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2-27 10:20
[한국사] 경작지 면적 1결이 어림잡아 어느 정도 크기인가요?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5,107  

일단
1. 조선시대 경작지 면적을 찾아보니
1) 76만 결
2) 100 만 결
3) 170만 결(임진왜란 전, 이곳 유저이기도 한 네임드 블로거 옐로우황님)

2. 결의 크기를 찾아보니
1) 경과 동일(한민족문화대백과
2) 경의 대략 1/10 ㅡ 600~800 평(이곳 유저이기도 한 네임드 블로거 옐로우황님)
3) 경의 대략 최대 1/800(고려사 식화지 경리 문종 23년 : 1결은 사방 33보)
※1무는 240보, 1경은 100무

어떤 게 맞는 겁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7-12-27 10:33
   
1헥타르 약 3,000 평
조선시대 경작 면적 약 400만 헥타르(우세설 기준)

1결 ㅡ 33보 적용시 약 3~4평(?), 3~4,000 평 (?)
1경(고려시대 기준) ㅡ 약 6,000 평
Marauder 17-12-27 10:37
   
마침 같은걸 보고있었네요
     
감방친구 17-12-27 10:38
   
산수 좀 해주세요
제가 산수 머리가 안 됩니다 ;;
          
Marauder 17-12-27 10:49
   
전 그냥 위키로 봤습니다 ㅋ 위키로봤을때 대략 1결당 0.01 ~ 0.015km2 정도로 되더군요.
밑에 도배시러님이 계산하신게.. 300? km 2 정도였나요. 그렇다면 2만에서 3만결정도인거같네요.
               
감방친구 17-12-27 10:55
   
아니 그러면 1결을 1경과 같은 것으로 본 거네요
고려 시대 1경 = 0.015447 km²
                    
Marauder 17-12-27 10:59
   
경은 잘모르겠는데 최하로 계산이니까 그보다는 작다고 봐야겠죠.
감방친구 17-12-27 10:46
   
국역 고려사 식화지 경리 항의 주석에 있는 설명

"논자에 따라 1결의 면적을 1만 7천평 내외(①), 6천 8백평(②), 4673.3평(③), 1,530평~1,600평(④), 3,550평 내외(⑤), 1,400~1,500평(⑥), 1,200평(⑦)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결 : 생산량과 면적에 따라서 토지를 구획한 결부법(結負法)에서 사용된 단위이다. 결부법은 우리나라 특유의 제도로, 파(把)·속(束)·부(負)·결(結)로 구분되는데 10파(열 줌)는 1속(묶음)으로, 10속은 1부(등짐)로, 100부는 1결(먹·목·멱)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결부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타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신라통일기로 접어들면서부터였다. 결부제는 세금의 징수와 토지분급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통일신라와 고려 전기 결부법은 양척동일제(量尺同一制)였다. 양척동일제는 토지의 비옥도에 관계없이 모든 토지에 동일한 척(尺)을 적용한 제도로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수등이척제(隨等異尺制) 즉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다른 척을 적용한 제도와 대조된다. 고려 후기로 접어들면서 각종농서의 보급과 수리시설의 확충 등에 따른 농업생산력 증대로 인해 수등이척제로 변화하였다. 결부제 문제에서 현재 가장 논란이 있는 것은 1결의 면적이다. 논자에 따라 1결의 면적을 1만 7천평 내외(①), 6천 8백평(②), 4673.3평(③), 1,530평~1,600평(④), 3,550평 내외(⑤), 1,400~1,500평(⑥), 1,200평(⑦)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① 김용섭, 「고려시기의 양전제」 『동방학지』 16, 1975 ; 「결부제의 전개 과정」 『한국중세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② 강진철, 「결부제의 문제」 『고려토지제도사연구』, 일조각, 1980.
③ 박흥수, 「한국고대의 양전법과 양전척에 대한 연구」 『한불연구』 1, 1974.
④ 여은영, 「고려시대의 양전제」 『교남사학』 2, 1986.
⑤ 兼若逸之, 「『고려사』 ‘방삼십삼보’ 및 『고려도경』 ‘매일백오십보’의 면적에 대하여」 『손보기박사정년기념한국사학논총』, 1988.
⑥ 이우태, 「전결제」 『한국사』 14, 국사편찬위원회, 1993.
⑦ 이종봉, 『고려시대도량형제연구-결부제와 관련하여』, 부산대박사학위논문, 1999.
촐라롱콘 17-12-27 11:51
   
'결'이란 단위는 절대면적이 아닌 생산량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이 아닌가요....???

시대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쌀생산량을 기준으로는 대략 1년에 300~400두(말),

이를 석으로 환산하면 쌀 20석 가량을 생산할 수 경지의 넓이가 1결로 알고 있습니다만.......

따라서 비교적 비옥하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높은 삼남지방의 평야지역에서의 1결은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이겠지만, 삼남지방에 비해 토질이 비교적 척박하고 산악의 비중이 높은

강원도, 함경도, 평안도 지역에서의 게다가 거기에서도 산간지역에 걸친 1결이라면

삼남지방 평야지역의 몇 배에 해당하는 면적이 필요하겠지요......!!!
     
감방친구 17-12-27 11:56
   
결이 생산량 기준 면적이라는 말씀이죠?

제가 꼬여버린 것은
고려사 식화지 경리에 1결=33보라고 돼 있는 것 때문에 그런 거였습니다

게다가 한민족문화대백과는 1결과 1경을 똑같이 설명해놨어요
감방친구 17-12-27 12:02
   
한민족문화대백과는 결과 경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다만 세종 때의 1등급은 고려시대 1경보다 7배 넓었던 것으로 제시했네요

어찌 되었든
조선시대 경작지의 최소면적은 대략 한반도 면적의 1/10 정도인 것으로
신수무량 17-12-27 12:12
   
토지 1결의 면적이 지금처럼 도량형 등  절대 기준에 의해 정해진 면적이었는지부터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우리역사넷:
(3) 통일신라의 결부속파법과 10지척
통일신라 때 실시되었던 結負束把法은 고려때는 물론 조선 세종 때까지도 전국적으로 실시된 양전법이었다. 이 때 밝혀진 양전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1017)
量田尺=壯農夫 10指幅(指尺)=19.42㎝
1把길이=64指=指尺 6尺 4寸
1把積(줌)=四方 指尺 6尺 4寸=指尺 40.96平方尺
1束(단)=10把=指尺 409.6平方尺
1負(짐)=10束=四方 指尺 64尺
1結(먹)=100負=四方 指尺 640尺
    =四方 下田尺 35.55步
    =指尺 40,9600平方尺
    =1,5447㎡=世宗 때 中朝畝 59畝 112步≒1.5㏊

아마 위처럼 계산하니 1결이 15447㎡이라 계산된 듯합디나.

우리의 전통적인 계량 단위라고 하는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줌 단 짐 먹 중에, 한 줌:주먹 하나에 들 만한 분량. 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그렇다고 볼때, 토지의 면적이 우선이 아니라 해당 토지에서 생산되는 식량의 양이 우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감방친구 17-12-27 12:15
   
좋은 정보의 말씀 감사합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560
2800 [세계사] 폴리네시아인이 정말 미스테리네요. (7) 아스카라스 09-19 5064
2799 [일본] 일본은 중국 러시아 한국 대만 에게 영토문제로 너무… (12) 용트림 02-22 5066
2798 [한국사] 조선은 집구석 운영하듯 하다가 망했다는 겁니다 (65) 니똥굵냐 09-27 5066
2797 [중국] 중국의 성장이 지속가능할까요? (9) sjkho91 02-13 5068
2796 [기타] 역사상 장군과 군왕에 대한 개인평 (52) 전략설계 08-07 5068
2795 [중국] 중국. 미국만 없었다면 한국은 진작에 손봤을 나라 (13) 정상인임 12-26 5069
2794 조선족이 설치게 된것은 좌파들 때문입니다 (2) 아이디어 03-15 5071
2793 [기타] 혼혈과 분단으로 망한 고대 국가 (13) 슈퍼파리약 11-14 5071
2792 [베트남] 세계 최대 동굴...베트남 `항손둥 동굴` (사진) (8) 한시우 07-07 5073
2791 [베트남] 월남전 참전 용사를 뵙고 오는 길 입니다 (20) 잠티 01-21 5074
2790 [몽골] 무조건 몽골 까대는분 보이던데 (16) 애국자연대 10-19 5076
2789 [일본] 일본의 ‘상임이사국’ 야망 (13) 귀환자 08-15 5081
2788 [기타] 16세기 만주족의 형성과정과 만주족의 혈통적 정체성 제주to만주 01-09 5082
2787 [일본] 대한민국의 외교적 태도와 통일의 방향 애국애족 03-30 5082
2786 [일본] 체르노빌 땐 8000㎞ 떨어진 일본이 “소련은 정보를 … (4) 신문기사 04-07 5083
2785 짱개니스탄 분열 시나리오 (25) 휘투라 총… 05-14 5083
2784 [일본] 쪽국아베 : 전 아시아를 대표하여 중국을 고사시키겠… (16) 포세이돈 10-27 5083
2783 [기타] 국내 조폭 대 외국 조폭 ‘영토 전쟁’ 멀지 않았다 (4) 인디고 11-10 5084
2782 [기타] 절대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는 반기문 총장님. (7) 인류공영 12-24 5084
2781 [한국사] 일본서기에 나오는 한국어 (10) 호랭이해 10-31 5084
2780 [중국] 중국여자 수십만명 한국에서 매춘 (6) ㅇㅇㄹㄴㄹ 06-18 5085
2779 [중국] 세계 초강대국 중국. 우리는 중국에대해 얼마나 알고… (46) 이승민 06-09 5086
2778 [기타] 흔한 조선 임금님의 명나라 디스 (8) shrekandy 02-14 5086
2777 [다문화] 다문화사회가 키우는 외국인혐오증 ‘불편한 진실’… (6) doysglmetp 07-27 5087
2776 [세계사] 안씻고 더러운 중국인을 비웃은 고려인들 (7) 고구려거련 12-17 5088
2775 [대만] KOREA vs TAIWAN台灣出口剩韓國一半(최종편) (1) ㅈㅈ 01-26 5089
2774 [통일] 중국과일본 역사적으로 봤을때 적이면서도 동반이군… (4) 피지컬러링 09-01 5089
 <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