-30 22:14
   
해외 정보는 72개로 분류되어 있었지만 당시 시대가 시대이다 보니 일본에 대해서만 16부문에 이르렀다. 조사 내용은 일본군의 동향, 일본 경찰, 정치인, 사회 등 다방면에 걸쳤다.

구체적인 기록이 아직 발견되고 있진 않지만 을사늑약을 무효화하기 위한 활동과,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 이후 안중근 의사의 관할 권한을 일본에서 러시아 법정으로 옮기려는 시도도 있었다.

현재 설치 목적과 활동 영역, 조직 운영 시스템 등에 대한 규정집인 제국익문사 비밀보장정이란 책이 남아있다. 이 책에 따르면 황제에게는 매일 화학비사법이라는 특수한 방법으로 보고 하였고, 보고서가 있는 봉투에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과 성충봉좌란 글귀를 넣은 정용 인장을 찍었다.
history2 18-03-30 22:15
   
아직도 제국익문사의 직원이름을 단 한명도 알아내지 못했다.즉 이들의 암호체계가 그만큼 뛰어났다는 이야기이다. 사진의 인물들도 알려진 바 없슴
history2 18-03-30 22:16
   
종이를 빛에 빛춰야만 글자를 볼수 있는 방법 -> 화학 비사법
촐라롱콘 18-03-30 22:29
   
[[대한제국 선포 후에도 일본인들은 궁안에 군대를 배치해 고종을 감시하고...]]....???
.
.
적어도 고종이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궁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는
1897년부터 ~ 러일전쟁이 발발하여 일본군이 대거 조선에 상륙하게 되는 1904년 초 시기까지는....
일본군이 궁궐안에 군대를 직접 배치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대한제국군 내에서 친일성향의 장교들을 매수하여 간접적으로 고종의 동향을 감시할 수는 있다 하더라도.... 

적어도 제국익문사를 설치한 시기인 1902년 무렵은 대한제국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일본이 서로 팽팽히
균형을 이룬 시기였기 때문에..... 일본군이 직접 고종을 감시하는 것은 불가능한 시기였습니다.
history2 18-03-30 22:38
   
아마, 전 훈련대에 소속되었던 친일성향의 장교를 뜻하는 말 일 것입니다.  저도 글을 쓰면서 고종시대의 재조명,,,, 중 제국 익문사 부분을 참조했는데, 이 부분이 걸리기는 했습니다.  다소 어폐가 있다는 점 인정합니다
 
 
Total 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 [기타] 대한제국의 황제 고종의 삶 관심병자 08-16 1224
30 [기타] 대한제국 애국가 관심병자 12-02 1633
29 [기타] 대한제국 망국의 사견 (10) 관심병자 09-06 1977
28 [한국사] 1900년 대한제국 1인당 GDP 815달러, 아시아 2위, 서유럽 … 국산아몬드 10-03 1415
27 [한국사] 일본의 손자병법에 당한 대한제국 (1) 국산아몬드 02-27 946
26 [북한] (제 2편) 대한제국의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 (김현충=… 돌통 08-15 1167
25 [북한] (제 1편) 대한제국의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 (김현충=… 돌통 08-15 1257
24 [한국사] 대한제국 유물 (4) 쿤신햄돌 07-01 2047
23 [기타] [대한제국 120주년] 다시 쓰는 근대사 <12> 비상계… 관심병자 01-09 1962
22 [한국사] 왜 일제는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변경했을까? (6) 히든카드3 11-10 2750
21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궐 (평양의 풍경궁) (1) 히스토리2 05-29 2620
20 [한국사]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이방인 "헐버트"[대한… (6) 히스토리2 05-04 3279
19 [한국사] 대한제국 성립 후, 황제국으로서 지정한 5악 5진 4해 4… 히스토리2 04-22 1034
18 [한국사] 나름대로 저력이 있던 1900년 기준 대한제국의 GDP 고이왕 04-13 1461
17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에밀리 브라운에 대해 아십… history2 04-08 2065
16 [한국사] 대한제국의 CIA "제국 익문사" (6) history2 03-30 2813
15 [한국사] 고려왕조 의장기 조선왕조 왕가 의장기, 대한제국 독… (1) 고이왕 03-01 4461
14 [한국사] 대한제국은 아시아 2위의 경제대국”, 새로 쓴 한… (9) 진주만 02-28 1737
13 [한국사] 대한제국군의 마지막 전투 (8) 레스토랑스 10-07 3416
12 [한국사] 대한제국의 제식장비 국산화 노력들 (13) 인류제국 09-10 2509
11 [기타] 만약 대한제국 (4) 인류제국 09-09 1201
10 [한국사] 청과 대한제국의 무력충돌 (3) 인류제국 09-04 1982
9 [한국사] 대한제국은 무기력하게 망하지 않았다 (5) 국산아몬드 08-13 1856
8 [한국사] 대한제국의 군사조직 정비 및 운영 체계 인류제국 07-23 1208
7 [한국사] 미국인이 본 미국이 대한제국에 취했던 태도 솔루나 06-25 1496
6 [한국사] 한국 안의 일본인 (제14장 부분)-대한제국멸망사에 기… (6) 솔루나 06-20 1946
5 [한국사] H.B.헐버트가 쓴 대한제국멸망사를 읽으면서 느끼는 … (4) 솔루나 06-20 1656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