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10-06 02:25
[기타] 한국어로 분홍색은 한자어네요
 글쓴이 : 예왕지인
조회 : 1,999  

粉紅色 (분홍색) 

근데 '색' 이라는 단어도 한자어군요

그럼 순우리말로 색을 가르키는 단어는 뭔가요?

북방민족 알타이어족에서는

'색'을 가르킬때 뒤에 붙거든요

하늘(색)
분홍(색)
빨간(색)
노랑(색)

몽골어로도 비슷한데

검정색 Хар өнгө 하르 [웅그]
노란색 Цагаан өнгө 차강 [웅그]
흰색 Саарал өнгө 사~랄 [웅그]
빨간색 Улаан өнгө 올랑 [웅그]  

근데 순우리말로 '색' 이라는 단어가 한자 단어네요

色(se)

순우리말로 뭘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암바구룬 20-10-06 03:17
   
빛깔 아닌가요?
     
담배맛사탕 20-10-08 19:33
   
눈깔. .
ijkljklmin 20-10-06 07:20
   
빛, 빛깔, 빛결, 빛살

깔 맞춤이라고 하잖아요.
행복찾기 20-10-06 10:18
   
빛(깔)이에요..
하늘빛 푸른빛, 검은빛, 노란빛,,,,

누르띵띵한 빛을 띤 강아지 한마리가 검은빛 애미를 따라 집으로 들어왔다.
일곱 빛깔 무지개가 비온 뒤 하늘을 수놓았다.
     
행복찾기 20-10-06 11:14
   
분홍색을 가리키는 우리말은 수십가지가 있어요..
예를 들면.. 난꽃색 복숭아꽃색, 따오기색 등..
이 때 말하는 분홍색은 그 명도, 조도, 채도에 따라 다양한 우리말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색을 빛 또는 빛깔로 바꿔 불러도 됩니다.
세상에서 가장많은 빛깔에 대한 표현을 갖고 있는 언어가 우리 한국어입니다.
왜구어에는 존재하지도 않죠.

빛 또는 빛깔에 대해 알고 싶다면
우리말 색이름사전(KBS한국색채연구소)을 참조해보세요.
          
윈도우폰 20-10-06 15:30
   
고유색명, 계통색명, 관용색명 등등 ...

고유색명이야 정말 많지만 관용적 색표현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입니다...

분홍색은 관용색명이 나올 만큼 우리에게 인기있는 색이 아니어서이기도...많이 쓰이는 빨강에서 녹색까지는 톤(명도와 채도)에 대응할 정도 엄청 많은 색명이 있습니다. 어쨌든 우리의 대표적인 색은 오방색...

무지개를 일곱색으로 본 것은 서양의 영향...우리 나라는 무지개를 7색이 아닌 5색 그래서 오색영롱한 무지개라고 한 것입니다...실제 파장이 높은 남색에서 보라색, 빨강까지는 색경계가 파장이 낮은 노랑이나 파랑 만큼 명확하지 않지요.

분홍색에 해당하는 고유색명이 없는 이유는 단순...우리는 왜인들 처럼 고채도의 난색 계열을 좋아하지 않거나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일 뿐임...선호색은 나라마다 다르고, 그에 따라 특정 색에 대한 표현 역시 나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왜인들이 빨강, 주황 쪽의 밝은 색(vivid ~ bright, pale)이 풍부하다면 우리는 노랑에서 녹색 쪽의 deep하거나 strong한 톤에 대한 색표현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은 편
     
예왕지인 20-10-07 00:05
   
빛은 그냥 빛인데요??
          
암바구룬 20-10-07 02:08
   
그럼 "깔"이겠네요.
          
암바구룬 20-10-07 02:15
   
그리고 단어라는 게 외국마다 다르지 않을까요?
빛이 색이라는 뜻이 될 수도 있고, 땅이 국가라는 뜻이 될 수도 있고, 국가가 성(유적)이라는 뜻이 될 수도 있고.....
          
가을겨울봄 20-10-10 09:34
   
색을 의미하기도 하죠
보라빛 쪽빛등등
          
하늘나비야 20-10-10 11:24
   
빛이 색을 낸다 란 느낌이라 쪽빛 하늘 빛  또는 빛깔로 대체가 가능 하죠 색이란 말이
          
구름위하늘 20-10-10 11:51
   
한자사전을 보면 빛 색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음은 색이고 훈은 빛이죠.
즉, 색 == 빛 입니다.
윈도우폰 20-10-06 10:52
   
왜왕지인....

얘는 꼭 복선을 깔고 글을 올리던데 ...이번 어떤 의도일까?

왜어에는 색에 대한 고유어가 있다고 자랑하려는 의도 아닐까? 하여간 왜놈 종특을 볼 수 있는 듯...왜어의 색 이로...왜놈 들 음흉함이 색처럼 다양해서 왜놈 이로이로^^
할게없음 20-10-06 15:38
   
왜 본인이 모르는 건 죄다 없다고 간주하는 걸까? 포털 사이트 검색창은 폼인가?
테킨트 20-10-06 16:18
   
동남아쉑 오늘도 이상한거 들고 왔네
81mOP 20-10-06 17:01
   
그냥 빨강 파랑 노랑 하양 ?
     
예왕지인 20-10-07 00:04
   
억지
추적60초 20-10-07 03:27
   
본문 글 쓴이는 한자를 어느정도 아시오?
켈틱 20-10-09 22:54
   
참고로 분홍은 말그대로 화장품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특히 '홍' 이 뜻하는 것이 '연지' 였는데, 이 '연지' 의 시초가 상나라(은나라)로 부터이니
한족만의 문화로 보는 것은 무리입니다.
한민족에게는 고구려나 신라에서도 유행하게되고 잠시 사라졌다가
후대에 몽골로부터 연지가 재유입되면서 한반도에서도 다시 유행하는 계기가 되죠.
     
예왕지인 20-10-10 02:06
   
상나라는 중국인데요?
한국 역사 보면 죄다 중국으로 부터 유래가 상당한데 ㅎㄷㄷ
모든걸 부정하다뇨 ㅋㅋㅋ
          
하늘나비야 20-10-10 11:28
   
죄다는 아니죠 문화란게 한쪽으로만 흐르진 않아요 고려양 같은거 생각해 보세요 지금 중국은 그걸 한국 전통복 한푸라고 홍보 하고 있죠 그러면서 한국의 한복이 한푸 카피한 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쪽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많은 건 사실이고 그걸 누가 아니라고 부정합니까.. 중국도 마찬가지로 한국의 고대사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들을 인정해야지요 한국보고만 인정하라고 하지 말고 자기들은 왜곡하면서 자꾸 왜 한국만 가지고 딴지를 거는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중국 그게 심해요 내것도 내것 니것 내것  역사에서 보면 동북공정 보세요 그게 짐 조상을 갈아 타는 거지 .. 진짜 그게 그들의 역산지
          
구름위하늘 20-10-10 11:58
   
중국이라는 단어는 상당히 애매한 용어입니다.
중국이라는 국가명을 사용한 나라는 실제 중국이라고 주장되어지는 땅에 없습니다.
그냥 지역적인 통칭 수준이고 명확한 실체가 없죠.

흔히 이야기 하는 화족이 만들어낸 나라에 상나라는 속하지 않습니다.

상나라와 은나라의 주요 인적 구성은 동이족 입니다.
상나라가 중국이냐는 주장에는 사람에 따라서 의견이 갈릴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서 대영제국(The Great British)에는 스코틀랜드와 영국이 모두 포함되지만
스코틀랜드가 영국이다라는 주장에는 모든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반대할 겁니다.

상나라가 중국 땅에 있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만
상나라가 중국이다라는 주장에는 반대합니다.
 
 
Total 5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 [기타] 일본계 인도인추정 85만유투버. 일본인 논문을 내세… (4) 조지아나 11-12 882
53 [한국사] [FACT] 인도어(타밀어, 드라비다어)와 한국어 비교 검… (6) 아비바스 11-11 566
52 [한국사] [FACT]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쳐(NATURE)" 한국어의 기원… (1) 아비바스 11-10 699
51 [한국사] [FACT]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쳐(NATURE)" 트렌스유라시… (1) 아비바스 11-10 542
50 [한국사] [FACT]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쳐(NATURE)" 요하문명은 트… (14) 아비바스 11-10 591
49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와 중국어가 뿌리부터 다른 이… (7) 아비바스 09-21 1635
48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 기원, 9000년전 "요하문명" 서요… (3) 아비바스 09-21 1250
47 [한국사] 네이처(NATURE) - 요하문명은 한국인과 어떤 관계가 있… (3) 아비바스 09-21 1142
46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는 9000년 전, 서요하의 농경민 (1) 아비바스 09-21 1016
45 [한국사] 네이처(NATURE) -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 (1) 아비바스 09-21 920
44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인의 기원은 요서, "트랜스유라시… (21) 아비바스 09-18 1645
43 [기타] 인도 드라비다어 기원 _ 우랄, 알타이어와 관계 있다… (4) 조지아나 12-29 1405
42 [한국사] 야요이의 볍씨와 수전에 대한 질문과 답(?) (13) 밑져야본전 12-11 944
41 [한국사] 한국어 기원은 9000년前 중국 동북부 요하의 농경민 (1) 사랑하며 11-11 1227
40 [한국사] 난제 하나만 요청 받음 (14) Player 08-28 1117
39 [기타] 한국과 미얀마.. 양국협력 관계 가속화.... (22) 조지아나 01-24 2235
38 [기타] 한국어 고립어 분류 , 세계유일 독창성 근거가 일본… (25) 조지아나 01-18 3336
37 [한국사] 향가의 완전한 해석에는 Tamil (타밀어) 필요하다 & 서… (1) 조지아나 11-30 1500
36 [한국사] [펌글] 한국어는 인도-아리안어에 가깝다 (2017년 게시… (1) 조지아나 11-16 1776
35 [한국사] 일본어의 기원은 타밀어_저서 소개 / 일본어의 뿌리… (2) 조지아나 11-16 1690
34 [기타] 한국어로 분홍색은 한자어네요 (22) 예왕지인 10-06 2000
33 [한국사] 한국어는 세계 언어의 모태이다. (11) 백운 03-10 2974
32 [세계사] [잡담] 한국인의 사촌? 흥미로운 '토(土)족' 스… (15) hojai 02-06 3834
31 [세계사] [책] 중앙유라시아 세계사 : 프랑스에서 고구려까지 (16) 떡국 10-29 2314
30 [세계사] 흉노와 유목민족에 대한 재 인식 (6) history2 03-25 2086
29 [기타] 만주 · 퉁구스 어족 민족 (2) 관심병자 03-15 1531
28 [기타] 스키타이 (1) 관심병자 03-12 1727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