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8 01:39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007  

토산 전투

동선령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많은 군사와 물자를 소비한 이완과 도원수 김자점의 군대는 청군의 병력이 동선령 전투 당시보다 몇 배 이상 많자 싸울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황해도 감사 이배원과 황해도 병사 이석달은 어영군과 일반군사 5,000여명을 이끌고 동선령에 다다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청의 군대가 예전과 다르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이들의 군대가 토산에 이를 즈음에, 청군은 기습공격을 가하여 닥치는 대로 조선군에게 달려들었다. 이 싸움에서 조선군은 많은 군사를 잃고 패퇴하였으나, 다시 재정비하고 청군을 공격하였다. 조선 어영군이 쏘는 위력적인 조총에 수많은 청군이 죽었고, 살아남은 자는 수천에 불과했다. 토산 전투는 조선군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토산_전투

험천 전투

12월 18일 국왕의 근왕 명령을 받은 충청감사 정세규(imagefont)는 공주에 7,000여 명의 군사를 집결시켰다. 이때 나성현감 김홍익(), 남포현감 이경징(), 금정찰방 이상재() 등이 각자의 고을에서 군사를 이끌고 합류하였다.

정세규는 12월 25일 충청병사 이의배()의 선봉군을 공주-천안-수원의 경로를 따라 남한산성으로 진군하도록 한 다음, 본대를 이끌고 그 뒤를 따라 수도권으로 진군하였다. 1월 2일 충청도 근왕군은 남한산성 남방 40리 지점인 경기도 용인군 험천현에 당도하였다. 이때 청군 좌익군 7,000여 명이 험천현 북방 20리 일대에서 남한산성으로 가는 통로를 봉쇄하고 있었다.

충청도 근왕군이 험천현에 진출하자 청나라 장수 양굴리[]는 병력을 험천현 서방의 3229고지에 진출시켜 근왕군을 공격하였다. 청군의 기세에 놀란 충청병사 이의배는 단신으로 달아나버렸다. 그러나 김홍익·이경징·이상재 등은 청군의 공격에 맞서 끝까지 용감하게 싸웠다. 전투는 이날 종일토록 10여 차례나 거듭되었다. 충청도 근왕군은 돌격을 감행하는 청군에 총포 사격을 집중하여 번번이 공세를 저지하였다.

해질 무렵부터 조선군 진영에는 탄약과 화살이 고갈되어 근왕군은 마침내 청군의 공격을 감당하지 못하고 경기도 수원시 방면으로 철수하였다. 조선군은 이 전투에서 김홍익·이경징·이상재 등 수령들이 전사하고 태반이 넘는 병력을 상실하였다. 한편 최진립()도 공주영장()으로서 군사를 이끌고 험천 전투에 참여하여 용전하다가 장렬히 순절했다. 다음해에 시체를 수습했는데 그 모양이 살아 있는 듯하였고 화살이 고슴도치처럼 박혀 있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험천 전투 [險川戰鬪]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철옹성 전투

남한산성이 포위되자 각 도의 관찰사들에게 근왕군()을 이끌고 상경하도록 지시하고, 북방의 방어를 맡고 있던 도원수 김자점과 부원수 신경원에게도 군대를 이끌고 내려와 남한산성을 지원하라는 명령했다. 그러나 병력이 부족했던 신경원은 뒤이어 진격해온 청나라 군대에 맞서 영변 지역을 방어하느라 평안도 근왕군에 합류하지 못했다.

1월 24일 청나라 군대는 영변의 철옹성으로 1천여 명의 병력을 보내 공격해왔다. 며칠 동안 공격이 계속되었으나 성이 험준해 함락시키지 못하자 1월 29일 청은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 신경원은 소수의 병력을 거느리고 이들을 뒤쫓았으나 향산동() 부근에서 청나라 군대의 기습을 받아 붙잡혔다. 신경원은 포로가 되었고, 2월 24일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항복을 한 뒤에 풀려났다.

[네이버 지식백과] 철옹성전투 [鐵甕城戰鬪] (두산백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996
1449 [한국사] 한푸=한복? 과연 조선인들과 명나라 사신은 어떻게 … mymiky 02-15 1012
1448 [세계사] [게임용 지도 위치 비정] 고수분들의 도움을 부탁드… (4) 토마스베델 08-13 1012
1447 [한국사] 보물 향원정 완전 복원 성공 BTSv 11-06 1012
1446 [한국사] 삼국사기 이해 (1)신라사 (7) 홈사피엔스 03-16 1012
1445 [북한] 정말 재미있고 역사적 사료에 근거한 두 얼굴의 '… 돌통 07-31 1011
1444 [한국사] 진개전쟁의 진실3ㅡ연국의 실체 하이시윤 10-02 1011
1443 [일본] 밑에 페리제독 개항글 말인데 정말 수준이 미개하네… (5) 연개소문킹 02-22 1010
1442 [한국사] 고대사 연구자들이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할 상식 몇 … 독산 06-03 1010
1441 [북한] 이승만과 이기붕,과욕이 부른 비극적 결말.. 돌통 02-21 1010
1440 [대만] 일제시대 경성 1940년. 경성 관광을 홍보하기 위해 찍… (2) 관심병자 11-13 1010
1439 [한국사] 도종환 관련 강단 학자들이 반가워할 소식 (2) 징기스 06-14 1009
1438 [세계사] 역사적 세계 인구 변화 Irene 04-21 1009
1437 [한국사] 고대사 연구자들이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할 상식 몇 … (2) 독산 06-03 1009
1436 [한국사] 조선 숙신 간단한 사실 Player 06-26 1009
1435 [한국사] 이완용 땅, 국고 환수한 것은 고작 0.09% (1) 스리랑 08-15 1008
1434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08
1433 [한국사] 영화 안시성 돌궐군 말갈군 (1) 예왕지인 09-23 1008
1432 [한국사] 왕광묘와 왕간묘에서 출토된 印章(인장) 하이시윤 03-18 1008
1431 [한국사] 한국 상고사의 올바른 이해 (1) 스리랑 01-25 1007
1430 [중국] 항미원조 주장이 가능하다면 항중원미 차원도 가능… 윈도우폰 10-28 1006
1429 [한국사] [논문소개]복기대교수의 임둔태수장에 관한 논문 결… (1) 하이시윤 03-04 1006
1428 [한국사] 경성안내 (3) 엄빠주의 12-07 1005
1427 [북한] 강자와 약자. 도대체 사회의 정의란. 혹시 강자가 정… 돌통 12-23 1005
1426 [기타] [힌두어?] 일본과 인도의 신은 동일하다. (ft. 인도 석… 조지아나 04-08 1005
1425 [한국사] [기사] 낙랑군 평양설을 식민사학으로 매도 (5) mymiky 06-05 1004
1424 [한국사] 바잉턴의 정체에 대하여 (2) 징기스 06-16 1004
1423 [한국사] 독립운동가들이 형무소에서 벽을 두드린 이유 레스토랑스 08-30 1004
 <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