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1 20:16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글쓴이 : 도배시러
조회 : 1,360  

■ 북주 이역 上 559-581 [ 북위 - 서위/동위 - 북제/북주 ]
周書 卷四十九 列傳第四十一 異域上

百濟者,其先蓋馬韓之屬國,夫餘之別種。有仇台者,始國於帶方。故其地界東極新羅,北接高句麗,西南俱限大海. 
東西四百五十里,南北九百餘里。治固麻城。
其外更有五方:中方曰古沙城,東方曰得安城,南方曰久知下城,西方曰刀先城,北方曰熊津城。

백제는 부여의 별종이며 옛날 마한의 속국이다. 구태가 대방에서 나라를 시작했다.
옛날 그 땅의 동극 경계에 신라가 있었고, 북으로 고구려와 접하고, 서남쪽으로는 대해와 함께 하였다.
동서 450리, 남북 9백여리 이다. 도성은 고마성 이다.
도성 밖의 5방에는 중앙에 고사성, 동-득안성, 남-구지하성, 서-도선성, 북-웅진성



● (당나라) 한원서에 인용된 백제성

括地志曰 百濟王城方一里半北面累石為之城外可萬餘家 即五部之所也 一部有兵五百人 백제왕성
又國南二百六十里有古沙城 城方百五十步 此其中方也 方繞兵千二百人           고사성 남260리
國東南百里有得安城 城方一里 此其東方也                                       득안성 동남 100리
國南三百六十里有卞城 城方一百三十步 此其南方也                               변  성  남360리
國西三百五十里有力光城 城方二百步 此其西方也                                 역광성  서350리
國東北六十里有熊津城一名固麻城 城方一里半 此其北方也               웅진성/고마성 동북60리

bj-x.jpg
괄지지 括地志 에 언급된 백제 도성을 지도에 표기 합니다.
주류사학 통설은 충남 공주를 웅진성으로 봅니다. 공주를 기준으로 괄지지의 백제 도성을 표기합니다.
상단의 평양 부근 ○도성표시는 같은 비율로 위치이동한 것입니다. 역광성의 해저위치 오류를 단순회피.

國西三百五十里有力光城 城方二百步 此其西方也 

주류 통설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서쪽의 역광성 力光城 입니다.
백제의 도성중에 하나가 바다에 잠겨 있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참고 : 작은 원 반경 100km 250리, 큰 원 반경 200km 500리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신수무량 18-04-11 20:25
   
당시 백제는 대단했군요...바다로부터 오는 적을 막기 위해 바다 위에 성을 쌓았군요(아무리 생각해도 우리조상들은 대단하셨던듯..산능성을 가러질러 성을 쌓기도 하셨으니..)...최고의 방어를 위해...(아님 그 당시엔 저 서해가 바다가 아니라 육지였을까...탐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도배시러 18-04-11 20:43
   
너무 깊지 않아서 탐사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ㅋ
도배시러 18-04-11 20:58
   
추가로 강폭 3백보의 웅진하가 웅진성 부근에서 존재해야 합니다.
括地志曰 熊津河源出國東界 西南流經國北百里 又西流入海 廣處三百步 其水至清 - 한원서
     
지수신 18-04-12 16:57
   
넓은 곳이 3백보라 했으므로 꼭 웅진 부근의 강폭이 3백보일 필요는 없습니다.
          
도배시러 18-04-12 19:34
   
한원서에 언급된 하천중에 대요수 백보, 압록수 3백보, 웅진하 3백보이니....
당대의 여러가지 하천정보를 취합할 필요는 있어 보이네요.
지수신 18-04-12 16:59
   
역광성 외의 나머지 지역들이 모두 맞아들어간다면,
역광성 하나에 오류가 있을거라 보는 편이 합리적입니다.
     
도배시러 18-04-12 19:21
   
백제 침략 직전에 만든 전쟁지리지가 괄지지이므로... 심각한 오류가 있다면 위험하죠.
당장 전쟁을 하려고 만든것이고, 속전속결로 백제정벌을 완료했죠.

문헌에서 三百五十里 라는 문구가 조작 되었다는 증명이 필요합니다.
굳이 조작이 되었다면 二百五十里 => 三百五十里 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Total 2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2 [한국사] 백제 건국 과정의 재구성 1 지수신 07-14 1404
171 [한국사] 백제 제25대왕 '무령왕' 표준영정 완성 (5) BTSv 07-05 3024
170 [한국사]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건국서문 (2) 지수신 07-04 2419
169 [한국사] 요서 백제 추적(bc 3세기~ad 5세기) (23) 감방친구 06-16 5277
168 [한국사] 요서 백제 관련 사서 기록 (23) 감방친구 06-09 3350
167 [한국사] 백제의 걸작’ 90년만에 빛…진품 공인되면 수백억… (6) 에롱이 06-05 2085
166 [한국사] 백제의 요서(遼西) 경략을 역사에서 지우려하지 마라 (8) 히스토리2 06-05 1528
165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195
164 [한국사] 궁금한게 보통 온조가 백제를 세우고 비류가 인천에… (8) 코스모르 05-28 1327
163 [한국사] 백제 위례성이 충남 천안일까 (4) 히스토리2 05-27 1973
162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56
161 [한국사] 백제 흑치상지의 출생지 (19) 영종햇살 05-16 4533
160 [한국사] 백제금동대향로 (5) 호랭이해 05-15 2114
159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69
158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78
157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65
156 [한국사] 지나에 존재한 또하나의 백제(신동아 기사 발췌) (3) 히스토리2 04-28 1948
155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1
154 [한국사]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 (10) 꼬마러브 04-23 1965
153 [한국사]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신발 (4) 감방친구 04-14 1308
152 [한국사] 백제 웅진하는 현 금강 (15) 감방친구 04-12 1836
151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7) 도배시러 04-11 1361
150 [한국사] 백제의 하천 - 당나라 한원서 (5) 도배시러 04-11 1129
149 [한국사] 한성 백제 시기의 의복 복원 (4) 고이왕 04-01 6016
148 [한국사] 연구해 볼 만한 백제성립의 가설들 (3) history2 03-21 1373
147 [기타] 中, 백제까지 중국사에 편입 (13) 가난한서민 03-05 1673
146 [한국사] 황당한 백제의 멸망 (20) history2 03-04 317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