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6 13:48
[한국사] 현 요하의 물길이 의문이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048  

소릉하, 대릉하를 소요수ㅡ대요수로 나누고 통칭 요수라 한 것처럼

현 요하도 쌍태자하ㅡ대요하 이렇게 통칭 압록이라 한 것인가?

아무리 봐도 고중세에 요하 하구는 오늘날과 같이 두 개로 보인다

어짜피 한 강인데 하구가 두 개인 거니까

고지도를 봐도 어떤 거는 하나 어떤 건 둘로 표현하니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독산 18-04-26 16:23
   
동요하와 서요하가 합류해 흐르는 물줄기를 요하강이라 일컫는다. 그러므로 복덕점에서부터 요하로 불리는 이 강은 남쪽으로 철령지역을 지나 심양 경내의 석불사(石佛寺) 저수지와 신민(新民), 요중(遼中)을 거쳐 안산(鞍山)지역의 대안(臺安), 해성(海城)과 반금(盤錦) 지역의 반산(盤山)과 접경지대에 들어선 다음 삼차하(三叉河)란 곳에서 지류인 혼하강과 태자하가 합류된 물줄기와 외요하(外遼河)로 연접되었다. 이리하여 요하강은 여기서부터 두 갈래로 갈라진 셈이다.

한 갈래는 반금으로부터 발해(渤海)로 흘러들고, 다른 한 갈래는 영구(營口)에서 발해로 유입한다. 이 두 강줄기 사이에 원래 외요하가 이어져 있어 강물이 서로 통하였다. 그런데 1958년, 반산현 육간방(六間房)지역의 외요하를 막아버려(이로 인하여 외요하가 폐기됨) 두 강줄기가 제각기 바다로 흘러들게 되었다. 요하강 원래 물줄기는 반금에서 바다로 흘러드는데 쌍대자하(雙臺子河)라 부르고, 혼하와 태자하가 합류된 물줄기는 영구에서 바다로 흘러드는데 대요하(大遼河)라 부른다. 요하강의 상류는 동요하와 서요하의 발원지에서부터 두 강물이 합쳐지는 복덕점까지고, 복덕점에서 심양 북쪽 석불사저수지까지는 요하강 중류이며, 석불사저수지에서 쌍태자하 입해구까지는 요하강 하류인데 이 구간을 하요하(下遼河)라 일컫는다.〔《고구려 유적 답사기행》(55) <동진 수.당 저지..고구려 서북부 지켜낸 천험의 요지>, 장광섭(중국문화전문기자)·윤재윤(요녕 조선문보기자).〕
     
감방친구 18-04-26 17:47
   
아주 속시원한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중국역사시도집에서 제시한 물줄기는 사기군요
감방친구 18-04-28 14:57
   
아니네요
제가 다시 알아보니

본류는 하나로 현 잉커우로 나가는 게 맞고
판진 방면의 물줄기 수량은 지금처럼 많지 않았답니다
그런데 비가 오면 잉커우쪽으로 물이 너무 넘쳐서 1958에 외요하(추자하)에서 요하로 들어오는 물길을 막은 뒤로 소위 쌍태자하라는 큰 물길이 생긴 거라네요
 
 
Total 5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9 [한국사] 8세기 안동도호부의 실상 (13) 감방친구 05-11 2280
348 [한국사] 영주와 연군성, 여라성의 위치 추적 (4) 감방친구 05-10 1223
347 [한국사] 고대 행군 속도(거리)의 이해 (20) 감방친구 05-08 2046
346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20
345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9) 감방친구 05-05 2255
344 [한국사] 거란 동경도 실제 영역 감방친구 05-05 2528
343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85
342 [한국사] 거란 동경도 교치상과 고려의 서북계 (3) 감방친구 05-04 1512
341 [한국사] 거란 국경수비대 배치 기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7) 감방친구 05-03 2072
340 [한국사] 현 요하 물줄기를 착각했네요 (11) 감방친구 05-01 1677
339 [한국사] 무경총요와 거란 동경 (3) 감방친구 05-01 1310
338 [한국사] 요택의 위치(시각화 지도) (10) 감방친구 04-30 4154
337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개략도 (12) 감방친구 04-29 3429
336 [한국사] 거란과 고려 접경지 관련 기록 종합 교차 (시각화 지… (8) 감방친구 04-29 2716
335 [한국사] 각 시대 사서에 기술된 압록강의 위치 (15) 감방친구 04-29 3723
334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성의 위치 비정(시각화) (6) 감방친구 04-27 2524
333 [한국사] 요서 지역 성곽 유적 (8) 감방친구 04-26 1291
332 [한국사] 건안성과 요동성의 비정 감방친구 04-26 1171
331 [한국사] 무경총요의 몇 가지 맹점과 해석 감방친구 04-26 1045
330 [한국사] 고려 전기 강역 시비 (5) 감방친구 04-26 1056
329 [한국사] 현 요하의 물길이 의문이다 (3) 감방친구 04-26 1049
328 [한국사] 무경총요 분석 경과 감방친구 04-26 1047
327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각 성의 위치 시각화(수정안 게… (20) 감방친구 04-25 2911
326 [한국사] 거란 요수와 동경 추적 (9) 감방친구 04-25 1776
325 [한국사] 거란 동경은 현 요양이 아니었다 (25) 감방친구 04-24 1816
324 [한국사] 시대별 동일지명 기술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 (7) 감방친구 04-24 1283
323 [한국사] 몹시 혼란스럽고 복잡하네요 (1) 감방친구 04-23 103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