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9-29 10:36
[한국사] 이징옥의 난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3,639  

이징옥()은 세종() 때에 6진의 개척에 큰 공을 세운 무장()이다. 그는 1423년(세종 5) 황상()의 추천으로 경원() 첨절제사(使)로 임명되어 함길도 지역으로 파견된 뒤 20년 가까이를 그 지역에서 근무하며 북방의 방어를 담당했다. 그는 성격이 굳세고 용감할 뿐 아니라 군령이 매우 엄하여 방어체제를 잘 유지했다. 그리고 여진족의 근거지로 쳐들어가 족장을 죽이는 등 용맹을 떨쳤다.

1438년(세종 20) 모친상을 입은 뒤에 경상도 도절제사와 평안도 도절제사 등을 지내던 이징옥은 1450년(세종 32) 문종이 새로 왕위에 오른 뒤에 부친상을 당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다시 도절제사로 임명되어 함길도로 파견되었다. 1453년(단종 1) 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단종도 명을 내려 이징옥을 함길도 도절제사로 계속해서 유임시켰다.

하지만 조선 최고의 장수이자 김종서()와도 가까운 관계였던 이징옥은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 이유(, 제7대 세조) 일파의 주된 표적이 되었다. 1453년 음력 5월 한명회()와 홍달손()은 수양대군에게 이징옥이 안평대군() 이용()과 공모해 경성부사(使) 이경유(㽥)를 시켜 경성()의 병기들을 한양으로 옮겼다며 그의 문책을 주장했다. 그리고 음력 10월 10일 계유정난()을 일으켜 안평대군과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인 뒤에는 곧바로 함길도에 주둔하던 이징옥을 불러들여 그를 제거하려고 했다. 계유정난으로 권력을 장악한 수양대군은 다음날인 음력 10월 11일에 이징옥을 평해()로 유배하라는 명을 내리고, 평안우도 도절제사(使) 박호문()을 그를 대신해 함길도 도절제사로 임명해 파견했다. 음력 10월 13일에는 형조참판() 김문기()가 이징옥이 병기를 빼돌린 혐의가 있다며 고발했고, 음력 10월 17일에는 고신()이 추탈되었다. 그리고 음력 10월 21일에는 우헌납() 김계우() 등이 이징옥을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조정에서 자신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징옥박호문이 후임으로 임명되어 오자 그에게 병부()를 넘겨주고 길주()에 있던 도절제사영(使)을 떠나 한양으로 향했다. 하지만 도중에 계유정난으로 김종서 등이 죽고 조정에서 자신을 제거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다시 길주로 돌아가 박호문을 죽이고 그의 아들 박평손()을 사로잡았다. 그리고 도진무() 이행검()과 함께 도절제사영에 주둔하던 병력을 이끌고 종성절제사(使) 정종()이 지키고 있던 종성()으로 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길주와 종성의 병사들로 진영을 갖추고, 각지에 군사를 일으키라는 통문을 보내는 한편 여진의 여러 부족에도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그가 스스로 왕위에 오르며 금나라를 계승한 대금()의 황제()임을 자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단종실록()’은 워낙 세조의 정난()을 합리화하는 내용으로 왜곡되어 있어서 사실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징옥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정에서는 수양대군을 중외병마도통사(使)로 삼아 토벌군을 꾸렸다. 그리고 각지에 이징옥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우면 크게 포상하겠다고 알리고, 6진 인근의 여진족에게도 반란군에 동조하면 함께 토벌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을 전했다. 하지만 토벌군이 출정하기 전에 종성에 주둔하던 이징옥은 이행검과 정종의 계책에 넘어가 주변의 경계를 느슨히 했다가 이행검과 정종 등에게 기습을 당해 세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징옥의 시신은 거열()로 찢겨졌으며, 그의 머리는 3일 동안 효수되었다가 한양으로 보내졌다.

이처럼 이징옥의 난은 함길도 도절제사로 그 지역에서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이징옥여진족의 지원을 받아 6진의 정예 병력을 이끌고 군사행동을 벌이려 했다는 잠재된 위험성과는 달리 이징옥이 일찍 살해됨으로써 실제 실행으로 옮겨지지는 못하고 끝맺었다. 그래서 박호문이 죽은 것 이외에는 조정이 입은 피해는 거의 없었으며, 오히려 이징옥을 제거하려고 했던 수양대군 일파는 손쉽게 뜻을 이루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사건으로 북방의 방어가 흔들리는 것을 우려한 조정은 음력 11월 3일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몇몇만 처벌하고 나머지는 모두 불문에 붙이겠다고 하여 사건의 파장을 최소화하였다. 이징옥의 형제인 이징석()과 이징규()의 일가도 모두 처벌하지 않고 풀어주었다. 그리고 이징옥을 살해하는 데 공을 세운 인물들을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했는데, 최초로 모의에 참여한 대호군() 이행검()ㆍ종성 절제사(使) 정종()ㆍ종성 판관() 정포()ㆍ전 수만호() 장영() 등 10인이 1등, 이들을 도운 사직() 김익맹() 등 43인이 2등, 이들이 이징옥을 기습하여 죽일 때 군사들을 이끌고 성 밖을 지킨 삼휘() 진무() 전유지() 등 5인이 3등으로 포상되었다. 이징옥을 죽여 당상관()으로 승진된 정종은 이듬해 종성도호부사(使)로 임명되었다.

이징옥의 난은 여진족과 연합해 군사행동을 벌이려 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실제 군사행동이 벌어지지 않고 이징옥이 살해됨으로써 일찍 진압되었지만,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는 데도 영향을 끼쳐 조선의 북방 방어와 여진족에 대한 통제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징옥의 난 [李澄玉─亂] (두산백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유수8 16-09-29 13:31
   
그랬군요... 잘보고 갑니다.. 감사염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626
6040 [중국] 중국 KFC매장 폭행사건 범인이 한국인이라고 모함하… (6) 군기교육대 05-21 3635
6039 [다문화] 어느 중국유학생과의 대화,,, (9) 내셔널헬쓰 11-30 3635
6038 [기타] 고대 평양의 위치에 대한 인식 1 가생이중독 08-24 3635
6037 [한국사] 베이징에서 발견된 '낙랑국 조선현' 무덤 (16) 양원장 04-28 3635
6036 [한국사] 고구려 백제가 멸망하지 않고 삼국이 그대로 이어졌… (20) 아스카라스 09-11 3635
6035 [기타] 짱깨블로그발견 (8) 자기자신 05-12 3636
6034 [중국] 조선족보다는 중국한족이 그나마 조용한것같습니다.… (6) doysglmetp 06-05 3636
6033 [다문화] 결혼이민자 40명 이상 지방공무원으로 채용한다… 201… (5) doysglmetp 11-24 3636
6032 [기타] 발해 황후 묘는 왜 공개되지 못하나? (4) 두부국 08-04 3636
6031 [한국사] 8세기 말 발해 상경성과 압록강의 위치는 어디인가? (9) 감방친구 04-17 3636
6030 [기타] 고려 중장기병 (2) 두부국 11-16 3637
6029 [기타] 고구리인가? 고구려인가? (17) 두부국 03-02 3637
6028 [기타] 식민사학의 억지주장에 대해 (33) 관심병자 12-05 3637
6027 [한국사]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었다면 말이 안 되는 기록들 (… (11) 꼬마러브 05-02 3639
6026 [세계사] 네덜란드의 코리아호 (1) 붉은깃발 08-06 3639
6025 [기타] 이번 큰달 사건으로 ^^ 03-11 3640
6024 [중국] 중국에 기울수밖에 없는 한국 (12) 철부지 04-19 3640
6023 [기타] 한반도에서는 포부가 좁을수밖에없다. (56) 철부지 05-09 3640
6022 [한국사] 이징옥의 난 (1) 두부국 09-29 3640
6021 [일본] 일본 욱일기 비판에 대한 반론 (19) 소라카 08-08 3641
6020 [일본] 일본인의 한국 독립 인식, 웃고 갑시다. (10) 해달 06-20 3641
6019 [중국] 중국이 없으면 지구가텅빈거 같이 (30) 마음의소리 06-30 3641
6018 [몽골] 이거 보고도 몽골 똥꼬가 그리 좋으십니까? (13) 성시리 10-23 3641
6017 [일본] 日임진왜란 출병명령서 발견 "조선, 강하지 않다고 … (4) 스쿨즈건0 03-29 3641
6016 [중국] 위만은 억지 중국인 … 후한서삼국지서 중국 성 ‘… (19) 니나 03-29 3642
6015 [중국] 헬게이트 열린듯 (6) 김상 07-03 3642
6014 [한국사] 세계최초의 민중? 서명운동, 조선시대 만인소 (5) shrekandy 11-30 3642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