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03-13 00:28
[한국사] 당나라 두목지(杜牧之)의 시 추석(秋夕) - 국역과 해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72  

#추석 명칭 연구에 붙임



__________


■ 원문

秋夕

두목(杜牧, 당, 803~852)

銀燭秋光冷畫屏(은촉추광냉화병)
輕羅小扇撲流螢(경라소선복유형)
天階夜色涼如水(천계야색량여수)
坐看牽牛織女星(좌간견우직녀성)


■ 국역

銀燭秋光冷畫屏

은빛 촛불과 같은 가을 달빛이 화병에 서늘하게 어리우는데

輕羅小扇撲流螢

작은 부채를 살짝 펼쳐 부치니 반딧불이 흐르 듯 떠다니네

天階夜色涼如水

하늘의 섬돌에 물든 밤빛이 물과 같이 맑고 깨끗하구나

坐看牽牛織女星

앉아서 견우직녀성을 바라보네


■ 해설

① 秋夕은 '음력 8월 15일'이나 '가을 저녁'이라는 뜻이 아니라 '가을 밤'이라는 뜻입니다. 夕은 반달을 상형한 글자로, 본래 밤을 뜻하고 가리켰습니다. 

② 두목지의 이 시는 秋夕(추석)이라는 명칭 외에 七夕(칠석)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습니다. 고대 한시는 보통 제목이 따로 없습니다. 

③ 이 시가 七夕(칠석)이라는 명칭으로 불린 이유는 이 시가 '칠석(음력 7월 7일)'을 노래한 시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는 음력 8월이 아니라 음력 7월, 구체적으로 견우성과 직녀성이 만나는 음력 7월 7일, 즉 七夕(칠석)을 노래한 시입니다.

④ 天階(천계)는 문헌에 따라 瑤階(요계)로 돼 있습니다. 瑤(요)는 玉(옥)을 뜻합니다. 따라서 천계보다는 요계가 더 표현이 자연스럽습니다.

⑤ 坐看(좌간)은 문헌에 따라 臥看(와간)으로 돼 있습니다. 시간적 배경이나 쓸쓸하고 아름다운 정취로 볼 때에 좌간(앉아서 바라보다)보다는 와간(누워서 올려다보다)이 더 자연스럽게 어울립니다.




________________

이상 국역 및 해설 : 무쿠리(mvkuri)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21-03-13 18:37
   
아주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런 것들이라도 조금씩 하며 머리를 풀어야 해서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756
18865 [세계사] 주몽이 아니라 주몽 (6) 잡은물고기 03-21 1168
18864 [기타] 전통 민속놀이 "쌔쌔쌔" 한국, 인도, 세네갈(아프리… (6) 조지아나 03-21 1702
18863 [한국사] 주해도편 슬랩스틱 코미디 (19) 감방친구 03-21 1043
18862 [한국사] 세계화 시대는 끝이 났고, 앞으로 민족주의가 도래한… (3) 보리스진 03-20 1051
18861 [한국사] 이즈모(出雲) 어원 분석: 구름(雲)은 가라(韓)인가. (5) 보리스진 03-20 1231
18860 [기타] 중국 김치, 한복 원조 주장, 해당지역은 과거 한국의… 조지아나 03-20 1769
18859 [다문화] 한국의 저출산은 공산주의와 자유주의 대립으로 생… (12) 보리스진 03-19 1573
18858 [한국사] 민족은 문화와 언어의 동질성을 기준으로 나누는게 … (2) 보리스진 03-19 1003
18857 [한국사] 한국인은 북방계 남방계가 섞인게 아니에요. (9) 보리스진 03-19 1836
18856 [기타] 한국 외대 인도연구소 인문학 강좌 개설 (온라인 무… (5) 조지아나 03-18 1376
18855 [세계사] 헝가리 쿠릴타이 전승행사에 참가한 한국 (1) mymiky 03-18 1727
18854 [세계사] 졸본 고찰 (1) 스켈레톤v 03-17 1396
18853 [중국] 중국의 신 홍위병들ㅡ 소분홍: 분노청년 분석한 책 … (1) mymiky 03-16 1417
18852 [한국사] 발해 국호 진국(震國)과 주역(周易)과의 연관성 (8) 감방친구 03-16 1718
18851 [한국사] 나는 한국사람이다 (6) 방랑노Zㅐ 03-15 1993
18850 [기타] 인도 타밀어와 한국어가 똑같다. 분야별 어휘 심층… (5) 조지아나 03-15 1804
18849 [기타] [무니티비] 고구려어 신라어 타밀어 언어비교(2003… (1) 조지아나 03-15 1272
18848 [한국사] 발해 국호에 대한 이해 (3) 감방친구 03-15 1498
18847 [기타] 한국 전통 "마당놀이" & 인도" 발리우드 영화" 유사성 (2) 조지아나 03-15 988
18846 [한국사] 발해와 금나라 (4) 하시바 03-14 1411
18845 [기타] 고구려 연개소문 가문과 온달 결혼의 이상한 관계 관심병자 03-14 1257
18844 [기타] 한국의 전통민요를 연상케 하는 인도 전통 노래 공… (7) 조지아나 03-14 1274
18843 [한국사] 발해와 금나라의 관계 (4) 감방친구 03-13 1733
18842 [한국사] 발해는 금나라와 연결 되있다 보는데. (13) 축동 03-13 1404
18841 [한국사] 광해군 폭군설은 잘못되었군요~ (5) 북창 03-13 1307
18840 [한국사] 중국 중추절의 기원은 신라 (5) 국산아몬드 03-13 1420
18839 [한국사] 당나라 두목지(杜牧之)의 시 추석(秋夕) - 국역과 해… (2) 감방친구 03-13 1273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