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11-11 06:12
[기타] 고구려 국내성 천도 시기 산상왕·신대왕때가 유력?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2,937  

일제시기 환도산성 전경
[고구려사 명장면-6] 고구려 건국 시조 주몽왕이 처음 도읍한 곳은 졸본(卒本)이다. 졸본의 위치는 오늘날 중국 요령성 환인시(桓仁市) 일대로 보는데 거의 이견이 없다. <광개토왕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전한다. "시조 추모왕이 북부여에서 남하하여 비류곡(沸流谷)의 홀본(忽本) 서쪽에 있는 산위에 성(城)을 쌓고 도읍을 세웠다." 여기서 서쪽 산위의 성이 지금 환인시 오녀산성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 일대에는 고구려 초기 적석총이 많이 있어, 첫 도읍지였음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그후 고구려는 국내성(國內城)으로 도읍을 옮겼다. 국내성은 지금 중국 길림성 집안시 일대이다. 집안에 가보면 국내성과 산성자산성을 비롯하여 7000여 기의 고구려시대 고분이 온 도시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어 가장 오랫동안 도읍지였던 역사의 내력을 실감나게 전해주고 있다. 그러면 언제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을까?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유리왕 22년(기원 45)에 천도했다는 이런 내용을 전하고 있다.

 유리왕 21년에 제사에 희생물로 쓸 돼지가 도망치자, 담당 관리가 이를 뒤쫓아 국내 위나암에 이르러 잡았다. 그가 돌아와 유리왕에게 보고하기를 "국내 위나암은 산이 험하고 물이 깊으며, 땅이 오곡을 기르기에 알맞고, 사슴과 물고기가 많이 납니다.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면 백성에게 크게 이롭고 병란도 면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이에 유리왕이 직접 국내 지역을 시찰했고, 이듬해에 수도를 국내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이 이야기는 아마도 국내성 천도를 합리화하기 위해 꾸민 듯한 느낌이 든다. 왜냐하면 제사에 쓸 희생물인 돼지를 등장시켜 마치 국내 천도가 하늘의 계시라는 점을 은근히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건국 초기의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도읍을 옮기기란 그리 쉽지 않았을 것이기에, 이렇게 무언가 그럴싸한 천도의 이유를 밝히는 게 당연해 보인다. 그럼 위나암성은 어디일까? 지금 집안시 일대에서 찾는다면 산성인 산성자산성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는 다음 기록과 그리 맞지 않는다.

 대무신왕 11년(서기 28)에 한나라의 요동태수가 쳐들어 오자 대무신왕은 위나암성으로 들어가 수십 일 동안 굳게 지켰으나, 점차 적의 포위에 군사들이 지쳐갔다. 이때 신하 을두지가 꾀를 내어 말하기를 "한나라 군사들이 우리 성안에 샘이 없다고 생각해 우리를 포위하고 궁핍해지기를 기다리고 있으니, 연못의 잉어를 잡아 수초에 싸서 술과 함께 보내는게 좋겠습니다" 하였다. 그렇게 하자, 한나라 장수는 성 안에 물이 있어 금방 함락시킬 수 없다고 생각해 군사를 이끌고 돌아갔다.

 위 이야기 정황을 보면 성안에 샘이 있는데, 이를 한나라 군이 잘 알 수 없는 상황이어야 한다. 그런데 집안시의 산성자산성은 성밖에서 성안이 훤히 다 들여다보이는 구조라서, 위 이야기가 성립할 수 없다. 더구나 <삼국사기>에는 산상왕이 198년에 환도성을 쌓고, 209년에 환도로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 환도성이 바로 산성자산성이 된다. 즉 위나암성과 환도성이 같은 곳이 되어 서로 모순이 생긴다. 오히려 위 이야기의 정황과 잘 맞는 곳은 바로 졸본의 오녀산성이다. 그렇다면 유리왕 때 국내성으로 천도했다는 <삼국사기> 기록을 그대로 믿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게다가 2000년대 들어 중국에서 집안시 국내성을 발굴 조사해보니 3세기 초 이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고고학적으로도 유리왕대 천도는 부정된 셈이다.

 그럼 언제 국내성으로 천도했을까? 여기서부터 여러 견해가 제기되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먼저 태조대왕 때라는 견해가 있다. 모본왕과 태조왕 사이에 왕계가 단절되는 면이 있는 등 태조왕이 시조적 모습을 갖고 있으니 이때 국내성이 졸본을 대신하여 도읍지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다. 여러 정황으로는 가장 그럴 듯하지만, 앞서 고고학적 조사와는 맞지 않는다.

 그래서 209년에 산상왕이 환도성을 쌓고 도읍을 옮겼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바로 국내성 천도를 가르킨다는 주장도 나왔다. 더욱이 중국 역사책 <삼국지>에는 산상왕이 "새로 나라를 만들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산상왕 때 천도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도 근사하게 맞는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산상왕의 아버지인 신대왕 때, 그 다음 고국천왕 때에 졸본에 가서 시조묘에 제사지냈다는 기록이 명확하다. 이미 졸본이 도읍이 아니라는 이야기로 산상왕 이전에 국내성으로 천도해야 앞뒤가 맞는다. 그래서 최근에는 신대왕 때 국내로 천도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직 논거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새롭게 검토해볼 만한 견해이다.

 이렇게 언제 국내성으로 천도했는지조차 그리 쉽게 단정할 수 없는 정도이다. <삼국사기> 기록은 많은 부분이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지만, 어떤 부분은 정치적인 목적이나 정통성을 위해 변개된 기록도 함께 담겨 있다. 커다란 정치적 사건일 수밖에 없는 국내성 천도 기록이 바로 그런 사례의 하나이다. 역사의 진실을 찾는 작업은 바로 그런 변개를 걷어내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3834346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72 [한국사] 근데 사실상 고조선의 직계 후예는 부여 고구려 백제… (10) 베재어 06-19 3220
471 [한국사] 고구려 (10) 동방불패 01-31 3202
470 [한국사] 대명일통지로 본 고구려 각 성의 위치 (3) 감방친구 04-22 3195
469 [한국사] 고구려 지도 (13) 도수류 02-28 3181
468 [기타] 고구려에서 ‘기자신’을 섬겼다구? (4) 두부국 07-20 3168
467 [기타] 고구려의 동맹이던 돌궐, 어떻게 소아시아까지 흘러… 관심병자 08-17 3165
466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48
465 [한국사] 고구려의 도읍 변천 (19) 감방친구 12-04 3147
464 [기타] 고구려의 축성기술 (11) 인류제국 10-25 3147
463 [기타] 고구려 전성기 영역 (8) 인류제국 12-12 3117
462 [한국사] 고구려 벽화 닮은 여인들의 행렬도 日돗토리현서 발… (1) 두부국 12-17 3099
461 [기타] 고구려-페르시아 성곽 유사 (3) 두부국 03-12 3092
460 [한국사] 중국인의 고구려사에 대한 생각, 여러분은 어떻게 생… (24) leehisto 05-28 3090
459 [기타] 한 조선족(중국인)의 고구려사 인식 (1) 두부국 09-10 3079
458 [한국사] 고구려는 독자적 역사”...중국이 동북공정을 거둬들… (7) 섬나라호빗 11-06 3076
457 [한국사] 당나라가 생각하는 고구려, 백제의 수도 위치 ? 구당… (4) 도배시러 10-07 3064
456 [한국사] 시각화하여 본 4세기~7세기 초, 고구려와 거란, 북위 … (11) 감방친구 05-28 3061
455 [북한] 北 황해북도에서 대형 고구려 고분군 발굴 (2) 올만재가입 12-10 3059
454 [기타] 고구려의 국호 (12) 관심병자 06-08 3033
453 [기타] 고구려를 건국한 추모왕 (1) 관심병자 04-29 3007
452 [기타]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고구려를 연구한 … 고이왕 01-27 3001
451 [기타]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천년 제국 고구려’ 皇… 두부국 06-14 2990
450 [기타] 세계를 정복한 칭기즈 칸은 고구려-발해인이다! (9) 관심병자 06-26 2989
449 [한국사] 고구려 평양의 진짜 위치 연구 (10) 인류제국 05-01 2988
448 [기타] 고구려는 천만명을 아우러는 동북아 최강대국. (11) 두부국 06-29 2964
447 [일본] 한국 희귀 성씨 즙씨(일본계)가 어쩌면 고구려 왕손… (3) 하플로그룹 08-16 2943
446 [기타] 고구려 국내성 천도 시기 산상왕·신대왕때가 유력? 두부국 11-11 293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