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3 19:04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669  

1.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
 
고창읍성.jpg

고창읍성2.jpg

고창읍성3.jpg
고창읍성 
금성산성.jpg
금성산성 
부산진성.png
부산진성 
삼년산성.jpg
삼년산성(신라때 축조)
아차산성(신라).jpg
아차산성(신라때 축조)
안주성 백상루.jpg
안주성 백상루 
안주성.jpg
안주성 
영변성.jpg
영변성 
온달산성.jpg

온달산성2.jpg
온달산성
의주성.jpg
의주성 
파사산성(백제).jpg

파사산성.jpg
파사산성 
화왕산성(가야).jpg

화왕산성(가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13 22:29
   
안주성은 고구려 시대 성곽이죠?
히스토리2 18-05-13 22:33
   
고구려시대부터 축조된 석축 산성.

내성·외성·신성 등 3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내성은 고구려시대에 축조되었다고 한다. 현재의 안주성은 995년(성종 14)에 서희(徐熙)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성한 것이며, 그 뒤 조선조에 들어와 1607년(선조 40) 개축하였다. 당시 성의 규모는 주위 3.043보, 높이 13척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많이 파괴되어 그 실상을 잘 알 수 없다. 내성은 동서로 긴 형태로 능선과 절벽 및 구릉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는데, 성벽의 아래 부분은 장대석으로 기초를 만들었고 그 위에 3~4단을 퇴물림형식으로 쌓아올렸다.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치성은 동·남·북쪽 성벽에 각각 2개소씩 모두 6개가 설치되어 있다. 성문터는 동·남·북의 3면에 있으며, 장대는 서·남·동쪽의 성벽에 설치되어 있는데, 서장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유명한 백상루가 있다. 이 성 안에 있는 칠성지는 주위가 550m나 되는 인공의 연못으로 안주성 축조 때 함께 조영된 것이다.

이 성은 고려 때는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이용되었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후금군의 침입을 받자 남이흥(南以興)이 평안도병마절도사로서 안주목사 김준(金浚) 등과 함께 격전을 벌이다 무기가 떨어져 성이 함락되자 성에 불을 지르고 불 속에 뛰어들어 순직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히스토리2 18-05-13 22:33
   
네 ^^ 그렇네요 ....저도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Total 2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2 [한국사] 백제 건국 과정의 재구성 1 지수신 07-14 1405
171 [한국사] 백제 제25대왕 '무령왕' 표준영정 완성 (5) BTSv 07-05 3026
170 [한국사]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건국서문 (2) 지수신 07-04 2419
169 [한국사] 요서 백제 추적(bc 3세기~ad 5세기) (23) 감방친구 06-16 5278
168 [한국사] 요서 백제 관련 사서 기록 (23) 감방친구 06-09 3350
167 [한국사] 백제의 걸작’ 90년만에 빛…진품 공인되면 수백억… (6) 에롱이 06-05 2086
166 [한국사] 백제의 요서(遼西) 경략을 역사에서 지우려하지 마라 (8) 히스토리2 06-05 1528
165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199
164 [한국사] 궁금한게 보통 온조가 백제를 세우고 비류가 인천에… (8) 코스모르 05-28 1329
163 [한국사] 백제 위례성이 충남 천안일까 (4) 히스토리2 05-27 1973
162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58
161 [한국사] 백제 흑치상지의 출생지 (19) 영종햇살 05-16 4533
160 [한국사] 백제금동대향로 (5) 호랭이해 05-15 2114
159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70
158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79
157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65
156 [한국사] 지나에 존재한 또하나의 백제(신동아 기사 발췌) (3) 히스토리2 04-28 1949
155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1
154 [한국사]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 (10) 꼬마러브 04-23 1970
153 [한국사]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신발 (4) 감방친구 04-14 1309
152 [한국사] 백제 웅진하는 현 금강 (15) 감방친구 04-12 1838
151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7) 도배시러 04-11 1363
150 [한국사] 백제의 하천 - 당나라 한원서 (5) 도배시러 04-11 1130
149 [한국사] 한성 백제 시기의 의복 복원 (4) 고이왕 04-01 6017
148 [한국사] 연구해 볼 만한 백제성립의 가설들 (3) history2 03-21 1374
147 [기타] 中, 백제까지 중국사에 편입 (13) 가난한서민 03-05 1673
146 [한국사] 황당한 백제의 멸망 (20) history2 03-04 317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