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2-08-09 21:27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1/2
 글쓴이 : 위구르
조회 : 1,071  


1/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22-08-10 13:38
   
유튜브 보고 올릴려고 왔는데 벌써 올리셨군요.
     
위구르 22-08-10 14:23
   
하늘의 계시를 받은 덕분이죠
흥무대왕a 22-08-10 14:40
   
잘 봤습니다.
영상을 보니 "방X리는 한 변의 길이가 X리"가 맞는 듯 합니다.
제가 잘못 알았네요. 죄송합니다.

문제는 그 다음인데... 그 크기로 삼국지에서 표현하는 동이 각 나라의 모양을 그리면 어떤 그림이 될까요? 무쿠리님 유튜브에 질문 남겼는데, 어떤 답변이 나올지 흥미진진 합니다.
     
흥무대왕a 22-08-10 19:20
   
무쿠리님이 길게 답변을 남겼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고구려, 부여는 크기가 적절해 보인다
2. 삼한은 크기가 과장되었다. 삼국지에서 대방에서 구야한국까지의 거리를 7천리라고 했으니, 한반도 중남부 한변을 4천리로 파악했다. (변의 길이 4배, 면적 16배 과장)
3. 부여의 중심지는 길림이 아니라 장춘시로 추정

고구려, 부여의 경계에 대해서 의견을 주셨는데, 정확한 그림은 시간이 나면 그려봐야겠습니다.
방2천리를 단순한 사각형과 최대치인 원으로 그리니 얼토당토 않은 그림이 나오네요.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49
477 [기타] 마자르족 말갈족? (4) 관심병자 07-18 2084
476 [기타] 고인돌 1140개 불가리아, 부여족 후예 ‘불가르족’이… (1) 관심병자 07-19 2502
475 [기타] 기자조선에 대하여 관심병자 07-25 791
474 [기타] 부여 말갈 관계 가설 (1) 관심병자 07-26 965
473 [중국] 간장게장은 중국 전통음식이다 (2) 살강살강 07-31 1308
472 [한국사] . (6) 흥무대왕a 08-01 1360
471 [한국사] 삼국지에 나온 삼한의 면적 (19) 위구르 08-02 1597
470 [한국사] 낙랑군 변천사와 평양성 (13) 흥무대왕a 08-02 1369
469 [기타] 외국 드립이 되어버린 한글 (7) 관심병자 08-05 1246
468 [한국사] 일본의 백제 왕족 성씨 분석 (다타라(多多良), 우라(… (2) 보리스진 08-07 1698
467 [기타] . (8) 흥무대왕a 08-08 1031
466 [기타] 기자 조선 / 한 군현 /고구려 서계 위치 (2) 관심병자 08-09 1333
465 [한국사] 발해 중경 현덕부의 위치 확인 위구르 08-09 1228
464 [한국사] 발해의 통설 영토로 본 방의 개념 위구르 08-09 1293
463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1/2 (4) 위구르 08-09 1072
462 [한국사] . (13) 흥무대왕a 08-10 1333
461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2/2 (7) 위구르 08-13 992
460 [기타] 선비와 거란은 단군의후예, 동이의 역사 관심병자 08-14 1192
459 [한국사] . (8) 흥무대왕a 08-15 1124
458 [한국사] 단군의 어원 분석 (단군왕검의 아들 부루를 기준으로… (4) 보리스진 08-16 1563
457 [한국사] 고구려 요동성의 실제 위치 (3) 파스크란 08-16 1678
456 [기타] 일종의 해학 위구르 08-16 936
455 [한국사] 요수와 위만조선의 위치 탐구 위구르 08-16 1194
454 [기타] 유라시아의 공유 샤머니즘 관심병자 08-17 1008
453 [기타] [인용] 인도네시아 프라보워는 중국계 후손 ?~ 조지아나 08-18 1161
452 [한국사] . (11) 흥무대왕a 08-18 1230
451 [한국사] 시대별 한사군 현과 인구수의 변화 위구르 08-19 1284
 <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