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9-02-25 10:05
[한국사] 무경총요에서의 염산(炭山)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657  

무경총요의 염산(炭山) 관련 기록은 본인의 ‘염산(炭山)’에 대한 요사 중심 고찰문인


염산(炭山)과 형두(陘頭), 그리고 난하(灤河)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78519


를 함께 봐야 합니다.


위 글에서 고찰한 내용은

송형령(松陘嶺)과 영주(營州) 추적 지도 붙임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78531


에 시각화 되어 있습니다.


해와 거란의 피서지로서의 염산은 무경총요 기록 역시 현 장가구시 역성현 근방에 제시되는데 앞에서 고찰한 염산 위치와 교차시 마찬가지로 독석구진 동쪽의 난하 발원처를 중심으로 수렴됩니다.


이 근방에 염산과 형산과 냉형과 송형이 교차돼 자리잡고 있습니다.




《武經總要前集》

1.

御夷鎮,後魏築長城,今契丹改為望雲縣。按《皇華四達記》:媯州北一百四十里至廣邊鎮,一名白城,又東北五十里至赤城,又北七十里至鎮城。陘山在鎮城。西北即奚契丹避暑之處,今曰炭山。


어이진은 후위(북위)가 장성을 쌓았는데 지금은 거란이 고쳐서 망운현으로 삼았다.


(가탐의) 황화사달기에 따르면 “규주 북쪽 140 리에 광변진이 있는데 일명 백성이라 하고, 또 (백성) 동북쪽 50 리에 역성이 있으며 또 (역성) 북쪽 70 리에 진성(어이진)이 있다.” 했다. 형산은 진성(어이진 성)에 있다. (어이진) 서북쪽은 즉 해와 거란이 더위를 피하는 곳으로 지금은 염산이라 한다.



2.
炭山,本匈奴避暑之處,地多豐草,掘丈餘即有堅冰。賈耽所說:媯州西北八百里至陘山,即奚契丹避暑之處。唐史載契丹之地,西至冷陘是也。今胡中目為炭山,近更名霍又山。自幽州西北路清河館,即居寶關雕巢館,赤城口始有居人,望雲縣、受賜川凡十日程至炭山。

염산은 본래 흉노가 더위를 피하는 곳으로 땅에 풀이 풍부하며 땅을 한 장(약 3m) 남짓 뚫고 얼음이 단단히 얼어있다.


가탐에 따르면 “규주 서북쪽 800 리에 형산이 있는데 즉 해와 거란이 더위를 피하는 곳”이라 했다. 당사(신당서)에 수록된 거란의 영토 기록에서 “서쪽으로 냉형산에 이른다”했는데 (바로) 이곳이다. 지금 오랑캐 명칭으로는 염산이라 하는데 근래에 (그 이름을) 곽우산/사우산으로 변경했다.


유주로부터 서북쪽 경로를 따라 청하관, 즉 거보관, 조소관, 역성구, 망운현, 수사천을 지나 10 일여를 가면 염산에 이른다.



3.

九十九泉,《水經》曰:阻陽城東八十里,有牧牛山,山下有九十九泉,即滄海之上源也。後魏多住九十九泉,虜主每南牧,多聚謀,即此。南至雲州,北至炭山。

구십구천은, 수경에서 말하길 “조양성 동쪽 80 리에 목우산이 있고 그 산 아래에 구십구천이 있으니 즉 창해의 상원”이라 했다.


후위(북위) 시절에 오랑캐가 구십구천에 자주 가서 머무르며 그 남쪽에 목축을 하며 음모를 꾸미곤 했는데 즉 이곳이다.


(구십구천의) 남쪽은 운주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염산에 이른다.



4.

小鹽泊,周圍百里,東至上京二千里,契丹更名惠民湖。落黎泊,東至炭山,西至鹽泊,南至退軍部落,北至狗泊。


소염백은 둘레가 100 리이며 동쪽으로 상경까지 2,000 리인데 거란이 이름을 혜민호로 바꿨다.


낙려백은 동쪽으로 염산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염백에 이르며 남쪽으로는 퇴근부락에 이르며 북쪽으로는 구백에 이른다.



5.
狗泊,西鴛鴦泊,北達靼國界,東南炭山


구백의 서쪽에는 원앙백이, 북쪽에는 달단국의 경계가, 동남쪽에는 염산이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중국] 당태종의 돌궐에 대한 12년간의 신속 (2) 히스토리2 04-29 1834
156 [한국사] 당 건국 선비족 북방족으로 고조선 예하민족중 하나… (1) 러키가이 05-05 1823
155 [한국사] 고구려 개주 출신 말갈인 이다조 (7) 고이왕 12-29 1820
154 [한국사] 동부여의 위치는 고구려의 북쪽 2 (5) 꼬마러브 07-02 1820
153 [기타] “장관(壯觀)은 깨진 기왓장과 똥거름에 있더라” 관심병자 06-15 1818
152 [한국사] 발해의 고구려 계승에 대한 단상 기록정리 설설설설설 10-30 1813
151 [한국사] 최리의,낙랑국 (27) 하이시윤 03-18 1805
150 [세계사] 국가와 민족이 없으면 전쟁도 없다? (78) 송구리 01-25 1805
149 [기타] 3. 발해유민과 흑수말갈의 여진 (4) 관심병자 06-18 1783
148 [기타] 오월국, 제나라 잡생각 (2) 관심병자 01-19 1771
147 [기타] 중국이라는 거짓말(기소르망) + 중국의 유래...그리고… (4) history2 03-06 1761
146 [한국사] 부여국 주요국왕 정리(해씨, 낙씨, 부여씨) 보스턴2 09-04 1746
145 [기타] 고구려, 돌궐, 유연 (3) 관심병자 06-05 1707
144 [기타] 고구려 신대왕의 유주, 병주원정 (2) 관심병자 08-21 1687
143 [기타] 조선과 명ㆍ후금(後金)과의 관계 관심병자 01-11 1684
142 [한국사] 무경총요에서의 염산(炭山) 감방친구 02-25 1658
141 [기타] 모용선비 치하에서 활동한 4세기 경 부여 유민들 관심병자 06-13 1629
140 [한국사] 무경총요에서의 냉형(冷陘/冷硎) (4) 감방친구 02-25 1618
139 [기타] 〈백제의 요서영유(설)〉 (2) 관심병자 02-10 1616
138 [한국사] 5세기, 바다를 제패하고 북위를 압도한 고구려 감방친구 11-23 1614
137 [한국사] 고조선 영토 (고인돌/비파형동검/동이족/ 명도전 분… (18) 수구리 07-18 1605
136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는 요주(遼州) ' 요… (15) 현조 10-16 1582
135 [한국사] 구당서와 신당서에서의 냉형(冷陘/冷硎) (13) 감방친구 02-25 1576
134 [한국사] 윤내현교수의 韓國 古代史 新論 (한국고대사 신론) (7) 스리랑 02-10 1569
133 [한국사] 요사 지리지에서의 냉형(冷陘/冷硎) (11) 감방친구 02-25 1553
132 [중국] 당나라 두우의 통전에서 보는 지리왜곡 사례 (9) 도배시러 02-03 1547
131 [한국사] 고령군 미오사마 액유각인 이야기 (2) 호랭이해 12-07 1528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