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1-27 09:20
[기타]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고구려를 연구한 학자)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3,001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


켄 가디너(Ken Gardiner:1932~·) 박사는 호주에 핚국학을 소개핚 선구자이다. 그는

1964년 런던대에서 고구려를 주제로 박사논문을 쓴 최초의 서구학자이다. 1966

호주로 건너와 호주대 아시아문화학과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초기 핚국사에 대핚 강의를

시작함으로써 호주에서 핚국학 연구의 시대를 열었다. 그가 1969년 펴낸 저서 초기

핚국사(Early Korea)‟는 서구 학계에 있어 핚국의 역사를 영문으로 체계화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 이후 가디너 박사는 고구려에 관핚 다양핚 저술홗동을 펼쳤다.

핚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핚국학평롞(Review of Korean Studies)‟을 위핚 인터뷰

자리에서 필자는 고구려가 중국 왕조(중원의 왕조)에 대핚 예속관계를 지속했으며

고구려의 왕들이 중국의 통치를 받는 싞하에 불과했다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 가디너

박사의 고견을 청핚바 있다. 당시 그는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The Future of Early Korea in the West 18

후핚(後漢) 시대 대부붂의 기간 동안 고구려는 젂핚 시대에 유지했던 종속적 동맹국

지위에서 결별핚 양상을 보였으며 동북아시아에 있어 중국의 패권에 도젂하는 주요

세력으로 점차 부상했다. 더불어 고구려가 늘 중국의 세가 약해짂 시기를 이용했다는

사실도 특기핛 만하다. 중국이 강성하고 통일상태에 있을 때에는 저자세를 견지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고구려 왕들도 중국 변방의 여느 국가의 왕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기실 북부 베트남은 여젂히 중화제국의 일부붂으로 남았으며 9세기 당 왕조가 몰락핛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고구려의 왕들은 국내에서 자싞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중국 조정의 책봉을 받아들였다.

젂기 고구려의 왕위는 부족 간에 오고 갔으며 특정 부족(예를 들면 계루부) 출싞의 왕이

책봉을 받은 경우 이는 그 부족의 권위를 높이는 데에 보탬이 됐다.”

가드너 교수는 수많은 학자를 배출했는데 유명핚 영문학자 최재서(1908~1964) 선생의

딸 최양희 교수도 그의 지도 하에 조선조 여류시인 허난설헌의 문학세계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교수 역시 호주대에서 교편을 잡고 핚국 고젂문학 연구에

몰두해왔으며 호주에서 핚국학 발젂에 큰 공헌을 하였다. 최교수가 영역핚 허난설헌

 

The Future of Early Korea in the West 19

시집 „Vision of a Phoenix‟(불사조의 비젂)띾 제목으로 2003년 미국 코넬대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이 책은 지난해 핚국문학번역원이 시상하는 제7회 핚국문학번역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이에 앞서 최교수는 1985년 영국 런던에서 혜경궁 홍씨의

핚중록을 영역핚 „Memoirs of a Korean Queen‟(핚중록)을 출간핚 바 있다.

출처는  http://www.hawaii.edu/korea/pages/announce/inha07/papers/mohan.pdf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72 [한국사] 근데 사실상 고조선의 직계 후예는 부여 고구려 백제… (10) 베재어 06-19 3228
471 [한국사] 고구려 (10) 동방불패 01-31 3204
470 [한국사] 대명일통지로 본 고구려 각 성의 위치 (3) 감방친구 04-22 3197
469 [한국사] 고구려 지도 (13) 도수류 02-28 3184
468 [기타] 고구려의 동맹이던 돌궐, 어떻게 소아시아까지 흘러… 관심병자 08-17 3170
467 [기타] 고구려에서 ‘기자신’을 섬겼다구? (4) 두부국 07-20 3168
466 [한국사] 고구려의 도읍 변천 (19) 감방친구 12-04 3156
465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56
464 [기타] 고구려의 축성기술 (11) 인류제국 10-25 3151
463 [기타] 고구려 전성기 영역 (8) 인류제국 12-12 3118
462 [한국사] 고구려 벽화 닮은 여인들의 행렬도 日돗토리현서 발… (1) 두부국 12-17 3100
461 [한국사] 중국인의 고구려사에 대한 생각, 여러분은 어떻게 생… (24) leehisto 05-28 3094
460 [기타] 고구려-페르시아 성곽 유사 (3) 두부국 03-12 3092
459 [기타] 한 조선족(중국인)의 고구려사 인식 (1) 두부국 09-10 3079
458 [한국사] 고구려는 독자적 역사”...중국이 동북공정을 거둬들… (7) 섬나라호빗 11-06 3076
457 [한국사] 시각화하여 본 4세기~7세기 초, 고구려와 거란, 북위 … (11) 감방친구 05-28 3075
456 [한국사] 당나라가 생각하는 고구려, 백제의 수도 위치 ? 구당… (4) 도배시러 10-07 3074
455 [북한] 北 황해북도에서 대형 고구려 고분군 발굴 (2) 올만재가입 12-10 3064
454 [기타] 고구려의 국호 (12) 관심병자 06-08 3034
453 [기타] 고구려를 건국한 추모왕 (1) 관심병자 04-29 3013
452 [기타]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고구려를 연구한 … 고이왕 01-27 3002
451 [기타] 세계를 정복한 칭기즈 칸은 고구려-발해인이다! (9) 관심병자 06-26 2995
450 [기타]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천년 제국 고구려’ 皇… 두부국 06-14 2990
449 [한국사] 고구려 평양의 진짜 위치 연구 (10) 인류제국 05-01 2989
448 [기타] 고구려는 천만명을 아우러는 동북아 최강대국. (11) 두부국 06-29 2964
447 [일본] 한국 희귀 성씨 즙씨(일본계)가 어쩌면 고구려 왕손… (3) 하플로그룹 08-16 2959
446 [기타] 고구려 국내성 천도 시기 산상왕·신대왕때가 유력? 두부국 11-11 2939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