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6-04 22:05
[북한] 북한은 광복을 '쟁취'했다고 하는 이유가.? 03편.
 글쓴이 : 돌통
조회 : 937  

***  전민항쟁 준비단계


 

**  항일유격구와 항일유격대


 

 

그렇다면 만주지역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이 본격적으로 전민항쟁을 준비했던 과정은 어떠했을까?

 

“20세기 우리역사”, “한국근현대민족해방운동사” 등 현재까지 한국에서 발간된 역사책들에 토대하여 그 과정을 살펴보겠다.

 

우선 전민항쟁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상비무력 즉, 군대부터 꾸려야 했다.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들은 1931년 12월 연길현 명월구 (현 명월진, 明月?)에서 조선독립과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군대를 꾸릴 것을 결정했다. (이재화, “한국근현대민족해방운동사항일무장투쟁사편”, 백산서당, 94쪽.)

 

회의에서는 원산총파업, 광주학생운동 등 반일투쟁이 세차게 일어나고 있는 정세에 맞춰 만주지역에서는 유격군(독립군) 및 유격구(해방구)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1932년~1933년 당시에는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세우면서 만주지역의 통치권력이 일종의 공백기를 겪던 시기였다.

 

1931년 10월 중국공산당도 ‘만주 병사공작에 관한 지시’를 내려 만주지역 반일대중을 중심으로 유격대를 창건하고 유격구를 개척할 것을 지시한 바 있었다. (강만길, “20세기 우리역사”, 창작과비평사, 1999,136~146쪽.)

 

따라서 만주지역 조선인들은 중국인들과 함께 연합하여 유격구와 유격대를 꾸렸다.

 

1932년 4월 안도현에서 김일성 대장(훗날의 김일성 주석)이 주도하는 반일인민유격대가 창건되었다. (이정식, 스칼라피노, “한국공산주의운동사 Ⅰ”, 돌베개, 1986, 278쪽.)

 

안도현에서 반일인민유격대가 꾸려졌다는 기념비. ⓒ이창기


북한에서는 이 날을 건군절로 기념해왔다. (올해 북한은 건군절을 조선인민군 창건일인 2월 8일로 변경하였다.)

 

반일인민유격대는 자체로 칼, 창, 곤봉, 고춧가루폭탄, 화약 등을 제조했고 이것을 이용하여 일제의 현대적인 무기들을 빼앗아 스스로를 무장했다.

 

안도에서 인민유격대가 창건된 후 연길, 화룡, 왕청, 훈춘 등 각 현에서 현 단위의 항일유격대가 꾸려졌다.

 

이 지역들은 대부분 조선 북부 국경과 인접한 동만주지대였다.

 

1933년 말 동만주 지역 항일유격대의 민족별 구성은, 조선인 565명, 중국인 16명으로 총 600명 규모를 유지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정식, 스칼라피노, “한국공산주의운동사 Ⅰ”, 돌베개, 1986, 226쪽.)

 

유격대는 중국공산당과 협력 하에 동만주지역 조선인들이 많이 살던 왕우구·소왕청·석인구·대황구·연통라자 등을 유격구로 형성했다.

처창즈의 항일유격근거지 기념비 ⓒ이창기


유격구는 급격히 확대되어 1933년 말, 13개의 고정된 해방구로 발전했으며, 총 3만 여 명의 인구를 포용할 만큼 크게 성장·발전했다고 한다.


유격구에서 유명했던 어린
항일투사 김금녀(금순)의
모습. ⓒ이창기


유격구에서는 인민혁명정부가 주민들을 대중단체로 묶고 끊임없이 반일교양사업을 진행했고 유격대의 확장에 큰 기여를 했다고 한다.

 

유격구는 해방된 사회의 원형을 실현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독립투쟁에 대한 확신을 주는 역할을 했다.

 

참고) 인민혁명정부 정강 (이재화, “한국근현대민족해방운동사항일무장투쟁사편”, 백산서당, 134쪽.)

 

****  인민혁명정부 통제구역 내에 있는 모든 노동자, 농민, 유격대병사·지휘관 및 학생, 상인 기타의 반일, 반만, 반제 대중 및 그들의 가족을, 남녀, 종족, 종교·신앙의 차별 없이 모두 평등하게 혁명정부의 공민으로서 평등권을 가지며 16세 이상은 모두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는다. (단 매국적 민족반역자, 일본제국주의 및 괴뢰만주국의 앞잡이, 반혁명분자에게는 선거권·피선거권이 없고 정치적 자유도 없다. )


**  일본 및 모든 제국주의와 매국노의 은행, 철도, 광산, 기업소, 토지 및 기타의 재산을 몰수하여 반일군비로 충당하며 일부분은 빈곤한 인민에게 분배한다.


** 일본에 반대하는 모든 피압박민족과 공동전선을 결성한다.


**  인민의 무장으로 반만항일을 행한다.


**  가렴잡세를 폐지하고 통일누진세제를 실시한다.


**  언론, 출판, 집회, 결사, 독서 및 스트라이크(파업)의 자유를 보장한다.


**   8시간 노동제와 최저임금제를 실시하고 실업자 및 이재민을 구제한다.


**  소작농민에게 2·8 소작제를 실시한다. (20% 지주, 80% 농민)


**  소수민족의 자결권을 확립한다.

 

또한 유격대 인원이 보충되고 군사훈련, 학습, 휴식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반일인민유격대가 급격히 성장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인민혁명정부가 꾸려진 유격근거지임을 표시한 기념비 ⓒ이창기


***  조선인민혁명군과 동북항일연군

 

1934년 3월 각 지방의 유격대들은 조선인민혁명군을 결성했다. (장세윤,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41~145쪽. 한국 역사학계에서 낸 이 책에 따르면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에 대해, 1930년대 전반기 일부 중국인들 사이에서 확인된다고 한다.)

 

한국 학계에서는 조선인민혁명군이 만주지역에 살던 우리 민족이 대거 참여해 성립한 부대로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독립사단)이라고 보고 있다. (강만길, “20세기 우리역사”, 창작과비평사, 1999,136~146쪽.)

 

동북인민혁명군은 중국공산당이 1933년 “1월서한”을 채택하면서 동만주·남만주·북만주 등지에서 활동하던 유격대들을 개편한 연합군이었다.

 

조선인민혁명군은 2~3개의 독립연대로 편성된 수개의 독립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일인민유격대가 최초로 세워진 지 2여 년 만에 일종의 정규 군대 정형을 갖추게 된 것이다.

 

장세윤의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가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조선인민혁명군 규모가 3천명이었다고 한다.

 

3개 소대가 1개 중대로, 3개 중대가 1개 대대로, 3개 대대가 1대 연대로 편성되었고 중대마다 정치지도원, 대대, 연대에는 정치위원이 있었고 사단 및 군에는 정치부가 있었다.

 

조선인민혁명군은 이후 여러 전적을 쌓았는데 1934년 6월 만주지역 중국인부대인 구국군과 함께 연대하여 라자구 시내를 해방시키기도 했다.

 

또한 1934년 9월 탄광노동자들의 집결지인 연길현 노항구로의 진공작전으로 도시를 일시에 해방시키는 전적을 쌓기도 했다.

 

조선인민혁명군은 1934년 10월~1935년 초까지 북만주로의 원정을 진행한 후 1935년 요영구회의에서 유격구를 해산하고 더 넓은 지대로 진출하여 적극적인 무장투쟁을 벌일 것을 결정한다.

 

이후 조선인민혁명군은 백두산지구 유격구를 새롭게 건설하고 국경지대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해 나갔다.

 

1937년 6월에는 압록강을 건너 조선 갑산군 보천보를 공격하여 국내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강만길, “20세기 우리역사”, 창작과비평사, 1999,136~146쪽.)


(보천보전투)소식을 전한 동아일보.


한편 1936년 2월 중국공산당이 “동북항일연군 군대 편제를 통일할 것에 관한 선언”을 발표하면서 동북지역 무장조직들이 통합되어 동북항일연군 제1군부터 제11군으로 편성되었다.

 

동북항일연군 주요간부 저우바오중(주보중)이 쓴 “저우바오중문선”(1987, 51쪽)에 따르면 “항일연군 제2군은 동시에 ‘조선인민혁명군’이었다”고 되어 있다. (장세윤,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41~145쪽. “재만한인들이 대거 참여해 성립된 이 부대를 중국인들도 경우에 따라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고 적혀 있다.)

 

조선인민혁명군은 훗날 동북항일연군 제1군과 제2군을 합쳐 편성된 제1로군(양징우 총사령)에 배치되었다.


 

 

이상..         04편에서 계속~~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50
18891 [한국사] 고종 밀사 이동인의 오판과 독단(1) 히스토리2 06-03 937
18890 [한국사] 진주성 북장대 지붕에서 고종 1년 상량문 발견 mymiky 06-23 937
18889 [한국사] 낙랑군 관련 물질문화 문제 (1) 감방친구 04-27 937
18888 [한국사] 누구의 눈으로 역사를 보는가에따라 시야가 달라진… (2) 스리랑 01-10 938
18887 [기타] 왠지 우리나라에도 (1) 인류제국 03-13 938
18886 [북한] 북한은 광복을 '쟁취'했다고 하는 이유가.? 03… 돌통 06-04 938
18885 [기타] 개천절의 주인공은 단군보다 환웅이다 관심병자 03-09 938
18884 [기타]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감미로운 모지혜(다니엘) - 인… 아비바스 03-08 938
18883 [한국사] 어제 오늘 아케치님과 나눈 댓글 (5) Marauder 04-20 939
18882 [기타] 조선 유학자들은 한사군의 위치를 어떻게 보았을까? (1) 관심병자 06-10 939
18881 [세계사] 역사왜곡 처벌법의 룰모델이 되는 외국의 여러 법안… mymiky 06-03 939
18880 [중국] 중국 다큐 - 한복과 기모노는 중국이 근간 (3) 커밍쑨 11-05 939
18879 [한국사] [팩트체크] 우리 한복이 중국 명나라에서 유래했다? (1) ssak 11-06 939
18878 [한국사] 역사만화 바람따라 물따라 <유몽인 편> 설민석 05-25 940
18877 [한국사] 신미제국의 위치? (8) 남북통일 02-20 940
18876 [북한] 김정일의 출생지와 관련 여러 증언들.01편 돌통 10-15 940
18875 [한국사] 바른 역사관도 중요하지만,저는 현실이 더 중요하다… (4) 성물세라핌 10-24 941
18874 [중국] [습유장초]상고한어를 재구한 영상. Ichbin타냐 11-22 941
18873 [북한] 악의신. 이오시프 스탈린. 독재의 최고봉. 20편.. (1) 돌통 12-28 941
18872 [한국사] 단군사(檀君祠)ㅡ어촌 심언광 하시바 11-06 941
18871 [한국사] 제가 생각하는 낙랑, 요동군의 위치 (7) 도수류 12-09 942
18870 [한국사] 독립군가 BTSv 03-03 942
18869 [북한]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 진실.. 돌통 09-20 942
18868 [한국사] 예쁘고 고급스런 아동용 한복 mymiky 11-13 942
18867 [한국사] 비오는 날 가보고 싶은 근대 건축물들 히스토리2 04-23 943
18866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백운동 (강진) 히스토리2 04-27 943
18865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5편.. 돌통 07-07 943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