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7-29 19:53
[한국사] 기록 관점으로 보는 부여(夫余)의 위치..
 글쓴이 : 현조
조회 : 1,191  

 
夫余國,在玄菟北千里。
부여국,재현도북천리。
南與高句驪,東與挹婁,西與鮮卑接,北有弱水。
남여고구려,동여읍루,서여선비접,북유약수。
▲ 후한서(後漢書) 085권..
 
-
 
▶ 부여국(夫余國 : 夫餘)은 현도(玄菟)의 북쪽 천리에 위치합니다.
(부여에서) 남쪽으로 고구려(高句驪 : 高句麗), 동쪽으로 읍루(挹婁), 서쪽으로 선비(鮮卑)가 접해 있고, (부여의) 북쪽에 약수(弱水)가 있습니다.
 
-
 
▽ 후한서(後漢書)에 의하면.. 부여(夫餘)의 북쪽에 약수(弱水)가 있다고 기록했으므로, 약수(弱水)의 위치를 찾아보기로 합니다.
 
-
 
甘州今理張掖縣。
감주금리장액현。
禹貢曰:導弱水,至於合黎,餘波入於流沙,即此地也。
우공왈:도약수,지어합려,여파입어류사,즉차지야。
合黎水、弱水並在張掖縣界。
합려수、약수병재장액현계。
其北又有居延澤,即古流沙地。
기북역유거연택,즉고류사지。
▲ 두우 통전(通典) 174권..
 
-
 
▶ 감주(甘州)의 지금(당나라) 리(理)는 장액현(張掖縣) 입니다.
우공(禹貢)이 말하기를 : 약수(弱水)가 이끌어, 합려(合黎)으로 지나가면서, (약수의) 여파가 류사(流沙)에 흘러들어가니, 즉 이 곳입니다.
합려수(合黎水)와 약수(弱水)는 나란히 장액현(張掖縣) 경계에 위치합니다.
그 곳의 북쪽에 역시 거연택(居延澤)이 있으니, 즉 옛 류사(流沙) 지역입니다.
 
-
 
地理志弱水出張掖。
지리지약수출장액。
見史注馬云合黎、流沙。
견사주마운합려류사。
是地名。
시지명。
王亦云鄭云合黎山名。
왕역운정운합려산명。
見正義流沙在居延西北。
견정의류사재거연서북。
名居延澤。
명거연택。
▲ 정약용(丁若鏞 : 근세 조선의 문인)의 상서고훈(尙書古訓) 003권..
 
-
 
▶ 지리지(地理志)에 의하면, 약수(弱水)는 장액(張掖)에서 출원합니다.
사기(史記)의 주석을 볼 때, 사마천(司馬遷)이 말하기를 합려(合黎) ' 류사(流沙) 입니다.
지명(땅 이름)이니 옳습니다.
왕(근세 조선의 정조)이 역시 말하기를, 정(鄭 : 정도전)이 말하기를, 합려(合黎)는 산 이름입니다.
정의지리지(正義地理志)를 볼 때, 류사(流沙)는 거연(居延)의 서북쪽에 위치합니다.
이름은 거연택(居延澤) 입니다.
 
-
 
guyunsea01.jpg

▽ 약수(弱水)는 장액(張掖 : 甘州)에서 거연택(居延澤) 및 류사(流沙)까지 흐르는 강이라고 했으므로..
확실하고 자세한 기록을 인용하여, 부여(夫餘)의 위치를 폭로합니다..
 
----------------------------------------------------------------------------------------------------
 
今陝西甘州衛西有張掖河, 即古羌穀水..
금섬서감주위서유장액하, 즉고강곡수..
出羌中, 北流至衛西為張掖河, 合弱水, 東北入居延海, 俗謂之黑河..
출강중, 북류지위서위장액하, 합약수, 동북입거연해, 속위지흑하..
據後漢書東夷傳 : 夫餘國北有弱水..
거후한서동이전 : 부여국북유약수..
晉書四夷傳 : 挹婁國東濱大海, 北極弱水..
진서사이전 : 읍루국동빈대해, 북극약수..
唐書北狄傳 : 貞觀三年以奚國阿會部為弱水州..
당서북적전 : 정관삼년이해국아회부위약수주..
則似弱水自居延澤東北流, 曆夫餘 · 挹婁之北境, 而歸於東海..
즉사약수자거연택동북류, 력부여 · 읍루지북경, 이귀어동해..
[ # 우공추지(禹貢錐指) 권011.. ]
 
-
 
▶ 지금 섬서(陝西)의 감주위(甘州衛) 서쪽에는 장액하(張掖河)가 있으니 즉 옛 강곡수(羌穀水) 입니다.
강중(羌中)에 출원하며, 북쪽으로 흘러가 위(衛 : 감주위) 서쪽에 이르는 강은 장액하(張掖河)이고, 약수(弱水)에 합류하여 동북쪽으로 거연해(居延海)에 흘러들어갑니다. 세속에서 일컬어 이르기를 (장액하는) 흑하(黑河) 입니다.
후한서(後漢書) 동이전(東夷傳)을 근거로 들어 : 부여국(夫餘國)의 북쪽에는 약수(弱水)가 있습니다.
진서(晉書) 사이전(四夷傳)이 말하기를 : 읍루국(挹婁國) 동쪽에는 대해(大海)와 근접하고, 북쪽으로는 약수(弱水)에 다다릅니다.
당서(唐書) 북적전(北狄傳)이 말하기를 : 정관 삼년(당나라 - 서기 629년) 해국(奚國)의 아회부(阿會部)는 약수주(弱水州) 입니다. 곧 (해국의 약수주와) 같으니 약수(弱水)는 스스로 거연택(居延澤)까지 동북쪽으로 흐르고, 역대 당시에는 부여(夫餘)와 읍루(挹婁)의 북쪽 경계에 위치하며, 동해(東海)으로 돌아가 흐릅니다.
 
guyunsea02.jpg


 
△ 다음 지도를 클릭하고 확대해보시길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꼬마러브 17-07-29 20:29
   
이게 그 유명한 대륙설이군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563
2260 [북한] 北 소유 의심 선박 입항 허용, 독자 대북제재 '구… 북명 03-19 1191
2259 [기타] 구려~단군 관심병자 05-30 1191
2258 [기타] 험난한 부여의 여정 관심병자 06-13 1191
2257 [한국사] 미국인이 본 한국어 3탄 솔루나 07-26 1191
2256 [한국사] 동아게에서 영화 예고편을 말하게 될줄이야 (1) 뚜리뚜바 06-13 1191
2255 [다문화] 많은분들이. 잘못아시는게 모름 05-05 1190
2254 [한국사] 조선왕실의 마지막 운명과 이구씨의 삶 (1) 히스토리2 05-04 1190
2253 [기타] 검술 잡설 (5) 관심병자 08-13 1190
2252 [한국사] 기경량 원본왜곡해서라도 독도 있어야 하는 이유있… (1) 마누시아 07-08 1189
2251 [한국사] 모본왕 (1) 인류제국 08-31 1189
2250 [한국사] 발해…동아지중해 누비며 무역 강국 자리매김.jpg (2) 소유자™ 04-12 1189
2249 [기타] 끌려간 도공들은 왜 돌아오지 않았나? 숨겨진 고문서… (1) 관심병자 12-05 1189
2248 [한국사] 윤내현 고조선연구. 감상과 요약 (27) 엄근진 07-10 1189
2247 [기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릉비의 이동에 관하여 (동… (3) 관심병자 05-09 1188
2246 [기타] 기자조선과 동북공정 두부국 07-07 1188
2245 [한국사] 고이왕 이작자 (15) 카노 06-11 1188
2244 [한국사] 요사지리지는 일본서기와 동일한 성격의 사서 (3) 타이치맨 12-24 1188
2243 [한국사] 압록강 행진곡 (2) BTSv 03-03 1188
2242 [한국사]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조선인 차별 사례(3) Attender 07-02 1188
2241 [기타] 미술에 대해서 동서양 기타 제 문명의 비교 Player 07-29 1188
2240 [한국사] 저렙무시하니 질의작성합니다 고렙 한국사 개념좀 … (8) 전투력 05-29 1187
2239 [세계사] [토크멘터리 전쟁史] 51부 백년전쟁 1탄 바람의노래 05-30 1187
2238 [한국사] 어느 사학과 학생의 하소연 (1) 마누시아 06-27 1187
2237 [한국사] 흥보전과 반도사관의 여러의문점들 (9) 오자서 08-21 1187
2236 [한국사] 백제의 예씨는 가야계?? 고이왕 11-07 1187
2235 [기타] 연구를 공유하기 꺼려지는 이유 (9) 감방친구 01-27 1187
2234 [기타] 상식으로 바라본 임나일본부 (5) 관심병자 08-28 1187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