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6 13:48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3,967  

b4a0a0187688920888cee27a681c3baa294e07167028f2655aff308830fbdec35dfadbcad77444264784d9386146037b67c1f2bd4a88170be481b3f2330683f7eff8acbfd05c7be27dd43575e16efcf4.jpg

중국에서 복원한 명광개.jpg


**** 당의 명광개***


다운로드.jpg



5ba8b32648213e7719ffdcfc786e588b.jpg

BCBC4.jpg

 

* 황칠을 이용한 삼국의 갑옷 



황칠은 한반도 서남해안 완도, 보길도 등지에 자생하는 황칠나무 수액을 짜서 가공한 도료다. 일찍이 고대 중국 등에서 황금빛을 띠며 내구성이 뛰어난 최고의 도료로 널리 칭송받았고, 부와 권위의 상징으로 고급 갑옷, 장식품 등에 칠했다. <책부원구> <구당서> 등에 ‘당 태종이 백제에 갑옷에 입힐 금칠을 청했다’ ‘백제 섬에서는 황칠 수액이 생산된다’는 대목 등이 보인다. 백제가 ‘명광개’라는 고급 갑옷을 당나라에 선물했다는 기록도 <삼국사기>에 전하는데, 이 갑옷에도 황칠을 입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칠은 옻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칠하는 옻칠과 같은 전통 공예기술이다. 황칠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진액)가 나오는데 이것을 모아 칠하는 것을 황칠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가구의 도료나, 금속·가죽의 도료로 사용되었다. 역사적으로는 왕실에서 쓰이는 양이 많았으며, 중국에 보내는 조공품들 중 하나이기도 했다. 왕실에서 쓰이는 양이 상당했는지, 황칠나무가 자라는 지역 백성들의 고통이 심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황칠나무가 자라면 베어버렸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특히 백제시대에 이렇게 생산된 황칠은 수나라의 갑옷인 명광개나 백제의 칠 갑옷을 만드는데 쓰였었다. 황칠은 금속에 끼얹으면 진짜 순금같은 아름다운 황금빛을 띠게 되면서도 원래 금속보다 더욱 견고한 멋진 금속이 되었다.즉, 조선시대에 강철에 수은을 끼얹어 아름다운 은빛이 도는 수은갑을 만들었다면 백제에서는 강철에 황칠을 끼얹어 화려한 금빛이 도는 명광개를 만든 셈. 어떻게 보면 가장 백제스러운 도료라 할 만하다. 

백제시대 문화의 기본 모토가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황칠한 금속 자체가 진짜 금에 비해선 훨씬 저렴하니만큼 사치하는 것도 아니지만, 일반 강철의 색과는 비교도 안되는 아름다운 금빛을 띠고 있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지나치게 외관만 치중하는 게 아니라 견고함까지 보장되기에 실용성도 뛰어난 삼국시대 가성비 최강의 도료인 것이다.


금동관.jpg

< 황칠을 이용한 금동관(복제품) >

49c2c4c86329d59743b78f9a78e0ffc4f4104de9183f74af5305335b0aa948ff425884abcc957de1ed131f7e213de5f5ff5b32b9de9fd1134b02ba1e29f25288dab3d2eef2c8467bdf44100dac0f6294.jpg

< 황칠나무 > 

7e0f826a457b71c7cf4f116caf6eb13d6c5aa39bf1a69200e1e37e3280ca05e71cd0f8346fb599dbabf9ffa5cdbc63bf115d0a6d001d5dc1824f20074e1aafa8d42311ecbfbf96d1743583858f93e5a4.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비좀와라 18-05-06 15:04
   
황칠이 살균성분이 있어서 황칠이 칠해진 갑옷에는 곰팡이가 피지 않고 병충해로 부터 안전 하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갑옷에 칠해진 것이라 합니다. 워낙 뛰어난 성분이 있어서 중앙에서 특산물로 많이 가져가다 보니 지방민이 굉장히 고통을 당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황칠나무가 자라면 베어버렸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 이 글은 중앙조정에서 베어 버렸듯이 썼지만 사실 황칠나무가 자라나는 지역의 백성이 부역이 너무 과하다고 해서 베어버린 것 입니다.

지금은 이 황칠액을 다시 재 조명 하고 있는데 이 황칠액이 스텔스 성분이 있다고 하죠.
     
6시내고환 18-05-06 17:59
   
살균 성분이 있는건 처음알았네요 오..
 
 
Total 2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2 [한국사] 백제 건국 과정의 재구성 1 지수신 07-14 1400
171 [한국사] 백제 제25대왕 '무령왕' 표준영정 완성 (5) BTSv 07-05 3019
170 [한국사]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건국서문 (2) 지수신 07-04 2417
169 [한국사] 요서 백제 추적(bc 3세기~ad 5세기) (23) 감방친구 06-16 5266
168 [한국사] 요서 백제 관련 사서 기록 (23) 감방친구 06-09 3340
167 [한국사] 백제의 걸작’ 90년만에 빛…진품 공인되면 수백억… (6) 에롱이 06-05 2083
166 [한국사] 백제의 요서(遼西) 경략을 역사에서 지우려하지 마라 (8) 히스토리2 06-05 1524
165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191
164 [한국사] 궁금한게 보통 온조가 백제를 세우고 비류가 인천에… (8) 코스모르 05-28 1324
163 [한국사] 백제 위례성이 충남 천안일까 (4) 히스토리2 05-27 1967
162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48
161 [한국사] 백제 흑치상지의 출생지 (19) 영종햇살 05-16 4531
160 [한국사] 백제금동대향로 (5) 호랭이해 05-15 2104
159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66
158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68
157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64
156 [한국사] 지나에 존재한 또하나의 백제(신동아 기사 발췌) (3) 히스토리2 04-28 1948
155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0
154 [한국사]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 (10) 꼬마러브 04-23 1962
153 [한국사]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신발 (4) 감방친구 04-14 1304
152 [한국사] 백제 웅진하는 현 금강 (15) 감방친구 04-12 1830
151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7) 도배시러 04-11 1355
150 [한국사] 백제의 하천 - 당나라 한원서 (5) 도배시러 04-11 1127
149 [한국사] 한성 백제 시기의 의복 복원 (4) 고이왕 04-01 6013
148 [한국사] 연구해 볼 만한 백제성립의 가설들 (3) history2 03-21 1371
147 [기타] 中, 백제까지 중국사에 편입 (13) 가난한서민 03-05 1671
146 [한국사] 황당한 백제의 멸망 (20) history2 03-04 317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