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10-01 13:57
[한국사] 영주와 요동의 지리정보가 뒤섞인 시기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832  

1. 북위
2. 북제~수
3. 당(7~8세기 거란의 활동)
4. 거란(10~11세기)

특히 거란이 성장하면서 지리 정보가 크게 오류에 빠졌다

중국 사서에서 지리정보를 기술하는 방식은
이전 시대 사서의 기술내용을 그대로 받아 적고 거기에 그 사서 작성 당시 근간의 지리정보를 덧대는 방식이다
경우에 따라서 자국에 불리한 내용은 삭제한다

거란은
그 처음에는 상경도와 남경도가 있었다

그 후에 남경도 지역에 동단국이 옮겨온다

그 후에 하북을 공략하면서 그 땅이 서쪽으로 뻗어갔고

거란 성종이 옛 발해지역을 재공략하여 고려가 먼저 차지한 요심 지역에서 고려를 밀어내고
천산산맥을 경계로 동경도를 확장,
이 와중에 하북에 남경도를 새롭게 옮기고

서로는 난하와 동으로는 의무려산을 경계로 하여
중경도를 신설한다

요사 지리지의 지리상은
11세기 후반의 지리상이다

그러니까
애초에 거란의 중경도와 동경도는
남경도였다

이런 이유로
요사 지리지에는 영주가 두 곳으로
ㅡ남경도의 영주 인해군(현 하북성 창려현)
ㅡ중경도의 흥중부(현 요녕성 조양시)
가 중복돼 기재돼 있는 것이다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74343&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270%EB%A6%AC&sop=or

영주의 어양 교치와 안동도호부의 평주 교치

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유성군, 즉 영주가 어양으로 교치됐던 적이 있다
구당서 지리지 기준
705년과 720년

또한 안동도호부가
북평군이 있는 평주 지역으로 옮겨 가 있었던 시기가 있다
714년 ~ 743년

북평군 ~ 어양군 300 리
유성군 ~ 안동도호부 270리

이 유성군(영주) ~ 안동도호부 270리를 후대 사서인 무경총요가 그대로 받는다
"東南至安東都護府二百七十里,號平壤城"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73832&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270%EB%A6%AC&sop=or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배시러 18-10-01 14:17
   
한서지리지 유성의 위치는 창려(교려)의 서쪽
서부도위 유성, 동부도위 창려

후한때에 요동군이 탁군 지역으로 교치. 현도군 교치

북위의 창려와 유성은 노합하[난하의 동북 지류]를 경계로 존재. - 수경주

이후에 언급되는 창려와 유성의 위치는 오락가락...  즉 후대에는 위치를 상실

수나라 이후에 요서의 위치에 대한 혼돈... 영주 남쪽에 유주가 있다. 밀운현 북쪽에 유성이 있다....
거란이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지리정보의 혼란이 가중. => 교정없이 후대로 전달

.
감방친구 18-10-01 14:22
   
고려와 발해의 서계까지는 맞아떨어져서
압록ㅡ현 요하
요수ㅡ대릉하
로 수렴되는데

수당 침략기 영주와 가탐 당시 영주는
각각 북경 북쪽, 노룡/창려 지역에 있었으니

이 빌어먹을 근 2천 리 간극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수습을 하냐 이 말이다

씨팔 그러면 고구려 안시성, 요동성이 난하 일대에 있었다는 말이냐?

내가 그러는 게 아니라 사서들이 그런다
도배시러 18-10-01 14:27
   
2천리 간극은 당 태종의 발언
유주 이북[영주 유성]에서 요수까지 2천리이다. 이 사이에는 당나라의 주현이 없다.
 
 
Total 5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0 [한국사] 동시대(서기 5~6세기 중심) 사서에서 기술한 고구려 … 감방친구 11-23 1807
429 [한국사] 5세기, 바다를 제패하고 북위를 압도한 고구려 감방친구 11-23 1630
428 [한국사] 요해제군사(遼海諸軍事)에서의 요해(遼海) 고찰 (3) 감방친구 11-23 2787
427 [한국사] 고구려왕이 중원계 왕조로부터 받은 관작 감방친구 11-23 1818
426 [한국사] 현수(玄水)와 로수(盧水), 그리고 유성현(柳城縣) 감방친구 11-20 2407
425 [한국사] 여전히 계속되는 도배시러님의 도둑질 (11) 감방친구 11-20 3431
424 [한국사]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추적 1/3차 정리 감방친구 11-17 1704
423 [한국사] 수(隋) 기주(冀州) 인구상 (3) 감방친구 11-15 1809
422 [한국사] 임삭궁(臨朔宮)과 임유궁(臨渝宮) 감방친구 11-13 2146
421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과 평주(북평군) 연혁 2 (18) 감방친구 11-04 2091
420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과 평주(북평군) 연혁 1 감방친구 11-04 1382
419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4 감방친구 11-02 1842
418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3 (1) 감방친구 10-28 1660
417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2 (1) 감방친구 10-27 1620
416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1 (2) 감방친구 10-27 1540
415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과 고구려 서계 (1) 감방친구 10-23 2934
414 [한국사] 위운기의 거란정벌과 유성의 고구려국제시장 (6) 감방친구 10-18 2400
413 [한국사] 수나라 요서군의 실상 (6) 감방친구 10-17 1806
412 [한국사] 학계통설의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3) 감방친구 10-16 2396
411 [한국사] 도배시러님께 (37) 감방친구 10-08 2458
410 [한국사] 수/당 고구려 침략기 영주 추적의 서광 (25) 감방친구 10-04 4496
409 [한국사] 고구려 침략기 수/당 영주 추적의 결과적 경과 (6) 감방친구 10-02 2819
408 [한국사] 영주와 요동의 지리정보가 뒤섞인 시기 (3) 감방친구 10-01 1833
407 [한국사] 고려와 고조선의 만남 감방친구 09-28 2713
406 [한국사] 역사정신에 병이 들면 뿌리까지 썩는 법 (5) 감방친구 09-25 2179
405 [한국사] 천진시 정해현과 고대의 '요동' (42) 감방친구 09-23 3386
404 [한국사] 중원과 한국 청동기에 대한 의문점 (31) 감방친구 08-25 327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