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12-11 13:11
[한국사] 황산대첩에서 등장하는 왜구들의 정체
 글쓴이 : 선황제
조회 : 3,064  


단순히 대마도 해적이라기에는 너무 정규군같은 느낌이 드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실제로 고려 말 침범이 빈번했던 왜구들이 단순 해적집단 정도로 볼 수 있는 자들이었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6-12-11 14:03
   
여말선초의 왜구는 단순 해적이 아니라 지방 군벌(영주)의 정규군이었습니다.

일본은 당시 전국시대로, 실제적으로는 한 나라가 아닌 제국諸國이었습니다

일본열도가 통일돼 비로소 처음으로 한 나라의 국체가 선 것은 도쿠가와 정권, 즉 에도막부에 들어선 이후 막부가 지방정권을 행정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제압해 가면서입니다

(이러한 막부의 통일 노력은 메이지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계속되었으나 완결하지 못 했고, 일본의 실질적인 통일은 메이지 정부 이후입니다)

전국시대의 일본은 외교적, 경제적으로 고립돼 있었고
긴 전쟁의 혼란으로 인한 전쟁물자와 식량난을 타개하고자 조선과 대륙해안을 약탈하였습니다

여말선초의 왜구는 대부분 큐슈 출신의 정규병들입니다

혹자는 큐슈의 왜구의 성장 배경에는 후백제ㅡ삼별초 잔여세력이 있다고도 주장합니다
비좀와라 16-12-11 15:15
   
"奇氏之族在高麗者, 怙勢驕橫, 高麗王怒, 盡殺之. 二十三年, 后謂皇太子曰 汝何不爲我復讎耶 遂立高麗王族人留京師者爲王, 以奇族之子三寶奴爲元子. 遣同知樞密院事崔帖木兒爲丞相, 用兵一萬, 並招倭兵, 共往納之. 過鴨綠水, 伏兵四起, 乃大敗, 餘十七騎而還, 后大慚."<元史> 卷114 后妃 列傳.

"안우경(安遇慶)ㆍ이귀수(李龜壽)ㆍ지용수(池龍壽)ㆍ나세(羅世)가 좌익(左翼)이 되고, 이순(李珣)ㆍ우제(禹磾)ㆍ박춘(朴椿)과 우리 태조가 우익(右翼)이 되고, 최영이 중군이 되어 정주(定州)에 이르렀다.
태조가 여러 장수들이 패배한 것을 보고, 그들이 겁을 내어 힘써 싸우지 않았다고 말하니, 여러 장수들이 태조를 꺼렸다.  이때 적이 수주(隋州 평북 정주(定州))의 달천(㺚川)에 둔쳤는데, 여러 장수들이 태조에게 말하기를, “내일 싸움은 그대가 홀로 맡으시오." 하니, 태조는 여러 장수들이 자기를 꺼리는 줄 알고 조금 걱정하는 기색이 있었다.
 이튿날 적이 세 부대로 나누어 쳐들어오므로, 태조는 가운데 있고 수하의 늙은 장수 두 사람을 좌우로 갈라서 각기 적의 한 부대씩 맡게 하여 힘을 내어 쳤다. 태조가 탔던 말이 진흙에 빠져 매우 위태로웠는데, 말이 힘을 내어 뛰어서 솟구쳐 나오니 여러 사람들이 모두 놀라고 이상히 여겼다.
태조가 적의 장수 두서너 사람을 쏘아 넘어뜨리자 적이 그제야 패주하였다. 두 늙은 장수가 칼을 뽑아 마구 치니 적이 벌써 패하여 도망하였고 티끌과 먼지만이 하늘을 덮을 뿐이었다. 처음에 최유가 몽고ㆍ한족 군사에게 이익으로 꾀기를, “고려왕이 장수와 군사를 협박하여 서북면을 지키게 하였으니, 신왕이 온다는 소문을 들으면 싸우지도 않고 흩어질 것이다.
일이 성공되면 고려의 재상 이하 사람들의 가산을 상으로 주겠다" 하니, 여러 사람이 모두 이를 믿었다. 압록강을 건너오자 우리 군사가 굳게 막고 한 사람도 항복하는 자가 없었다. 몽고ㆍ한족 군사는 우리가 그들을 꾀어 깊이 들어오게 하고 군사를 매복시켜 놓고 기다리는가 의심하더니, 달천에서 패전하자 그제야 최유의 꾀에 빠진 줄 알고 밤에 거짓으로 우리 군사인 것처럼 하여 큰 소리로 떠들며 경동시키매, 최유의 군사가 그 진영을 불사르고 다시 압록강을 건너 달아났다. 우리 군사가 뒤쫓아 압록강까지 이르렀으나 도달하지 못하였다. 유인우(柳仁雨)ㆍ강지연(康之衍)ㆍ안복종(安福從) 등이 피곤해서 뒤떨어져 있으므로 이를 잡아서 죽였다. 저들 군사 중에 연경(燕京)에 돌아간 자는 겨우 17기뿐이었다."

-고려사 절요 권28권 공민왕3 갑진 13년(1364) 원지정 24년

<元史> 卷114 后妃 列傳과 고려사 절요 권28권 공민왕3 갑진 13년(1364) 원지정 24년의 기록은 같은 사건을 원사와 고려사절요에서 발췌한것 입니다.

 단지 원사에서는 用兵一萬, 並招倭兵, 共往納之이라 하고 몽골조정에서 왜병을 동원하여 고려를 침략하였음을 기록하고 있음에 당시 왜란 존재는 열도왜가 아니라 대륙의 왜란것을 알 수 있죠.

윗 기록은 기황후가 고려 공민왕을 침략한 기록입니다.

이 기록에서 여말선초의 왜는 열도 왜(지금 일본)완 다른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왜란 종족은 지금의 일본인 만을 통칭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의 일본인은 왜란 종족의 일부분일 뿐 이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 입니다.
 
 
Total 25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0 [기타] 일본의 국력은 과대 평가 됐습니다. (61) 바람따라0 02-03 6152
89 [한국사] 잘 사는 나라가 못 사는 나라한테 전쟁에서 털리는 … (6) 감방친구 02-03 3790
88 [한국사] 센츄리온님. (14) eo987 02-03 2164
87 [한국사] Marauder 님 2번째. ^^ (20) eo987 02-02 1511
86 [한국사] Marauder 님 ^^ (2) eo987 02-02 1171
85 [한국사] 근대 이전 조선과 일본의 차이-아스님 ^^ (21) eo987 01-25 4195
84 [일본] 일베의 역사지식 2(편) - 조선 일본의 대외수출비교 (12) eo987 01-25 5268
83 [한국사] 낭설의 근원지 일베의 역사지식 1(편) - 조선과 일본… (21) eo987 01-25 4560
82 [세계사] 동양의 정치제도에 대한 서양의 왜곡된 인식과 멸시… (5) 국산아몬드 01-13 2855
81 [기타] 일본의 전국시대 와 한국의 삼국시대 (1) 고구려후예 01-12 2518
80 [한국사] 조선과 일본 국력차이 (3) (16) 덜덜덜 01-07 2172
79 [한국사] 조선과 일본 국력차이 (2) (3) 덜덜덜 01-07 1444
78 [한국사] 조선과 일본 국력차이 (1) (10) 덜덜덜 01-07 2518
77 [일본] 조선-일본 생산력 비교 :명치유신이후 일본의 변화 (3) eo987 01-07 2273
76 [한국사] 얼척없는 임란시 조선의 쌀 생산량 (24) 힐러리 01-07 4285
75 [한국사] 조선의 농업기술이 어떻기에 일본보다 우월했던 겁… (34) 아스카라스 01-06 2743
74 [한국사] 조선-일본 국력차이 정리 (10) eo987 01-05 4227
73 [한국사] 솔직히 조선의 국력을 너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 (35) 덜덜덜 01-04 4507
72 [한국사] 신라가 백제의 국력을 넘어선 시기가 언제인가요? (31) 흑요석 01-04 2529
71 [기타] 명성황후 악녀 맞습니다. (77) 바람따라0 12-18 5791
70 [한국사] 황산대첩에서 등장하는 왜구들의 정체 (2) 선황제 12-11 3065
69 [한국사] [지폐] 지폐에 넣어야 할 위인들 (17) 전략설계 12-07 3067
68 [한국사] 조선시대 토지 면적에 대해서... (26) 타샤 11-25 3431
67 [기타] 조선후기, 일제시대의 식량 생산량과 소비량 (41) archwave 11-24 3961
66 [기타] 조선시대의 쌀, 논 면적 계량 단위, 한 끼 식사량 (4) archwave 11-24 6778
65 [한국사] 왜 조선시대 인구가 이모양밖에 안되었을까요? (127) eo987 11-20 6079
64 [일본] 불고기에 대한 기록 고대 서적 (3) 에버모션 11-04 578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