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1-24 01:58
[중국] 하천의 명칭 변경, 영정하는 역수가 아니라 고하
 글쓴이 : 도배시러
조회 : 1,226  

한서 지리지 대군, 상곡군

본문, 대군
代郡,戶五萬六千七百七十一,口二十七萬八千七百五十四。縣十八:
桑乾,道人,當城,高柳,馬城,班氏,延陵,狋氏,且如,平邑,陽原,東安陽,參合,平舒,代,靈丘,廣昌,鹵城。

주석문
且如, 于延水出塞外, 東至寕入. 中部都尉治.

차여현(且如縣), 우연수(于延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 동쪽으로 흘러서 상곡 영현(寕縣)에 이르고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

平舒, 祁夷水北至桑乾入. 莽曰平葆. 

평서현(平舒縣), 기이수(祁夷水)가 북쪽으로 흘러 상건현(桑乾縣)에 이르고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왕망이 평보(平葆)라 했다. 

靈丘, 滱河東至文安入大河, 過郡五, 行九百四十里. 并州川

영구현(靈丘縣), 구하(滱河)가 동쪽으로 흘러 발해 문안현(文安縣)에 이르고 대하(大河, 옛 황하)로 들어가는데 
5개 군(郡)을 지나며 940리를 흘러간다. 병주천(并州川)이다.

廣昌, 淶水東南至容城入河, 過郡三, 行五百里, 并州䆮. 莽曰廣屏.

광창현(廣昌縣), 래수(淶水)가 동남쪽으로 흘러 용성(容城)에 이르고 하수(河水)로 들어가는데 
3개의 군을 지나며 500리를 간다. 병주(并州)에 물을 댄다. 왕망이 광병(廣屏)이라 했다.

鹵城. 虖池河東至參合入虖池 别, 過郡九, 行千三百四十里, 并州川. 從河東至文安入海, 過郡六, 行千三百七十里. 莽曰魯盾.

로성현(鹵城縣). 호지하(虖池河)가 동쪽으로 흘러 상곡 참합현(參合縣)에 이르고 호지(虖池)로 들어가는데 갈라져서 흘러 
9개 군을 지나며 1,340리를 간다. 병주천(并州川)이다. 하수(河水)를 따라 동쪽으로 흘러 발해 문안현(文安縣)에 이르고 
바다로 들어가는데 6개 군을 지나며 1,370리를 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로순(魯盾)이라 했다.


본문, 상곡군
上谷郡,戶三萬六千八,口十一萬七千七百六十二。縣十五:
沮陽,泉上,潘,軍都,居庸,雊瞀,夷輿,寧,昌平,廣寧,涿鹿,且居,茹,女祈,下落。

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

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且居, 樂陽水出東南入海. 莽曰久居.

차거현(且居縣), 락양수(樂陽水)가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망(莽)은 구거(久居)라 했다. 
2 DAE-SANG_B.jpg
.
위의 하천이 표기된 중국의 지도에서

①, ③ 번의 사이가 전한 대군의 대代현이 있었다는 현재의 지명입니다.

그러면 대군은 대현을 포함하고 있으니 좀더 확장시켜서 생각 할수있는데요.
오른쪽에 상곡군이 있다보니 막연하게 확장하기는 힘듭니다.

암튼 대代에 가까운 하천의 발원지를 추적하면 ①, ② 번의 하천이 대군에 포함 될수있을것입니다.

그런데 ①, ② 번의 하천이 뭉쳐서 만나는 현대의 하천 명칭이 영정하 永定河 입니다.
한서지리지 대군에서 동쪽으로 흘러 만들어지는 하천은 고수(沽水) 입니다.

학계 통설을 본다면 고하, 고수(沽水)는 지도의 ⑩ 번  燕  의 남쪽으로 흐르는 강 입니다.
오늘날 조백하 이지요.

그러면 대군에서 발원한 하천이 상곡군을 넘어서 조백하 가 될수 있을까요 ? 불가능 합니다.
조백하에 가기전에 모두 잡혀서 영정하로 빨려 들어 갑니다.

즉, 한서지리지 주석문의 고수(沽水)는 오늘날 영정하 입니다.
명나라 고지도는 영정하를 역수 易水 라고 합니다.

시대순으로 고수(沽水) => 역수 易水  => 영정하 永定河 가 되는 것이죠.

그러면 영정하 오른쪽에 있는 조백하, 난하 의 명칭이 당시에는 무엇이었느냐 하는 문제가 남게 됩니다.


앞서 후한 때에 난하를 요수, 요해 라고 불렀던 수경주의 기록을 알려 드린 적이 있지만,
조백하를 무엇으로 불렀는지는... 아직 찾지 못 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592
2422 [한국사] 한사군은 중국이 통치하던 지역이 아닙니다.... (12) 타이치맨 12-22 1223
2421 [한국사] 조선 전기 간도 알박기 계획 (8) 고이왕 04-16 1223
2420 [한국사] 고구려 평양성(장안성) 입지의 절대적 조건 (13) 지수신 04-25 1223
2419 [기타] 죠몬인에 대한 질문... (22) 밑져야본전 09-03 1223
2418 [한국사] (6-1) 후한서 군국지 검토 (2) 감방친구 06-20 1223
2417 [한국사] 아직도 이념논쟁 하는 분들은 통일할 생각이 있는건… (4) nyamnyam 06-12 1222
2416 [한국사] 동해표기 고집은 세계화에 뒤쳐지는 우물안개구리 … (89) 연개소문킹 02-19 1222
2415 [한국사] 仇台의 정체는 무엇인가? 1 지수신 07-12 1222
2414 [기타] 손문은 왜 중화민국 건국때 서력을 택했을까요? (2) 삼한 11-08 1222
2413 [다문화]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하고픈 말이 있습니다. (2) 필립J프라… 05-04 1221
2412 [한국사] 일제가 평양에 [고려 총독부]를 세우려 했다? mymiky 09-21 1221
2411 [한국사] 두 곳의 기록중 하나는 착오일 터, 어느 곳이 착오인… (2) 파이브텐 07-05 1221
2410 [한국사] 동학에 대한 수 많은 책과 논문을 썼지만 왜곡만 시… (9) 스리랑 08-16 1221
2409 [한국사] 역사를 바로 알아야 사회가 부패하지 않는다. 지금 … (3) 스리랑 10-03 1221
2408 [한국사] 정작 조선은 고구려 평양 위치를 알지 못했죠. (8) 남북통일 03-05 1220
2407 [중국] 당의 경제외교 1 history2 04-06 1220
2406 [북한] 기독교 관련하여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에 대해서… 돌통 08-16 1220
2405 [한국사] 일제시대에 충청도사람도 만만찮게 강제이주 당했죠 삼한 10-22 1220
2404 [다문화] 누가 다문화를 주제로 아프리카방송에서~ 초안 05-03 1219
2403 [한국사] 궁금합니다 환단고기가 위서라면 합쳐진 네권의 책… (11) 바로그것 06-11 1219
2402 [한국사] 요수와 위만조선의 위치 탐구 위구르 08-16 1219
2401 [한국사] 단군조선 도읍 변천4ㅡ도읍의 위치 하이시윤 10-09 1219
2400 [한국사] 고려양)에 대한 터무니 없는 중국측 주장에 대한 반… (3) mymiky 06-28 1218
2399 [한국사] 대한민국의 식민사학자들이 가장 부정하는 책 환단… (5) 스리랑 12-15 1218
2398 [한국사] 역사에 있어 인과론과 프레임.... 윈도우폰 04-24 1218
2397 [기타] 한국인과 고려인 어떤게 더 (4) 냥냥뇽뇽 09-25 1217
2396 [한국사] (부여시대~ 조선시대)까지 한복 변천사 mymiky 11-17 1217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