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03-13 00:28
[한국사] 당나라 두목지(杜牧之)의 시 추석(秋夕) - 국역과 해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70  

#추석 명칭 연구에 붙임



__________


■ 원문

秋夕

두목(杜牧, 당, 803~852)

銀燭秋光冷畫屏(은촉추광냉화병)
輕羅小扇撲流螢(경라소선복유형)
天階夜色涼如水(천계야색량여수)
坐看牽牛織女星(좌간견우직녀성)


■ 국역

銀燭秋光冷畫屏

은빛 촛불과 같은 가을 달빛이 화병에 서늘하게 어리우는데

輕羅小扇撲流螢

작은 부채를 살짝 펼쳐 부치니 반딧불이 흐르 듯 떠다니네

天階夜色涼如水

하늘의 섬돌에 물든 밤빛이 물과 같이 맑고 깨끗하구나

坐看牽牛織女星

앉아서 견우직녀성을 바라보네


■ 해설

① 秋夕은 '음력 8월 15일'이나 '가을 저녁'이라는 뜻이 아니라 '가을 밤'이라는 뜻입니다. 夕은 반달을 상형한 글자로, 본래 밤을 뜻하고 가리켰습니다. 

② 두목지의 이 시는 秋夕(추석)이라는 명칭 외에 七夕(칠석)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습니다. 고대 한시는 보통 제목이 따로 없습니다. 

③ 이 시가 七夕(칠석)이라는 명칭으로 불린 이유는 이 시가 '칠석(음력 7월 7일)'을 노래한 시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는 음력 8월이 아니라 음력 7월, 구체적으로 견우성과 직녀성이 만나는 음력 7월 7일, 즉 七夕(칠석)을 노래한 시입니다.

④ 天階(천계)는 문헌에 따라 瑤階(요계)로 돼 있습니다. 瑤(요)는 玉(옥)을 뜻합니다. 따라서 천계보다는 요계가 더 표현이 자연스럽습니다.

⑤ 坐看(좌간)은 문헌에 따라 臥看(와간)으로 돼 있습니다. 시간적 배경이나 쓸쓸하고 아름다운 정취로 볼 때에 좌간(앉아서 바라보다)보다는 와간(누워서 올려다보다)이 더 자연스럽게 어울립니다.




________________

이상 국역 및 해설 : 무쿠리(mvkuri)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21-03-13 18:37
   
아주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런 것들이라도 조금씩 하며 머리를 풀어야 해서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669
2638 [한국사] 조선과 명나라군 (2) 여름비 01-23 1263
2637 [북한] 김정은이 받은 선물 목록을 보니...금술잔,비단,낙타… (1) 돌통 05-14 1263
2636 [한국사] 외국의 친한파 역사학자 중에 이상한 점 (7) 국산아몬드 07-12 1263
2635 [기타] 있는 그대로 역사를 바라보기 도밍구 07-28 1262
2634 [한국사] 전쟁사 임진왜란 인류제국 05-24 1262
2633 [한국사] 요서백제는 엄연한 史實입니다.개인적으로 요서백제… (39) 성물세라핌 10-26 1262
2632 [한국사] 한국사기 고조선 모습 (12) 인류제국 11-01 1262
2631 [한국사] 역사는 현재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14) 히스토리2 04-22 1262
2630 [한국사] 고구려의 평양, 대륙에 있었나 -시사in 기사 히스토리2 05-17 1262
2629 [중국] 속국 좋아하고 자빠졌네~ 떡국은 먹어봤냐 ? 한류 문… (5) artn 11-12 1262
2628 [한국사] 역사전쟁, 금지된 장난. 일제 낙랑군 유물조작 (2) 마그리트 06-15 1261
2627 [한국사] 낙랑호구부 물고 늘어진 부흥 홍위병 또 개망신 ㅋㅋ (7) 징기스 06-20 1261
2626 [기타] 에어컨 대신 선풍기 틀고 연구하는 재야사학자들 (1) 환빠식민빠 06-21 1261
2625 [한국사] 제 견해로서 기록 관점으로 보는 삼만위(三萬衛 : 옛 … 현조 07-13 1261
2624 [한국사] 장수태왕이 천도한 평양은 북한의 평양이 아니다 조지아나 05-04 1261
2623 [한국사] 요동에서 철령까지 70참은 무엇인가? (3부) , (8) 보리스진 09-14 1261
2622 [한국사] 어째서 ‘왜’는 신라보다 국력이 쎘나요? (9) 밑져야본전 08-05 1261
2621 [한국사] 고려의 국경 동계는 잠수함 감시용 해안초소인가? (3) 금성신라 08-22 1261
2620 [한국사] 조선시대 찜질방 주인 "한증승" (2) 엄빠주의 11-21 1260
2619 [북한] (제 1편) 대한제국의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 (김현충=… 돌통 08-15 1260
2618 [기타] 백제 마지막 도읍 사비성은 어디였을까 (12) 관심병자 08-16 1260
2617 [한국사] 니네들이 좋아할만한 책 추천한다 (16) 천추옹 07-04 1260
2616 [한국사] 경북, 대구지역 사진(1930년대) (1) 히스토리2 05-08 1259
2615 [한국사] 식민사학자들이라고 욕하지만 사실 해외에 나가게되… (6) Marauder 06-12 1259
2614 [일본] 헌병 통치 때 이토 히로부미는 온건파였다? (2) 아스카라스 09-04 1259
2613 [다문화] 개인적으로 하나물어보고싶네요 (2) 모름 03-06 1258
2612 [한국사] 6.12 유라시안 역사인문학 특강 동북아 역사지도 바로… (4) 마누시아 06-12 1258
 <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