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5 10:07
[기타]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20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7521&cid=58584&categoryId=58684

김시민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곽재우 등 의병장들과 함께 여러 차례 공격해 오는 일본에 맞서 진주성을 지켰어. 약 3,800여 명의 군대로 2만의 일본 군대를 막아 낸 거지. 또, 고성과 창원의 성도 일본으로 부터 빼앗았어. 김시민 장군은 진주에서 일어난 마지막 전투에서 적의 총에 맞아 전사한단다.


권율 장군은 행주대첩 후에 도원수가 되어 임진왜란 7년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이야. 금산군 이치싸움에서는 1,000여 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을 대파(크게 부숨.)했지. 수원성 전투에서는 지구전(전투를 오래하는 것)을 펴다가 일본군의 큰 공격을 받았으나 곧 이겨 내고 승리로 이끌었어. 행주대첩에서는 2,300명으로 3만의 군대를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지.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살았단다. 


곽재우 장군은 왕이 피난을 가자, 제일 먼저 수십 명의 사람들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어. 의병은 점점 많아져 2,000명 가까이 되었고, 함안군에서 일본과 싸워 대승을 거두었지. 이때 붉은색 옷을 입고 맨 앞에서 적을 무찔러 '홍의( : 붉을 홍, : 옷 의) 장군’이라고 불렸어. 곽재우 장군은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적과 싸워 이겼고, 진주성 전투에 병사들을 보내어 김시민 장군이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단다.


정걸은 원래 배를 만들던 사람이었는데 이순신을 만나 더 발전된 판옥선을 만들었지. 새로 만든 판옥선은 바닥이 넓고 평평하여 크고 튼튼하였고, 노 젓는 각도가 거의 수직이어서 잘 넘어지지도 않고 방향도 빠르게 바꿀 수 있었어. 이 판옥선은 수군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몫을 했지.


나대용은 거북선을 설계한 사람이야. 이순신은 나대용이 설계한 거북선의 도면을 보고 바로 배를 만들라는 명령을 내렸어. 이렇게 해서 거북선은 임진왜란이 터지기 직전에 운명적으로 완성되었지.


어영담은 남해 바다의 물길을 아주 훤히 알고 있는 사람이었어. 해전에서 승리하려면 바다의 길과 물의 흐름을 잘 알아야 하거든. 어영담은 작전을 짤 때 옆에서 많은 정보를 주었고, 작전을 성공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단다.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대첩을 준비하고 있을 무렵, 육지에서는 각 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났어. ‘내 나라, 내 고장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말이야. 맨 처음 일어난 의병은 각 고을의 양반들이었단다. 이들은 자신의 재산을 털어 의병을 꾸려 나갔지. 이들을 따라 농민·천민·승려·글공부하던 유생들까지 의병이 되었단다. 이 중에서도 특히 농민과 노비들이 의병의 주를 이루었어. 이들은 낫·괭이 등 농기구를 들고 일본군에 맞섰지.

그중에서도 일본군이 제일 두려워했던 의병 부대는 바로 홍의장군 곽재우가 이끄는 부대였어. 산천()의 지리를 이용한 기습 공격으로 적은 수로 많은 일본군을 격파하였지.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가 일본의 조총을 이길 수 있었던 것은 화포의 힘이 컸어. 화포를 쏘려면 엄청난 양의 화약이 필요했는데, 당시에는 턱없이 부족했지. 이봉수는 원래 양반이었지만 스스로 이순신의 부하가 되어 화약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했어. 그 결과 많은 화약을 만들어 냈고, 여러 부대에 보내 줄 수 있었지.

이장손은 무기를 만드는 관청에서 일을 했던 사람이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좀 더 강한 무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해 비격진천뢰를 만들었어. 비격진천뢰는 목표물에 날아가서 폭발하는 시한폭탄으로, 임진왜란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지. 

[네이버 지식백과]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천재학습백과 초등 사회 5-2, 천재교육)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16 17:44
   
정걸, 어영담도 정말 숨어있는 공신이죠 그들이 없었다면 이순신 제독의 신화도 쉽지 않았겠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34
2394 [한국사] 고려양)에 대한 터무니 없는 중국측 주장에 대한 반… (3) mymiky 06-28 1211
2393 [한국사] 한국인의 조상 (3) 스파게티 09-10 1211
2392 [기타] 나무위키 역갤&부흥 아지터 인가요? (11) 마그리트 07-12 1210
2391 [세계사] 겉보기와는 달리, 주변나라들이 북한을 절실히 원하… wergdf 09-14 1210
2390 [한국사] 한단고기(환단고기)라는 문제 (3) 감방친구 04-02 1210
2389 [기타] '고려말'로 듣는 소련시절 고려인 강제이주 … (2) 관심병자 07-13 1210
2388 [기타]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1) 관심병자 05-15 1209
2387 [한국사] 김상(일도안사)의 연구서와 주장을 강하게 신뢰하는 … (8) 감방친구 08-06 1209
2386 [한국사] 그래 나는 니들이 말하는 진정한 환빠요, 국뽕이다. (30) 스리랑 12-12 1209
2385 [한국사] 대한제국의 군사조직 정비 및 운영 체계 인류제국 07-23 1208
2384 [한국사] 정인성 교수의 정체는 정확히 뭘까요? (8) 카노 11-06 1208
2383 [한국사] 대한민국의 식민사학자들이 가장 부정하는 책 환단… (5) 스리랑 12-15 1208
2382 [기타] 식민지근대화론 (2) 호랑총각 09-24 1207
2381 [한국사] 조선 왕릉 도굴이 힘들었던 이유 레스토랑스 09-25 1207
2380 [한국사] 고종은 명성황후의 꼭두각시인가? (13) mymiky 03-01 1207
2379 [한국사] 영주와 연군성, 여라성의 위치 추적 (4) 감방친구 05-10 1207
2378 [중국] 중국 해안 모양의 변천 지도 (1) 꼬마러브 09-12 1207
2377 [한국사] 스탄과 땅의 옛 조형에 대해서 감방친구 06-16 1207
2376 [한국사] 역사에 있어 인과론과 프레임.... 윈도우폰 04-24 1207
2375 [기타] 밑 글 보다가 궁금해졌는데 (1) 오투비 07-08 1206
2374 [한국사] 화랑세기 필사본 스리랑 02-28 1206
2373 [한국사] 강단사학이 욕을 먹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15) 프로이 06-14 1206
2372 [중국] 공자와 사마천.열등감 환빠식민빠 06-19 1206
2371 [한국사] 우리 역사 해석의 문제라고 한다면... (30) 윈도우폰 11-28 1206
2370 [기타] 기후변화와 역사 (삽화참조) (4) history2 03-31 1206
2369 [한국사] 윤희순 안사람 의병가 BTSv 03-03 1206
2368 [중국] 중국은 곧 저물어 갈 것이다2 (2) 범고래99 10-04 1206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