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3-11-11 21:42
[한국사] [FACT] 한중일 언어의 변화
 글쓴이 : 아비바스
조회 : 600  



〈향문천님이 영상을 제작하며 남긴 글 〉
「현대」 저의 모어는 현대 한국어이므로, 한국어 이외의 언어는 발음이 현지인의 발음과 비교하여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근대」 근대 한국어의 악센트는 임의로 낭독되었습니다. 16세기 말부터 악센트를 나타내는 방점 표기에 큰 혼란이 생긴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악센트가 근대국어 시기에서는 이미 비변별적 요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음장은 변별적 요소로 남아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장음은 현대 표준어에도 남아 있습니다. 근대 일본어의 악센트는 도쿄(에도) 기준입니다. 노국음은 20세기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표준으로, 일상에서 실제로 저렇게 말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근대 한국어 문헌 「숙종 한글 편지」는 이중모음(「ㅐ」「ㅔ」등)의 단모음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지만, 중세국어와의 차별 점을 두기 위하여 근대국어 에서 특징적인 단모음 발음을 채택하여 낭독하였습니다. 다른 언어의 낭독도 그 문헌이 쓰인 시기와 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세」 이 영상에서 중세 한국어는 후기중세한국어(Late Middle Korean; 15C - 16C)로 대표되었습 니다. 「고대」 이 영상에서의 고대 한국어는 신라어이며, 현재의 영남지역 부근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신라어는 일부 음운 면에서 중세 한국어보다 개신적이기 때문에, 중세 한국어가 신라어의 직계후손이라고 확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중세국어를 기준으로 하는 영상 내의 고대국어 악센트는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사용된 재구〉 「시대분류1」 ・근대 한국어 - 전반적 합의 ・근세 일본어 - 전반적 합의 ・노국음 관화 - 노국음 ・청대 월어 - 전반적 합의 「시대분류2」 ・중세 한국어 - 전반적 합의  - 모음: 전반적 합의  - 자음: 음소로서의 「ㅇ」의 음가는 [ɣ]설, 「ㄹ」의 음가는 일률적 [l] 설 채택. 쌍자음은 장자음설 채택. ・중세 일본어 - 전반적 합의. 악센트는 院政期 기준. 불명확한 악센트는 임의 적용. ・고관화 - 『中原音韻』기준, 21성모설을 채택. 성조는 藤光曉 (1984) 재구를 따름. 「시대분류3」 ・고대 한국어 - 향문천 임시 재구. 기존 재구가 중세국어의 시각에서 접근된 경향이 강하여 향문천 임시 재구를 적용함. 모음의 경우 고대 한국어에서 모음조화쌍 분포가 불분명하므로, 편의 상 임시적으로 모두 양성모음으로 간주함. ・상대 일본어 - 자음은 전반적 합의. 모음은 Miyake (2003) 재구를 따름. 악센트는 임의 적용. ・중고 중국어 - 편의 상 潘悟云 (1943) 재구를 따름. 「시대분류4」 ・상고 중국어 - Baxter-Sagart (2014) 재구를 따름. 미지의 자음 C는 낭독하지 않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비바스 23-11-11 22:04
   
PS : 모든 글이나 자료는 출처가 없으면 믿지 말아라..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642
19917 [한국사] 자치 (2) history2 02-19 589
19916 [한국사] [FACT] 우리나라 사극에서 병력 고증 불가능한 이유 (1) 아비바스 11-24 589
19915 [한국사] 우리 고대사 #5 : 맥족과 예족 윈도우폰 03-22 589
19914 [한국사] 우리 고대사 #3 : 홍산문화와 적봉지역 주민 윈도우폰 03-22 591
19913 [한국사] 고대 한국의 해양활동4 지누짱 08-10 592
19912 [기타] 베이징 서쪽도 고려 ? 또 청나라지도에 표시 관심병자 11-19 592
19911 [기타] 식민사학자들의 임나일본부의 허구 (1) 관심병자 11-24 592
19910 [한국사] 우리 고대사 #8 : 고조선의 이동 윈도우폰 03-22 593
19909 [한국사] 부도지 역법(개요) 비가오랴나 04-16 594
19908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남한산성 3 히스토리2 04-26 594
19907 [한국사] [ FACT ] 고구려 백제 신라는 말이 통했다. (1) 아비바스 03-03 594
19906 [북한] 황장엽의 김정일에 대한 비판.김일성에 대해.08편. 돌통 01-13 596
19905 [한국사] [FACT] 고구려 전성기 - 광개토대왕이 삼국통일을 하지… 아비바스 11-18 596
19904 [한국사] 우리 고대사 #1 : 우리 민족의 조상 윈도우폰 03-22 597
19903 [한국사] [FACT] 한중일 언어의 변화 (1) 아비바스 11-11 601
19902 [기타] 강감찬 / 강한찬 (2) 관심병자 11-14 601
19901 [북한] (심화과정)한반도 현대사 정확한 팩트09편 돌통 08-25 603
19900 [한국사] 광개토대왕과 낙랑군의 위치, 누구도 모르는 그 곳에… (2) 하늘하늘섬 05-02 605
19899 [북한] 북한의 역사를 지켜보면서..09편. 돌통 02-10 606
19898 [한국사] [FACT]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쳐(NATURE)" 요하문명은 트… (14) 아비바스 11-10 606
19897 [한국사] 티벳의 Relpa dance ( 삼태극 소고 무용) (3) 조지아나 11-08 607
19896 [중국] 자강두천 가슴이 옹졸해지는 <삼국지> 시리즈 ㅋ… (1) 아비바스 03-03 609
19895 [한국사] [ FACT ] 역사학자 <임용한> , 고려거란전쟁 전투씬… 아비바스 03-04 609
19894 [북한] 정치적이지 않고 오직 (진실,사실적인 김일성 인생,… 돌통 04-26 611
19893 [한국사] 기후변화와 인류의 이동 (3) 하이시윤 02-29 611
19892 [한국사] 《고려 남경(南京)의 위치와, 남경황궁의 모습》 (1) 에피소드 03-02 611
19891 [한국사] [FACT] 역사학자 임용한, 정형돈 한국사 훑어보기 아비바스 11-26 61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