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03-11 17:52
[한국사] 수경주(水經注)와 산서지집요(山西志輯要)의 고하(沽河) 문제 검토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195  

1. 산서지집요(山西志輯要)의 고하(沽河)는 호타하(滹沱河)의 한 지류로 판단됩니다.

2. 수경(水經)과 수경주(水經注)의 고하(沽河)는, 수경의 경우 조백하, 또는 백하, 수경주의 경우 백하입니다.

3. 습여수(濕餘水)는 유하, 즉 온유하(温榆河)입니다.

4. 고노현(狐奴縣)은 현 북경 순의구, 옹노현(雍奴縣)과 천주현(泉州縣)은 현 천진 무청구 일대입니다.

5. "今無水"는 "지금의 무수(無水)이다"가 아니라 "지금은 물이 흐르지 않는다"입니다

6. 수경주의 마지막 문구인, 다음 기술에서의 고하는 호타하의 한 지류로 볼 수 있습니다.

청수·기수·장수·원수·구수·이수·유수·고수·호타수는 함께 모여서 바다에 들어간다. 
이런 까닭에 《수경》에서 하천의 갈라진 꼬리라 한 것이다. 
清、淇、漳、洹、滱、易、淶、濡、沽、滹沱,同歸于海。故《經》曰派河尾也。

6. 정리

수경주는 고하편에서 현 백하를 기술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나 다만 그 말미에서 派河尾의 하나로 언급한 고하는 백하가 아니라 호타하의 지류로 판단되는, 이름만 같은 어느 강으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지리와 수리 상을 검토함에 있어서, 고대 황하의 시대별 입해처와 그 물길이 지나는 지역, 그리고 고대 해안선 등을 고려해야 하며, 무엇보다 동명이처가 수다함을 고려해야 한다.

__________

□ 대명여지도(16세기)




□ 황조일통여지전도(19세기)




□ 황하 물길 변천 및 해안선 변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영종햇살 21-03-12 12:33
   
감방친구님 자세한 글 잘 봤습니다.

산서성의 지리를 적은 산서지집요(山西志輯要: 靑,1780)에는 고수가 낙평현 북쪽을 지난다고 했는데
백하는 낙평현 북쪽을 지나지 않는 것같은데요.

"평정주 낙평현에 소산少山이 있다. 소산은 현 서남 25리에 있고
일명 고산沽山이라고 한다.
고수(고하)는 소산(少山)의 고령(沽嶺)에서 나와서 낙평현(樂平) 북쪽을 지난다고 했다.
또 소산(少山)은 일명 고산(沽山)이라 했다".
     
감방친구 21-03-12 12:45
   
네, 영종햇살님이 소개하신 산서지집요의 '고수'는 지금의 '백하'가 아닙니다. 즉, 수경주 고하편의 '고하'가 아닙니다.

산서지집요의 '고수'는 지금의, 진중시(晋中市)나 흔주시(忻州市), 특히 흔주시 지역에서 발원해 동쪽으로 흐르는 어떤 강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방친구 21-03-12 13:11
   
문제는 다음의 기술입니다


又東南至泉州縣,與清河合,東入于海。清河者,派河尾也。《수경》

沽河又東南逕泉州縣故城東,王莽之泉調也。沽水又東南合清河,今無水。《수경주》


清、淇、漳、洹、滱、易、淶、濡、沽、滹沱,同歸于海。故《經》曰派河尾也。《수경주》

먼저 ①을 보면 수경에서 고하가 동남쪽으로 흘러서 천주현에 이르러 청하(清河)와 합수한 뒤에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간다고 하였고, 수경주가 이를 받아서 청하는 지금 물이 없다고 주석을 하였습니다

청하는 지금 천진시 정해구 북쪽에서 이수와 호타수 등을 모두 받아서 바다로 들어가는 대청하로 남아있는데 이 대청하의 입해처가 지금보다 조금 더 북쪽이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본래 조백하 물줄기는 천진시 북쪽에서 바다로 들어갔는데 운하를 뚫어서 영정하와 연결한 것입니다. 그런데 3세기 수경의 기록을 그대로 보면 조백하 물줄기가 3세기 수경과 6세기 초 수경주 시대에 천진시 정해구 서북쪽, 즉 무청구 지역의 서쪽으로 흘러서 그 동남쪽의 무청구 지역(웅노현, 천주현)을 지나 바다로 흘러든 것으로 보입니다

수경주의 고하를 지금의 백하로 보지 않는 쪽은 수경과 수경주의 清河 관련 기술을 고하가 지금의 백하가 아니다 하는 근거로 삼는 것이고,
수경주의 고하를 지금의 백하로 보는 쪽은 조백하 물줄기가 일찍이 이 시대에 청하로 흘러들었다고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수경주의 고하 기술을 상세히 분석하면 지금의 백하에 그대로 부합합니다

옛날의 문헌들은 모두 사람의 인력으로, 책상 앞에 앉아서 여러 수집된 자료를 취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사서 기자가 혼동, 또는 오인하여서 다른 곳의 정보가 잘못 기입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만약 ①과 ②의 고수(고하)가 산서지집요의 '고수'이고, 지금의 백하가 아니라 한다면 ①과 ②의 기술은 잘못 기입된 기술로 봐야 하며

만약 ①과 ②의 고수(고하)가 지금의 백하를 기술한 것이 맞다 한다면 지금의 조백하 물줄기가 현 천진시 무청구 지역의 서쪽으로 흘러서 무청구 지역(웅노현, 천주현)을 지나서 그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간 시대가 있었다고 봐야 합니다
영종햇살 21-03-12 21:40
   
감방친구님 분석처럼 백하가 고하라고 하면

수경주의 기록에 나오는 로하와 로현은 어디에 위치하는지 궁금합니다.

南過漁陽狐奴縣北,西南與濕餘水合,爲潞河;
《魏土地記》曰:城西三十里有潞河是也。〉 위토지기에서 말하길 로현성 서쪽 30리에 로하가 있다.
     
감방친구 21-03-12 21:57
   
역사적으로 로현은 두 곳이 있었는데
전한이 설치한 로현,
전한이 설치하고 후한이 이름 바꾼 로현이 그것입니다
가장 끝까지 그 이름이 남은 것은 후한이 개칭한 로현으로,
본래 路縣이었는데 후한이 潞縣으로 개칭하였습니다

앞의 로현은 潞子國에서 비롯된 현명으로 현 산서성 지역이며,
뒤의 로현은 潞水에서 비롯된 명칭으로서,

수경주 고하편과 포구수편의 그 로현이며

그 위치는 현 북경 통주구 동남 일대에 해당합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910
2313 [한국사] 기자동래설ㅡ윤내현 기자신고 요약 하이시윤 03-24 1197
2312 [기타] 조선시대 청기와 2 두부국 08-30 1196
2311 [북한] 실제 박헌영의 1955년 12월 재판 상황.. 돌통 05-19 1196
2310 [한국사] 임나를 찾아서(3) 일본 고대 산성 분포 日本の古代山… (3) 보리스진 08-24 1196
2309 [한국사] 수경주(水經注)와 산서지집요(山西志輯要)의 고하(沽… (5) 감방친구 03-11 1196
2308 [한국사] 라. 우리말 ‘해(日)’의 고대 소리값(音價) 재구(再… 감방친구 04-09 1196
2307 [한국사] (6-1) 후한서 군국지 검토 (2) 감방친구 06-20 1196
2306 [기타] 환빠는 번외품목이니 옷닭서방 11-04 1195
2305 [한국사] 배나통일 흥미로운 이야기 (3) Marauder 08-27 1195
2304 [한국사] 후흐호트 방언 위구르 03-11 1195
2303 [한국사] http://kirang.tistory.com/ 이거 역시나 기경량이가 맞네요 (3) 카노 07-03 1194
2302 [기타] 몽골기병 전술 (1) 관심병자 07-16 1194
2301 [한국사] [중세국어]성조법으로 해례본낭독영상.중세국어재구 (1) Ichbin타냐 11-23 1194
2300 [기타] 진(辰)국, 고조선 잡설 (2) 관심병자 04-01 1194
2299 [기타] 왜 자꾸 한쪽에 치우쳐서 생각들 하시는지 (4) 봊이 02-16 1193
2298 [세계사] 자본주의 황금기와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옐로우황 06-16 1193
2297 [한국사] 고조선 대해서 정말 아쉬운게 (8) 인류제국 08-08 1193
2296 [한국사] 정암진 전투 (1) 레스토랑스 11-06 1193
2295 [기타] 탐스럽다라는뜻 유래가 (4) 존테러 04-12 1193
2294 [통일] 휴전보다 더 큰 걱정(한미상호 방위협정) (4) 히스토리2 05-10 1193
2293 [북한] 자유당 봉준호 감독 축하 격려 어이가.. 뻔뻔하다 과… (1) 돌통 02-14 1193
2292 [기타] 선비와 거란은 단군의후예, 동이의 역사 관심병자 08-14 1193
2291 [중국] (5) 호성성님 02-15 1192
2290 [북한] 이만갑, 모란봉 문제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튜브 … 돌통 01-03 1192
2289 [한국사] 조선시대 궁중 복식 질문 (3) BTSv 08-31 1192
2288 [한국사] LOTTO님의 예맥 관련 중국 논문에 대해서 (2) 감방친구 08-20 1192
2287 [기타] Re: 힐베르트님의 글에 대해 2 ^^ 세종시 11-10 1191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