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6-12 20:04
[기타] 발해만 제해권 장악한 백제 북연(國勢) 흡수한 고구려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249  

http://shindonga.donga.com/3/all/13/834553/1


백제(百濟)는 21세기의 패권국처럼 제해권을 중시했다. ‘100개의 나루(항구)’라는 나라 이름이 의미하듯 서해와 남해, 보하이만(渤海灣)의 제해권을 장악한 해상왕국이었다. 톈진, 다롄, 후루다오, 탕산, 옌타이, 웨이하이 등의 항구를 품은 보하이만은 예나 지금이나 요충 중 요충이다. 백제는 강력한 해군력을 배경으로 한강 금강 영산강 예성강 유역을 확보한 데서 더 나아가 한때 보하이만 연안의 랴오시(遼西)와 산둥반도 일부를 점령했다. 전기 백제, 즉 한성 백제는 규슈와 주고쿠 등 일본열도에도 진출했다.

‘송서(宋書)’ ‘양서(梁書)’ ‘위서(魏書)’ ‘남사(南史)’ ‘통전(通典)’ 등 중국 역사서는 한결같이 4세기 이후 백제가 랴오시(롼허-다링허 유역)에 진출했다고 기술한다. 해상왕국 백제가 383년 저족(氐族)의 전진(前秦)과 한족(漢族)의 동진(東晉) 간 ‘비수전(淝水戰)’ 이후 전진이 해체되고 모용선비족의 후연(後燕)이 아직 고토(故土)를 회복하지 못했을 무렵 보하이만 항구들을 중심으로 대륙의 몇몇 지역을 점령한 것이다. 백제는 해상 근거지를 가진 남만주의 부여계 부족이 한강 유역으로 남하해 세운 나라로서 서해와 보하이만 연안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고구려는 5세기 이후 랴오허-다링허 유역과 한강 유역으로 팽창했다. 고구려가 서쪽과 남쪽 2개 방향으로 거의 동시에 영토를 넓힐 수 있었던 것은 중국에서 서진(西晉)이 멸망(317년)한 후 흉노·갈, 선비, 저·강 등 5개 북방민족이 주도하는 5호16국(五胡十六國) 시대가 시작됐으며, 백제는 약해지고, 신라와 가야는 완전한 영토국가 형태를 갖추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광개토태왕(374~413) 시절 확보한 제해권도 후연, 백제, 가야, 왜에 대한 고구려의 공격적 정책에 큰 도움을 줬다. 

한족의 大이동

발해만 제해권 장악한 백제 북연(國勢) 흡수한 고구려

백제의 미(美)를 엿보게 하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동아일보]  

백제와 고구려가 팽창정책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은 화북(華北)이 1차로 흉노·갈, 2차로 선비, 저·강 같은 수많은 부족에 의해 점령되는 등 중국이 대혼란에 처한 덕분이다. 이 대혼란기에 수많은 나라가 짧은 기간 화북과 하서회랑 등 각지에서 흥망을 되풀이했다. 이 글의 서술은 다수의 나라 이름 탓에 복잡하다. 이 무렵의 한중관계사(史)를 이해하려면 서술이 복잡하더라도 인내하면서 정독할 필요가 있다.
 
서진 멸망 후 정치·사회적 혼란 속에서 한족이 대이동을 시작했다. 강남으로 이주한 한족이나 화북에 남은 한족 모두 살아남고자 자위단(自衛團)을 조직해 향촌 질서를 유지했다.
 
자위단이 촌락 단위로 출현한 것은 183년 황건군 봉기와 관계가 있다. 자위단은 흉노·갈 등 북방민족이 화북 각지를 유린하기 시작한 서진 말에 급증했다. 자위단 구성원들은 지도자를 추대했으며 농지를 개간해 자립 기반을 갖췄다. 지도자인 주공(主公)은 독립국가의 리더 노릇을 했다. 자위단이 형성된 곳은 산간벽지였으며 성벽을 쌓아 외부의 침공에 대비했다.

한족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곳을 오(塢), 보(堡), 또는 벽(壁)이라고 일컬었는데, 한족을 공격하려던 북방민족은 각지에서 오, 보, 벽의 저항에 직면했다. 북방민족은 오, 보, 벽의 일부는 함락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오주(塢主)에게 지방관직을 주어 향촌 질서를 유지하게 했다. 한족의 자치를 인정한 것이다. 북방민족 국가 내 한족 백성에 대한 지배는 이렇듯 불철저했으며, 그로 인해 지배집단 내부의 작은 문제가 집단 전체의 존망과 연결된 사안으로 확대되는 예가 많았다. 

강남으로 피난한 한족은 화교(華僑)가 돼 동남아계 원주민과 섞이거나 원주민을 높은 산지나 더 남쪽으로 쫓아내고 농경문화를 퍼뜨렸다. 일부는 랴오허 유역이나 내몽골, 하서회랑으로 피난해 그곳의 북방민족과 잡거(雜居)했다. 

북만주가 원주지(原住地)인 모용선비족의 왕 모용준은 갈족이 세운 후조(後趙) 멸망 후 화북으로 진출해 허베이, 허난, 산둥을 포함한 대제국을 세웠다. 모용준의 조부 모용외(269~333)는 동아시아 최초로 유목민을 대상으로 한 부족적 군사조직과 농경민인 한족을 대상으로 한 관료적 행정조직을 분리한 이원체제(二元體制)에 기초해 국가를 다스렸다. 모용외의 아들 모용황은 후조는 물론, 우문선비·단선비 등 여타 선비족, 고구려·부여 등과 싸우면서 세력을 키운 끝에 337년 다링허 중류 차오양(朝陽)을 수도로 전연(前燕)을 세웠다.


http://shindonga.donga.com/3/all/13/834553/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693
2449 [중국] 하천의 명칭 변경, 영정하는 역수가 아니라 고하 도배시러 01-24 1228
2448 [기타] 1945년KOREA ,해방과 미군환영&일본군 무장해제 관심병자 12-17 1228
2447 [한국사] 역사의 아이러니(안동 김씨 세도를 불러들인 정조의 … 폭커 09-24 1228
2446 [한국사] 좀 더 확실히 해보면 (3) eo987 02-02 1227
2445 [기타] 고대사지도 독도 관련 (12) 관심병자 06-06 1227
2444 [한국사] 삼한과 진왕의 수수께끼 (3) 감방친구 07-28 1227
2443 [기타] 개인적으로 역사 탐구를 그만두게된게 (4) Marauder 05-05 1227
2442 [다문화] 다문화정책 찬성은 자신의 미숙함을 드러내는 일입… 포포타 01-24 1226
2441 [기타] 한국 미술 특강2 - 친일의 민낯 걍노는님 10-28 1226
2440 [한국사] 유사역사학은 어떻게 대중에게 다가갔는가? (5) 고이왕 06-19 1226
2439 [한국사] 사진으로 보는 근현대사 100년 (3) 레스토랑스 08-28 1226
2438 [기타] 국립박물관에서 파는 상품들 (6) 레스토랑스 09-08 1226
2437 [한국사] 조선시대 희대의 간신, 역적 김자점 (3) 레스토랑스 11-10 1226
2436 [한국사] 삼한의 적통은 마한일까??진한일까??변한일까?? (4) 마마무 03-10 1226
2435 [중국] 중국역사책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중국의 역사(중국… (2) history2 04-15 1226
2434 [한국사] 사서,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6) Attender 04-23 1226
2433 [기타] 인도 제2외국어 한국어 선정, 인도현지 "허황후" 뮤… 조지아나 08-25 1226
2432 [세계사] 너무나 닮은 동서양 고대 국가 건설의 과정 (4) 화마왕 11-06 1226
2431 [기타] 경계선지능이란 무엇인가 Marauder 02-23 1225
2430 [한국사] 한국사-역대 중앙관제 비교 두부국 12-22 1225
2429 [기타] 동아게가 역사 관련 장소라 아주 매우 심한 편인데요 (3) 흑요석 02-13 1225
2428 [한국사] 임진왜란에 출병한 명나라의 이여송,조승훈은 의도… (4) 설설설설설 11-06 1225
2427 [기타]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동북공정 왜곡 대응 연구소로 … 인류제국 01-29 1225
2426 [한국사] 한국전쟁의 숨은 Boss (2) history2 04-15 1225
2425 [한국사] 조선 전기 간도 알박기 계획 (8) 고이왕 04-16 1225
2424 [기타] 죠몬인에 대한 질문... (22) 밑져야본전 09-03 1225
2423 [한국사] 낙랑 관련 삼국사기 사료의 교차검증 19건 (1) 도배시러 08-14 1224
 <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