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6-13 09:47
[한국사] 풍향이 바뀐 걸 눈치챈 경향신문의 잽싼 태세 변환
 글쓴이 : 징기스
조회 : 1,194  


[문체부 장관 후보자 역사관]재야사학계 “식민사관” 역사학계 “사이비 역사학”

기사입력 2017-06-12 22:22



ㆍ1970년대부터 계속된 갈등

고대사는 논쟁적인 분야다. 역사학계와 재야사학계 사이의 논란은 1970년대부터 시작됐다. 1974년 박정희 유신정권이 국정 국사교과서를 배포하자 재야사학 단체인 한국고대사학회는 그해 7월 국정 국사교과서가 단군을 신화로 규정해 일제 식민사관을 답습하고 있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역사학계는 11월 재야사학계의 주장을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논란은 1980년대에도 이어졌다. 1981년 국회 문공위원회는 재야사학계의 청원을 받아들여 국사교과서 공청회를 열었다. 재야사학계는 공청회에서 단군은 역사적 실존 인물이며, 낙랑군은 베이징 지역에 있었고, 백제가 3~7세기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중국 동해안을 통치했다고 주장했다. 역사학계는 교과서 내용은 사실에 충실한 것이며 재야사학계의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최근 역사학계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역사 인식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는 것은 2014년 이후 새롭게 전개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2014년 3월 출범한 식민사학해체국민운동본부는 하버드대 한국 고대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간된 영문 책자가 식민사관을 따르고 있다며 감사원 감사를 청구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이 2008년부터 진행하던 동북아역사지도 편찬사업도 같은 이유로 재야사학계의 비판을 받았다. 두 사업 모두 현재 중단된 상태다. 역사학계는 재야사학계가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치면서 학계를 식민사학으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재야사학계는 역사학계가 학문적 토론 없이 자신들을 ‘사이비 역사학’으로 규정하면서 소통 가능성을 닫아놓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지난해 김현구 고려대 명예교수가 이덕일 소장을 상대로 제기한 명예훼손 소송이 진행되면서 논란은 커졌다. 이 소장은 저서를 통해 김 교수의 저서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가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한다고 비판했다. 역사학계는 김 교수의 책은 오히려 <일본서기>의 임나일본부설을 비판한 책이라며 반박했다. 1심 재판부는 이 소장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2심 법원은 반대로 무죄를 선고했다.


대법원은 지난달 “이 소장의 주장이나 의견에 대해 합리성이나 서술방식의 공정성 등과 관련해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러한 비판은 가급적 학문적 논쟁과 사상의 자유경쟁 영역에서 다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2심 판단을 유지했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징기스 17-06-13 10:01
   
그동안 유사사학자 운운 하면서 불독처럼 거칠게 물고 늘어지던 경향이 저렇게 고분고분해진 걸 보니까 게임 끝난 것 같습니다.
강단 놈들 내일 청문회 잘 준비해라. 청문회 제대로 대답 못하면 니들은 한방에 훅 갈 테니까 ㅋㅋㅋㅋ 그나마 조용하게 넘어가려면 아예 청문회장에 얼씬도 안 하는 것이 좋을 거다. 청문회 나가면 국회의원들 중에서 1명이라도 바잉턴과의 뒷거래 따지고 나오면 니들은 최악의 상황에서는 콩밥 먹는 일까지 각오해야 할걸?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511
2314 [기타] 세상에 나제통문이 어딨나! : 아직도 떠도는 대표적 … 관심병자 05-16 1202
2313 [한국사] 과거를 용서하되 잊지는 맙시다.. (4) dtan 01-30 1202
2312 [한국사] 고려 전기의 서북 국경에 대한 재고 필요 마누시아 06-02 1201
2311 [한국사] 이북 지방도 쌀생산의 주력지였나요? (5) 아스카라스 09-28 1201
2310 [기타] 이름 읽는 방법이 두 가지인 한국 인물들 (2) 관심병자 12-20 1200
2309 [한국사] 한국학 1세대 마르티나 교수ㅡ 한국은 옛 것을 너무 … mymiky 03-10 1200
2308 [한국사] (1)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1199
2307 [북한] 실제 박헌영의 1955년 12월 재판 상황.. 돌통 05-19 1199
2306 [한국사] 임나를 찾아서(3) 일본 고대 산성 분포 日本の古代山… (3) 보리스진 08-24 1199
2305 [중국] 중국 위키백과의 한복 문화 공정에 대한 비판 (9) mymiky 10-09 1199
2304 [기타] 2014년도 국정감사(동북아역사재단 외)_국회의원 이종… (1) 두부국 10-08 1198
2303 [한국사] 배나통일 흥미로운 이야기 (3) Marauder 08-27 1198
2302 [북한] 천재 화가 피카소가 공산주의자라고.?? 돌통 03-28 1198
2301 [기타] 선비와 거란은 단군의후예, 동이의 역사 관심병자 08-14 1198
2300 [기타] 조선시대 청기와 2 두부국 08-30 1197
2299 [한국사] 정암진 전투 (1) 레스토랑스 11-06 1197
2298 [한국사] 조선시대 궁중 복식 질문 (3) BTSv 08-31 1197
2297 [한국사] 전부터 궁금했는데 청나라 후신이나 화교도 아니고 … (5) Marauder 04-26 1197
2296 [기타] 환빠는 번외품목이니 옷닭서방 11-04 1196
2295 [기타] 몽골기병 전술 (1) 관심병자 07-16 1196
2294 [통일] 휴전보다 더 큰 걱정(한미상호 방위협정) (4) 히스토리2 05-10 1196
2293 [한국사] 풍향이 바뀐 걸 눈치챈 경향신문의 잽싼 태세 변환 (1) 징기스 06-13 1195
2292 [세계사] 자본주의 황금기와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옐로우황 06-16 1195
2291 [한국사] http://kirang.tistory.com/ 이거 역시나 기경량이가 맞네요 (3) 카노 07-03 1195
2290 [한국사] [중세국어]성조법으로 해례본낭독영상.중세국어재구 (1) Ichbin타냐 11-23 1195
2289 [기타] 진(辰)국, 고조선 잡설 (2) 관심병자 04-01 1195
2288 [기타] 탐스럽다라는뜻 유래가 (4) 존테러 04-12 1195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