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5 15:31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254  

요동지형도와지명.jpg


일반 지도로 보는 것고 위성 지형도로 보는 것에는 감각적 정보차가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5-05 16:07
   
1 ㅡ 고려는 고려 광종 때인 10 세기 중반에 숙여진 지역을 적극 공략하여 현 판진시 일대(보주 래원성, 흥화진)까지 진출합니다<고려사 서희 열전>

2 ㅡ 고려 성종 때인 10 세기 후반에 현 요하인 당시 압록강을 따라 그 지역 여진족(발해 유민)과 갈등을 일으키며 성보 축성과 정지 작업을 계속합니다 이 시기에 거란이 여진을 공격할 때에 요하 하구쪽의 길을 터주고 묵인하는 태도를 취하여 여진(발해 유민)은 송에 이 사실을 고발하며 하소연하고 송은 고려에 한국화를 파견하여 진상에 대한 시비를 걸며 고려로 하여금 거란을 공격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고려는 소극적 태도를 취합니다

3 ㅡ 거란이 현 심양/무순 지역을 중심한 여진 세력을 986에 대대적으로 정벌(10만 명의 포로, 20만 두의 말 획득)하자 그 후에 압록강 정지작업을 계속하여 991년에 완료(잔여 여진 세력을 백두산/장백산 북쪽으로 쫓아냄)합니다 이 시기 고려의 서북계가 어디까지 진출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혼하 상류까지 진출했다고 판단됩니다

4 ㅡ 거란은 1차 침략의 993 협정에서 고려에게 현 무순/요원 라인에 해당하는 강동6주를 할양하나 2차 침략에서 현 판진 일대의 고려 영토를 빼앗았습니다

5 ㅡ 3차까지 진행된 거란의 근 30 년에 걸친 고려 침략으로 고려의 서북계는 잉커우ㅡ태자하 선으로 후퇴하고 혼하 상류ㅡ요원ㅡ장춘ㅡ길림 선의 강역을 확정하여 하얼빈 지역의 여진을 간접지배하고 흑룡강ㅡ연해주 지역의 여진을 직접지배하여 전성기 100 년을 구가합니다
탈레스 18-05-05 16:45
   
와... 감방님 어떻게 보면 학자인것 같으세요.
그리고 자료들도 지도와 이거에 근거한 사서 기록을 병행해서 첨부하니깐 확실히 보기가 좋네요.
     
감방친구 18-05-05 17:53
   
감사합니다
고구려 평양이 고려 서경이고 그곳이 지금의 북한 평양이 맞는가, 지금 압록강이 고구려/고려의 압록강이 맞는가, 최초 철령위가 교과서 대로 함경도의 철령이 맞는가ㅡ를 실제 사서에서 추적 고찰해 보자 하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Marauder 18-05-05 20:18
   
점점 더 세련되져가네요. 동북계도 궁금해지네요
     
남북통일 18-05-05 20:31
   
사방 경계[四履]를 보면, 서북은 당(唐)나라 이래로 압록(鴨綠: 압록강)을 한계로 삼았고 동북은 선춘령(先春嶺)10)을 경계로 삼았다. 서북은 그 이르는 곳이 고구려에 미치지 못했으나 동북은 그것을 넘어선 것이다.-고려사
     
감방친구 18-05-06 01:18
   
동북계는 우선 거란이 숙종 책봉문에서 말한 "북으로 용천까지"의 용천의 위치를 찾는 게 중요합니다

길림합달령을 따라 선춘령에 해당하는 현 목단강시까지가 고려의 동북계이며 목단강 동쪽의 흑룡강과 연해주 지역은 고려 문종 때에 행정구역으로 편성하였으나 그 한계는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그쪽 여진족이 모두 귀순하였으므로 연해주까지 고려 영토였다 말할 수 있습니다
북창 18-05-06 11:56
   
이런거 보면...원나라 때문에...우리나라가 요모양 요꼴이 된 거네요...쩝;;
딱 각이 나오는듯...
쌍성 총관부도 저 지역이었을 테고... 공민왕이 일시적으로 회복했지만...홍건적에 개털리면서 국력이 파탄이 난 상태라 회복한 지역을 경영할 여력이 안되었던 것이고...자연히 명나라에 흡수가 되어버렸을듯...
     
감방친구 18-05-06 13:15
   
예, 원나라 때가 기점입니다
또 공민왕이 회복한 다음에 명이 요심 지역에 진출하면서
심양과 본계 사이인 봉집을 기준으로 명과 고려의 경계가 나뉘어졌다가
조선이 명 중심의 국제질서에 순응하면서
1400년 대가 되면 연산관을 거쳐 봉황성까지 내려옵니다
그리고 후금이 들어서면서 현 압록강으로 굳어지죠
     
6시내고환 18-05-06 18:16
   
정확히 보셨습니다 ㅠㅠ
 
 
Total 5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9 [한국사] 8세기 안동도호부의 실상 (13) 감방친구 05-11 2280
348 [한국사] 영주와 연군성, 여라성의 위치 추적 (4) 감방친구 05-10 1222
347 [한국사] 고대 행군 속도(거리)의 이해 (20) 감방친구 05-08 2045
346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20
345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9) 감방친구 05-05 2255
344 [한국사] 거란 동경도 실제 영역 감방친구 05-05 2527
343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85
342 [한국사] 거란 동경도 교치상과 고려의 서북계 (3) 감방친구 05-04 1510
341 [한국사] 거란 국경수비대 배치 기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7) 감방친구 05-03 2072
340 [한국사] 현 요하 물줄기를 착각했네요 (11) 감방친구 05-01 1676
339 [한국사] 무경총요와 거란 동경 (3) 감방친구 05-01 1310
338 [한국사] 요택의 위치(시각화 지도) (10) 감방친구 04-30 4153
337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개략도 (12) 감방친구 04-29 3429
336 [한국사] 거란과 고려 접경지 관련 기록 종합 교차 (시각화 지… (8) 감방친구 04-29 2716
335 [한국사] 각 시대 사서에 기술된 압록강의 위치 (15) 감방친구 04-29 3723
334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성의 위치 비정(시각화) (6) 감방친구 04-27 2522
333 [한국사] 요서 지역 성곽 유적 (8) 감방친구 04-26 1291
332 [한국사] 건안성과 요동성의 비정 감방친구 04-26 1169
331 [한국사] 무경총요의 몇 가지 맹점과 해석 감방친구 04-26 1043
330 [한국사] 고려 전기 강역 시비 (5) 감방친구 04-26 1054
329 [한국사] 현 요하의 물길이 의문이다 (3) 감방친구 04-26 1046
328 [한국사] 무경총요 분석 경과 감방친구 04-26 1047
327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각 성의 위치 시각화(수정안 게… (20) 감방친구 04-25 2910
326 [한국사] 거란 요수와 동경 추적 (9) 감방친구 04-25 1775
325 [한국사] 거란 동경은 현 요양이 아니었다 (25) 감방친구 04-24 1816
324 [한국사] 시대별 동일지명 기술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 (7) 감방친구 04-24 1282
323 [한국사] 몹시 혼란스럽고 복잡하네요 (1) 감방친구 04-23 103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