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8 20:18
[기타] 소소한 역사탐방 (성북동)... 2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809  

5.성락원과 의친왕

 

성락원(城樂園)은 서울에 남아있는 몇 안되는 조선시대 별장이다.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沈相應)의 별장이었고,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35년간 거처 겸 별궁(別宮)으로 사용했던 곳이기도 하다.


성락원.jpg


1919119일 상해임시정부로 탈출하려던 사건이 가장 유명하다. 3.1 운동 직후인 413, 여러 독립운동 세력들은 드디어 세를 규합해 상해임시정부를 창설한다. 이 상해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는 아직 미약하고 주목받지 못하는 상해임시정부에게 내부적으로는 구심점, 대외적으로는 정당성을 강화하고 조선인들은 물론이고 전 세계의 관심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의친왕 망명을 계획한다. 만약 성공한다면, 조선 황족의 입을 통해서 조선인들은 마음으로 일본의 통치를 원한다는 일본의 선전전에 대항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되었다. 게다가 의친왕은 망명 정부가 수립되면 황족으로서의 예우를 버리겠다고 하였다.


의친왕.jpg

 

19191120일자 독립신문에 실린 의친왕의 성명에 독립되는 우리나라의 평민이 될지언정 합병한 일본의 황족 되기를 원치 않는지라.”라고 언급했다.

성락원안채.jpg


 

6.한용운과 심우장

 

만해는 3·1운동으로 3년 옥고를 치르고 나와 성북동 골짜기 셋방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 때 승려 벽산(碧山) 김적음이 자신의 초당을 지으려고 준비한 땅 52평을 내어주자 조선일보사 사장 방응모 등 몇몇 유지들의 도움으로 땅을 더 사서 집을 짓고 '심우장'이라고 하였다.

 

심우장.jpg

심우장(尋牛莊)’이란 명칭은 선종(禪宗)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 가지 수행 단계 중 하나인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다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용운이 쓰던 방에는 한용운의 글씨, 연구논문집, 옥중공판기록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심우장의 이름처럼 인간의 본성에 대한 소박한 명상이 가능하다.

 

7,선잠단지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단은 고려 성종 2(983)에 처음 쌓은 것으로, 단의 앞쪽 끝에 뽕나무를 심고 궁중의 잠실(蠶室)에서 누에를 키우게 하였다.

 

선잠단지.png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도에 있는 잠실을 서울 근처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지금의 강남 잠실이 바로 옛 잠실들이 모여 있던 곳이다.

 

선잠단의 설치 이후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내다가 1908년 잠신이 의지할 자리인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기면서 지금은 그 터만이 남게 되었다.


성북동 비둘기.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678
640 [한국사] [FACT] "강감찬" 이지 "강한찬" 이 아니다. (3) 아비바스 11-15 828
639 [북한] 한반도의 비핵화는 누가 깨뜨렸나.? 비핵화역사. 04편 (1) 돌통 07-20 827
638 [한국사] 4/24 윤훈표 교수의 연려실기술 live (1) 이름귀찮아 04-24 827
637 [한국사] 여기가 무슨 지들 놀이터인줄 착각하는 식빠들 (2) 징기스 06-11 826
636 [한국사] 현대인이 한국의 천문학사를 볼 때의 오류 솔루나 06-27 825
635 [기타] 여기서 지금 누가 난독인지 님들이 판단 좀 해주세요 (2) 소고기초밥 09-21 825
634 [북한] 정치적이지 않고 오직 (진실,사실적인 김일성 인생..)… 돌통 04-12 825
633 [북한] 독립운동가 손정도 목사와 김일성의 관계.02편 돌통 09-14 825
632 [기타] 낙랑 이란것은 상식을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6) 관심병자 04-27 825
631 [중국] . (5) cordial 01-14 824
630 [기타] 민족? (12) 개울 07-13 824
629 [한국사] (5)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824
628 [중국] 쑨원에게 도전한 광동상단의 단장, 첸렌보 2 히스토리2 06-03 824
627 [북한] <다시쓰는한국현대사> (동북)東北항일(연)聯군활… 돌통 03-30 824
626 [북한] 의심스러운 김 주석의 죽음.01편.. 돌통 05-29 824
625 [한국사] 임찬경 박사 교육부 출간금지 서적 출간 강행 기자회… 보리스진 09-24 823
624 [한국사] 한국 역사 영상 (9) 예왕지인 10-12 823
623 [한국사] 조선시대 신문 [조보] 국가지정 문화재 된다 mymiky 11-12 823
622 [한국사] 대안사학 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제안합니다. (37) 엄근진 07-11 823
621 [한국사] 수경주 백랑수 상류 2 창려군 광흥현의 구성 삼바 10-04 823
620 [한국사] 매국 고대사학회 소인배들답게 장외에서 파을플레이… (1) 징기스 06-13 822
619 [기타] 중국 일본은 역사를 자기들 내키는데로 하는듯 (2) 인류제국 11-01 822
618 [북한] 김정은 건재에도 반성없는 스토커종족들. (1) 돌통 06-28 822
617 [한국사] 진왕제가설에 따른 광개토태왕비문 해석의 의아한점… (3) 밑져야본전 08-14 822
616 [북한] 북한 독재 괴물 인민공화국.20편.북한건국과정.역사 돌통 11-14 821
615 [북한] 정치적이지 않고 오직 (진실,사실적인 김일성 인생..)… 돌통 04-18 821
614 [북한] 6.25의 모든것.학자,전문가들의 역사적 팩트. 01편 돌통 08-03 821
 <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