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9-25 06:06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9
 글쓴이 : 비좀와라
조회 : 1,847  

금金의 초음初音[kəsər]이지만 [kərə(가라)], [sərə(사라)] 두 음으로 분지되었음을 앞에서 보았다. 금<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금, 오색금야五色金也라 하여 오색 빛을 언급한 것이다. 금이 호족虎族인 서융西戎 [가라]족의 발명이기 때문에 금[가라]로 명명한 것으로 볼 것이다. 오행에서도 금은 서西에 속했다. 서西의 우리말이 [가라>갈>]인 것도 이 시기 서융西戎 [가라]족에서 온 것이 분명하다. 앞서 지적했듯이 서풍西風갈풍이라 한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가라)를 서방지행西方之行이라 한 것도 이와 관련한 것이다.

금金[가라]로 읽은 예는 고대지명 표기에 자주 나타난다. <삼국유사1>에 금산金山을가리촌加利村이라 하여 금[가리(<가라)]로 읽었고, <삼국사기36>에서 구지지산仇智只山을 금구金溝라 했는데 당산唐山이라고도 했다. 구지仇智 : 금: 당이 모두 [가라]로 읽혔다는 셈이다. 구지仇智의 상고음 [gjəgw], [ti ̯e ̆g][가다]로 반사되어 [가라]로 읽었다. 당산唐山에 대해 북한 학자 류렬(1983) 교수는 원래의 이름과는 상관없는 사대주의적인 이름이다고 했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는 몰라도 당은 상고음에 daŋ, glaŋ 둘로 음독된 것이다. glaŋ의 초음은 [gələ(가라)]이다. 당은 일본어 훈독에서도 から[kara(가라)]로 읽고 있다. <삼국사기34,44>에 가라加羅, 가락伽落을 금해金海로 기록한 것도 금[가라]로 읽었다는 것이고 해, 강, 천역시 모두 [가라]로 읽어 중첩표기 한 것이다. 이밖에도 금[가라]~[가라]로 읽은 예는 고대지명에 흔히 나타난다.

 

마한馬韓[말가라>말가라]로 읽었다는 또 다른 증거를 보자. 온조가 마한馬韓을 금마金馬로 바꾸자, 멸망한 마한馬韓의 백성들은 조국의 이름인 마한馬韓을 쓸 수 없었지만 <삼국사기8>에 기록된 바, 마한馬韓을 대문大文이라 했다. 대크다는 뜻의 마(말)과 일치하고, [가라]로 읽었다. 의 훈독은 [가라>갈>]로 변천하였다. <승람29>에서 고사/갈이高思/曷伊를 관/문/이라 하여, 고사高思(갓 관)에 대응되어 [고ᄉᆞ]로 읽었고 (글 문)은 갈이曷伊에 대응되어 [가리]로 읽었으며 현대의 [곳갈>고깔]을 의미했던 것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양골梁骨은 양문梁文, 독홀獨訖이라 하였는데 골, 홀의 초음은 [가라]로서 문의 훈독 [가라]와 일치한다. <삼국사기35>에가지달加支達(가리달)은 청문菁山, 문산文山이라 했다. 청은 초음初音 [가라]로 음독되었고 청과 동음이다. 중국 지도에서 청을 어두로 한 지명은 모두 우리민족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문또한 [가라]로 훈독되었다. 이밖에 {가라]~[가라>]로 훈독된 예는 고대지명에 흔히 나타난다.

결국, 망국의 백성들은 옛 이름을 쓰지 못하고 대문大文으로 써두고 훈독하여 옛 조국의 이름 [말가라]로 읽었던 것이다. 이것은 마한馬韓[말가라]로 읽었다는 또 다른 증거이다.

마한馬韓[마라가라]로 읽혔다가 음절말 자음을 허용한 시기부터는 [말갈>말갈]로 읽혔다. 그 의미는 맏가라’, [가라]족 가운데 가장 큰맏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말갈靺鞨과 음이 같은 점에 천착할 일이다. 이들의 관계와 그 의미는 무엇일까?

 

2) 말갈靺鞨

 

갈靺의 상고음은 [mat]이고 초음初音[mər]이다. [mar]>[mad]>[mat]로 변천하였다.갈의 상고음은 [gat]이며 초음初音[gər]로 재구된다. [gar]>[gad]>[gat]로 변천한 것이다. 음상으로 보면 g/k 외에는 마한馬韓과 일치한다. 그러나 k는 처음의 g가 무성음화를 겪은 것이라 할 것이다. 그래서 청靑代 학자들은 이 교체를 <음입대전>이라했던 것이다. 이처럼 마한馬韓과 말갈靺鞨이 음성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은 동일 종족임을 시사한다. 당시의 사람들은 종족의 이름을 자신들의 정체성이라 생각하였으므로 종족의 이름을 유사하게 쓰거나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면 문자를 기준으로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해당 문자를 만들 때는 반드시 그 저변에 종족의 특징이 있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한韓의 의미부인 위와 말갈靺鞨의 의미부인 혁은 둘 다 가죽을 의미한다. 이 두 종족은 필시 가죽을 잘 다루는 기술을 가진 동일 종족이었음이 분명하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방탄 같은 첨단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이 있었던 것이다. 이 가죽은 화살이 뚫지 못하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는 추측이다. 위는 삶은 가죽을 말하며 혁은 생가죽을 말한다. 이로써 보면 기술적인 측면에서 마한馬韓 [말갈]이 말갈靺鞨 [말갈]을 앞선다 할 것이다. 무엇보다 이 두 종족이 종족명을 같이 쓰고 가죽을 다루는 종족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것은 동일 종족임을 확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일단 한과 갈이 의미면에서 모두 가죽을 다루는 종족임과, 음독면에서 모두 을 뜻하는 가라인 이상, 한과 갈[가라<(가라)]를 말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마한馬韓과 말갈靺鞨은 가라족가운데 장자격인 [가라]를 말하는 것이다. 말갈靺鞨과 마한馬韓은 동일 종족인 것은 돌궐突厥과의 관계에서도 분명하다 할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3,59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380 [기타] 동북공정과 홍산문명 (5) 바람따라0 09-30 1917
3379 [기타] 왜 이 게시판은 이렇게 민족주의사관을 가진 사람들… (17) 고지호 09-30 3127
3378 [기타] 식민빠들의 무리수 (3) 환빠식민빠 09-30 1592
3377 [기타] [펌] 이병도에 대한 오유의 어떤 님의 글 (6) 고지호 09-30 1934
3376 [기타] 댕기머리의 뿌리에 대해 아시는분? (6) 우디 09-30 1791
3375 [기타] 이병도의 문제점 (모사이트에서 차단한 글) (11) 바람따라0 09-29 3290
3374 [기타] 서양에서 만든 역사다큐 (5) 두부국 09-29 2772
3373 [기타] 삼국사기 삼국시대 초기기록 불신론에 생각해 봅니… (3) 비좀와라 09-28 4985
3372 [기타] 삼국사기에 나오는 한사군 기록들 -1- (26) 꼬마러브 09-28 5733
3371 [기타] 동북아 각국인들의 외모 (12) 넌몰라도되 09-27 5954
3370 [기타] 신라 황룡사 지붕 치미 크기 (5) purenature 09-25 5400
3369 [기타] 한국의 사라진 거대 건축문화재들 (3) purenature 09-25 9293
3368 [기타] 아름다운 신라 월정교 (2) purenature 09-25 2323
3367 [기타] 황룡사 9층 목탑 복원도 (2) purenature 09-25 4740
3366 [기타] 중국의 국민성 (6) 두부국 09-25 3150
3365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12(대종결) (1) 비좀와라 09-25 4045
3364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11 비좀와라 09-25 1837
3363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10 (1) 비좀와라 09-25 1737
3362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9 비좀와라 09-25 1848
3361 [기타] 부여 갑옷 무기 (1) 두부국 09-25 3621
3360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8 비좀와라 09-25 2721
3359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7 비좀와라 09-25 1917
3358 [기타] 고구려복식 2 두부국 09-25 8381
3357 [기타] 고구려 복식 1 (3) 두부국 09-25 9928
3356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6 비좀와라 09-25 2035
3355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5 비좀와라 09-25 1656
3354 [기타] 잘못된 한국인의 인식 (3) 해달 09-25 1806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