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7-20 14:42
[한국사] 신채호가 본 압록강의 위치
 글쓴이 : 솔루나
조회 : 2,137  

...... 예를 들자면, 해모수海募漱와 유화왕후柳化王后가 만난 압록강이 어디인가? 지금의 압록강이라 하면 당시 부여의 서울인 합이빈哈爾濱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다른 곳이라면 달리 또 압록이 없어 그 의문을 깨뜨리지 못하였더니, 첫 걸음에 광개토호태왕廣開土好太王의 비에 지금의 압록강을 아리수阿利水라 하였음을 보고 압록의 이름이 아리阿利에서 나왔음을 깨달았다.

 두 번째로 요사遼史에 '요흥종遼興宗이 압자하鴨子河를 혼돈강混同江이라 이름을 고쳤다'고 한 것을 보고 '압자鴨子가 곧 아리인즉, 혼돈강 곧 송화강松花江이 고대의 북압록강北鴨綠江인가?' 하는 가설을 얻었고, 다음에 "동사강목東史綱目" '고이考異'에, "삼국유사"의 '요하遼河, 일명 압록鴨綠'과 주희의 '여진이 일어나 압록강에 웅거하였다'고 한 것을 들어 '세 압록鴨綠이 있다'고 하였음을 보고, 송화강이 고대에 한 압록강이었음을 알게 된 것이다. 따라서 해모수 부부가 만난 압록강이 곧 송화강임을 굳혔다. ......

신채호,조선상고사 중

현재 학설과 이게 일치하는지 궁금하네요.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는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배시러 17-07-20 14:45
   
유화는 하백의 딸인데... 하백은 황하강의 수신이라서... 어려워요.
현조 17-07-20 15:12
   
명사(明史) 지리지를 인용해서 송화강(松花江)의 위치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첫째, 현 감숙성(甘肅省) 서남부의 평량(平凉)에서 북쪽으로 나아가면, 요해(遼海)이라고 불리우는 요하(遼河)의 상원지들이 있고, 그 곳을 청수하(靑水河)이라고 불리웁니다.
둘째, 현재 금수하(金水河)이라고 하는 청수하(靑水河)가 흐르는 녕하성(寧夏省) 지대에서 다시 북쪽으로 나아가면 내몽고 중부의 하투(河套 : 오르도스)의 서북쪽으로 흐르는 황하(黃河)가 있는데, 송화강(松花江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51226&sca=&sfl=mb_id%2C1&stx=trypower999

-

현재 내몽고 중부의 하투(河套 : 오르도스)는 본디 만주(滿洲)이라고 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곳에 흐르는 황하(黃河) 지대는 요수(遼水) ' 요하(遼河) ' 요해(遼海)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압록강(鴨綠江)이기도 하며, 오원(五原) 및 구원(九原)에 속하는 대동(大同)이 있어서 대동강(大同江)이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물론 지리적 구조에 따라서 명백히 송화강(松花江)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지요. -^^-

-

당연히 하백(河伯)과 깊이 관련되는 황하(黃河) 이라면, 현 감숙성(甘肅省) 서북부의 하서회랑(河西回廊)부터 현 녕하성(寧夏省)의 청수하(靑水河 : 金水河)와 합하는 황하(黃河) 물줄기에 이어서 현 내몽고 중부의 하투(河套) 지대까지 이르는 곳을 가리킨다고 생각합니다.
밥밥c 17-07-21 01:10
   
첫째, 현 감숙성(甘肅省) 서남부의 평량(平凉)에서 북쪽으로 나아가면, 요해(遼海)이라고 불리우는 요하(遼河)의 상원지들이 있고, 그 곳을 청수하(靑水河)이라고 불리웁니다.

 '청수하(靑水河)'라는 강을 보면 감숙성에서 부터 산동성까지 입니다.

 즉, 황하의 다른이름일 가능성이 아주 높죠.




청하 최씨(淸河 崔氏)

청하 최씨(淸河 崔氏)는 주나라 건국공신 강태공의 자손 중 하나가 산동성 청하 최읍(崔邑)에 살면서 그 땅 이름에서 씨를 따다 씀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이후 본관을 청하로 하였다. 중국의 강씨(姜氏)에서 고씨, 노씨, 여씨, 구씨, 허씨 등 통합 247여개의 수많은 성씨가 파생되었으며, 최씨는 그 가운데 강태공의 직계 이다. 인물로는 남제서에 최승호(崔僧護) · 최조사(崔祖思) · 최문중(崔文仲)이 있었고, 후한 때 최염(崔琰), 북위 때 최호(崔浩)가 있었다.


 여기서,

청하 최씨(淸河 崔氏)는 주나라 건국공신 강태공의 자손 중 하나가 산동성 청하 최읍(崔邑)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D%95%98_%EC%B5%9C%EC%94%A8
 
 
Total 4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30 [한국사] 나무위키 정보가 편파적이고 엉터리라고 보는 이유 (9) 징기스 07-27 1458
329 [세계사] 영어권 역사백가사전에서 소개된 한국역사 (7) 정욱 07-26 1497
328 [한국사] 솔직히 환국 대륙설 이런 거 믿는 이유가 자존심 때… (59) 러브슈터 07-26 1931
327 [일본] 한자공부, 일본서기 임나의 위치 (10) 도배시러 07-26 2283
326 [한국사] 나무위키보면 이덕일씨에 대한 글이 많이 쓰여있던… (13) Marauder 07-25 1404
325 [한국사] 북경에 살던 낙랑사람 한현도 (4) 마누시아 07-25 2214
324 [한국사] 그들은 왜 고조선 역사를 없앴을까 (6) 인류제국 07-24 2247
323 [한국사] 낙랑군이 평양에서 요동으로 이사했다고 (3) 마누시아 07-21 966
322 [한국사] 신채호가 본 압록강의 위치 (3) 솔루나 07-20 2138
321 [한국사] 초록불 스스로 낙랑이 중국에 있었다고 증명했네요 (5) 징기스 07-18 1731
320 [한국사] 놀고 먹으면서 국민혈세 수백억 챙기는 비결 (2) 징기스 07-17 1508
319 [세계사] 100년 단위 역사지도를 완성했습니다. (9) 옐로우황 07-16 1647
318 [한국사] 현재 강단사학계 관점으로 보는 왕험성(王險城), 수… (1) 현조 07-13 764
317 [한국사] 기주협우갈석도로 본 요수의 위치 (2) 마누시아 07-14 1475
316 [한국사] 식민사관과 만선사관 그리고 나당전쟁과 중일역사학… (3) 고이왕 07-12 1539
315 [기타] 나무위키 역갤&부흥 아지터 인가요? (11) 마그리트 07-12 1210
314 [기타] 진나라 사람이 일본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짱개 클… (15) 인류제국 07-11 1850
313 [한국사] 심재훈의 요동사 (13) 감방친구 07-11 2302
312 [기타] 中 동북공정 재시도, “광개토대왕비는 중화민족 비… (9) 샤를마뉴 07-10 2410
311 [한국사] 삼국지 위지 동이전 (17) 감방친구 07-10 2704
310 [한국사] 고대의 ‘요수’는 ‘요하’가 아니고 고대의 ‘요… (2) 마누시아 07-09 2002
309 [한국사] 강단사학계의 문제?? (7) 으으음 07-08 1143
308 [한국사] 《한겨레21》의 독립운동가 후손 모독에 대한 성명서 (4) 마누시아 07-07 1713
307 [한국사] 31세기에 유사역사학(환빠)가 존재했다면 이런 주장… (23) 고이왕 07-06 1325
306 [한국사] 하백의 신부? 역사속의 하백은? (4) 마누시아 07-04 1822
305 [한국사]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이란 유령 (4) 마누시아 07-04 1641
304 [한국사] 대박! 부흥카페의 덤 N 더머 ㅋㅋㅋㅋ (17) 징기스 07-02 215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