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11-17 14:41
[한국사]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이 얼마전까지 매국노들에게 탄압받았던 이야기
 글쓴이 : 스리랑
조회 : 1,889  

독립운동 편찬사업으로 탄압받았던 이야기
 
해방 후에 독립운동가들이 이 땅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한 일이 두 가지 있었다. 하나는 나라를 위해서 목숨 바친 선열들의 추도식을 행하는 일이었다. 특히 무명용사들의 추도식을 행하는 것이야말로 살아남은 자들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또 하나는 독립운동사 편찬사업이었다.
 
 
독립운동사 편찬사업이라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독립운동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의 공적을 기리고자 한 것이다. 둘째는 친일반역자에 대한 의법조치이다. 법에 의해서 그 사람들을 처단하고 징계하는, 이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독립운동사 편찬사업이었다. 그래서 김승학(金承學, 1881~1965)선생께서 해방 후에 독립운동사에 착수한 것은 이러한 의지도 있었지만 또 하나는 당시 백암 박은식 선생님과의 약속이 있었다.
 
 
백암 박은식 선생과 임정에 있을 때, 한국통사와 한국독립혈서를 쓰면서 약속했던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한국독립사라는 저서에 그대로 담겨 있는데 그 부분을 보면, “내 일찍 조국광복을 위한 운동 대열에 참여하여 상해에서 독립신문을 주재하던 때에 백암 박은식 선생이 저술한 〈한국통사〉라는 나라 잃은 눈물의 기록과 〈한국독립지혈서〉라는 나라를 찾으려는 피의 기록을 간행할 때 그 사료 모집에 미력이나마 협조하면서 후에는 〈한국독립사〉라는 나라를 찾은 웃음의 역사를 편찬하고자 굳은 맹약을 하였다.
 
 
그로부터 여러 해 그 참담한 투쟁을 통하여 사료가 작성되는 대로 당시 내몽골 포두에 계셨던 조병준 선생께 보관시키고 불행히 왜경에게 체포된 후 팔다리가 부서지는 수십 차례의 악형은 주로 이 사료 수색 때문이었다. 출옥 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 모처에 은신하면서 자료를 수합하였다가 일제 항복 후 이 사료를 40여년간 내 피땀의 결정으로 삼아 귀국하였다.” 이것이 당시 독립운동사를 기록한 이유였다.
 
 
그런데 해방 후 46년부터 49년까지 독립운동사 복간사업을 하였는데 1949년 독립신문이 문을 닫게 되었다. 그러던 중 1953년 5월 피난지 부산의 초량동에 겨우〈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라는 것을 만들고 〈애국동지원호회〉라는 독립운동단체 산하에서 한국독립운동사를 만들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때부터 이승만 정권의 집요한 방해공작으로 사무실에서 쫓겨나기를 여러 번 이었다. 결국은 이승만 정권 하에서는 독립운동사가 발간되지 못했다.
 
 
김승학선생께서는 마지막까지 독립운동사 집필에 힘쓰다가 1964년 12월 돌아가셨다. 그후 김승학선생의 아들 김대업선생께서 1965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한국독립사를 간행하게 되었다. 해방 후 독립운동사가 나타나는 것을 집요하게 반대했던 세력이 바로 친일세력이었다. 그런 까닭에 한국에서의 독립운동사는 198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학계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렇지만 1980년은 독립운동의 지도급에 있던 분들은 이미 다 돌아가신 후였다. 그래서 우리의 독립운동사는 일제가 남긴 재판기록이나 일제자료를 가지고 역으로 독립운동사를 복원하고 있는 어처구니가 없는 상황이다.
 
 
우리는 나라는 찾았으나 역사는 찾지 못한 민족이다. 단재 선생은 일찍이 역사로 망하면 100년을 망한다,는 말씀을 하였다. 해방된 지 70년이 되었지만, 해방 후 친일세력의 득세로 이 땅에서는 도둑이 오히려 매를 드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 박은식(朴殷植 1859~1925) 호는 백암(白巖)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
1915년 3편 114장으로 구성된『 한국통사韓國痛史』를 간행했다. 1864년부터 1911년까지의 한국근대사를 일반근대사 일제침략사, 독립운동사의 세측면에서 서술하고 있는『 한국통사韓國痛史』는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 편찬 동기를 한국통사로 지적할 만큼 민족적 자긍심과 독립투쟁정신을 크게 고취시켰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7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한국사] 조선시대말 군사력이 그렇게 형편없었나요? (16) 시골가생 11-21 5316
70 [한국사] 초록불씨 왈,"상고사대토론회서 이덕일 복기대가 발… (3) 한량012 11-20 3180
69 [한국사] 후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국정교과서(교육은 百… (5) 스리랑 11-20 1663
68 [한국사] 한자 읽는 법 질문. (12) 해달 11-17 2413
67 [한국사]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이 얼마전까지 매국노들에게 … 스리랑 11-17 1890
66 [한국사] 제헌헌법과 진보적 민주주의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 (1) 해달 11-17 2331
65 [한국사] 국정교과서 한방으로.. (2) 흑화한다 11-16 1844
64 [한국사] 얼마나 더 그들에게 세뇌당해야 하나?? (2) 스리랑 11-15 2187
63 [한국사] 한국인이 백인이니 프리기아니 하는 잡설때문에 가… (11) 한량011 11-15 3386
62 [한국사] 부례구야국의 동진·설화·관모와 부여의 기원 (6부) (5) 비좀와라 11-14 2567
61 [한국사] 부여의 출자에 대한 <삼국지 한전>분석 (5부) 비좀와라 11-14 1937
60 [한국사] 갈석의 위치로 본 부여는 산서성 북부 (4부) 비좀와라 11-14 2162
59 [한국사] 사서 분석을 통한 고죽과 부여의 위치 비정 (3부) 비좀와라 11-14 1805
58 [한국사] 부여 관련사서 및 언어적 관련성 검토 (2부) 비좀와라 11-14 1533
57 [한국사] 부여의 기원과 도읍지 비정에 관한 연구 (1부) 비좀와라 11-14 2080
56 [한국사] 한반도 민족의 백인 학설 ?? (17) 비좀와라 11-14 5764
55 [한국사]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역사가 올바로 자리잡지 못한 … (1) 스리랑 11-14 2054
54 [한국사] 국회에서 한국 상고사 대토론회가 벌어지네요. (11) 카노 11-13 3456
53 [한국사] 타자의 눈으로 본 한국사 (4) 스리랑 11-13 3293
52 [한국사] 육군훈련소 04년도에 입소해서 신교대 교육받을때 썰… (4) 패닉호랭이 11-13 2863
51 [한국사] 고명하신 주류사학님들 국정교과서 고대사부분은 … 한량011 11-13 1481
50 [한국사] 긍정의 역사관과 환단고기 (5) 재래식된장 11-13 1861
49 [한국사] EBS 교육방송에서 나온 한민족과 말갈의 계통도 (7) 카노 11-12 2608
48 [한국사] 낙랑군이 평양에 있으면서 선진문물의 창구라고? (6) 카노 11-12 2582
47 [한국사] 역사스페셜 대가야 백두대간을 넘다 호랭이해 11-12 1448
46 [한국사] 민족주의에 대한 좋은 정보입니다.(이화여대 강철구… (2) 스리랑 11-12 1749
45 [한국사] 조선 개국공신 퉁두란 그는 누구인가? (2) 비좀와라 11-11 4034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