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11-17 21:17
[한국사] 한자 읽는 법 질문.
 글쓴이 : 해달
조회 : 2,410  

예전에 어디선가

옛날에는 한자를 읽을 때, 오늘처럼 山을 산이라고만 읽지 않고, 뫼라고도 읽었다던데.

그러니까, 예를 들어, 光州를 광주로만 읽지 않고 빛고을 이런 식으로도 읽었다던데.

이게 고려인가, 조선인가, 어느 왕 때부터 한자를 현재처럼 음독으로만 읽게 해서,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는데.

이 왕이 어느 시대, 어느 왕인지, 자세히 알고 계시는 분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꼬마러브 15-11-17 22:14
   
후기신라 경덕왕때 지명들을 한자 2자의 중국식으로  개명한 것을 말하는 것 같네요.
후기신라 경덕왕시기에 신라의 전제왕권이 귀족세력의 부상으로 흔들리고 있던 때입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경덕왕은 왕권의 재부상을 위해 행정체계와 관제정비에 대대적인 개혁을 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전국의 행정체계 즉 지명들을 전부 중국식(한화 漢化)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대부분 우리말 -> 한자어)  지금의 지명들도 대부분 이 때 바뀌어 아직까지 사용되는 곳이 많죠 (예 : 길동군 -> 영동군,  사벌주 -> 상주 , 고타야군 -> 고창군 , 답달비군 -> 화령군 , 달구화 -> 대구 , 텰둥글 -> 철원 , 곰나루 -> 공주 , 누스키 -> 유성  등등.. 많음.. 아마 지금 대부분의 지명들이 이 때 바뀐 것임) 즉 지명을 모두 중국식으로 바꾸어버려 우리도 이제 중국과 같은 나라다! 라는 것은 천명한 것이죠. 과거와 같이 왕과 귀족들이 다스리는 나라가 아니라 왕 혼자 다스리는 전제왕권을 성립하고자 했던 겁니다. 뭐..  지리지에 원 지명과 한화(漢化)지명을 나란히 적음으로서, 원래 땅이름의 음과 뜻을 추정하고 복원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두었으나, 순우리말이 크게 힘을 잃었던 첫번쨰 사건입죠
     
꼬마러브 15-11-18 08:22
   
이렇게 후기신라 경덕왕때 모든 지명들을 중국식의 한자명으로 전부 바꿔 버린 것이 첫번째 사건이고 두번째 사건은 일제 때 전국에 있는 지명 (신라 때 바꾼 것이 큰 행정단위 였다면 이번에는 작은 행정단위까지 전부 다) 한자어로 바꿨습니다. 현재 대도시 지명 중 ‘서울’만이 유일한 순우리말 지명으로 남아 있죠
크크로 15-11-17 23:44
   
제 얕은 상식으로는... 신라시대 이두문자로, 일본과 다르게 뜻과 음을 구분해서 한자를 적었고...
한글이 발명되기 전에는, 감각에 따라 한자를 음독, 훈독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일본처럼요.ㅎ
오늘날 각 지명이랑, 이름이 중국식 3,2 자로 변한건 조선시대로 알고 있습니다.
     
pasa 15-11-18 00:04
   
네 일본이 그렇게 쓰는것 같더군요..
pasa 15-11-18 00:09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모르겠는데,,
우즈벡 고려인들하고 언제 이야기하는데,,
사과를 능금이라고 말하더군요.. 산도 뫼라고 하고,,
고려인들 이주시기가 조선 말이나 됐을까요? 그런것 보면
그리 오래되지 않았을듯 하는데요..
     
아스카라스 15-12-28 23:29
   
그러하면 끽해야 200년인데 200년만에 이렇게 말이 바뀔 수가 있다는 건가요? 하.. 정말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운드르 15-11-18 00:31
   
정확히 말하면 山을 뫼라고 읽었다기보다는 뫼를 山으로 표기했다고 봐야겠죠.
무슨 차이가 있냐고 하실지도 모르지만, 중국에서 온 외교 문서 같은 것을 읽을 때 차이가 납니다.
전 당나라 문서에 적힌 山은 '산'이라 읽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보는 글에는 이두식으로 적어서 山을 뫼라고 읽었겠지만요.
그렇지 않고서는 당나라 때의 중국 한자음이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 한자음으로 고착된 것을 설명하기 어렵죠.
잘은 모르지만 한자를 음독하라고 강제한 왕은 없었을 겁니다.
보나베띠 15-11-18 02:00
   
광주(光州)의 옛 지명이 빛고을입니다.
즉, 빛 광, 고을 주의 한자 표기로 광주가 된 셈인데
같은 한자라도 한국과 중국은 발음 자체가 다릅니다.
光州를 우리는 광주라고 말하지만 중국은 광쪼우, 일본은 고오슈우 라고 발음을 합니다.

세종대왕이 고심한 것은 우리 백성의 글을 읽지 못함으로 인해 생겨나는 어려운 일들을
안타까워 한 것도 있지만 이렇게 같은 한자임에도 중구과 발음이 다르다는 것도 이러한
새로운 글의 방식을 만드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가 담긴 뜻입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의 어순대로 문장을 표기한 표기법이죠.
     
운드르 15-11-18 02:48
   
당나라 때는 중국에서도 '광주'라고 발음했습니다.
시대가 지나면서 중국에서는 발음이 계속 바뀐 반면,
우리나라 한자음은 거의 변화가 없어 이렇게 차이가 나게 됐지요.
satima 15-11-18 10:11
   
한자를 공부할때 자형, 자음, 자의 를 기본적으로 공부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냥 외우지만 중국에서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자음(字音)에 관한 사항인데 중국의 자음서인 광운(廣韻)이나 강희자전(康熙字典)에는 반절법(反切法)이라는 음표기법이 있는데  거기에 따른면 됩니다.  광운과 강희자전의 음표기법이 지금 우리가 발음하는 한자의 음과 거의 같습니다.  현재의 중국음표기와는 많이 차이가 나더군요  수,당시대의 중국한자의 음이 지금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우리 한자의 음표기와 거의 갔습니다.
     
satima 15-11-18 10:14
   
수당시대의 발음이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발음과 거의 갔습니다.
          
pasa 15-11-18 16:07
   
갔다는거요 같다는거요
 
 
Total 17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1 [한국사] 북미대륙 인디언유물과 세종대왕익선관 모습보기. (6) 아리만왕 12-15 4132
90 [한국사] 신비의 거울, 다뉴세문경 (2) 해달 12-14 2362
89 [한국사] 광해군 (22) mymiky 12-12 3745
88 [한국사] 조선의 개국공신 이지란(쿠란투란티무르) (7) 사커좀비 12-10 8380
87 [한국사] 역사스페셜 최윤덕 조선의 국경을 세우다 (2) 호랭이해 12-09 3921
86 [한국사] 조선이 한반도 위로 진출하지 않은건 아무리 봐도 추… (38) 11학번 12-06 8433
85 [한국사] 역사채널 e: 동의보감,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서 shrekandy 12-05 3484
84 [한국사] 조선시대에도 있던 대학생 (유생들) 시위(영상) shrekandy 12-05 3116
83 [한국사]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영상[영화]) (1) 해달 12-04 1813
82 [한국사] ( 질문 ) 사학 전공 혹은 사학 관련 업무에 종사하시… (7) 호태왕담덕 12-03 1567
81 [한국사] 만약 조선이 러시아 제국 노선에 편승했었다면 (34) 사람이싫다 12-02 5797
80 [한국사] 고려시대 금속활자 발견했다 합니다. 파마산 12-02 3025
79 [한국사] 조선시대 장애인 정책 영상2 (새로운 버젼) (11) shrekandy 11-30 4232
78 [한국사] 세계최초의 민중? 서명운동, 조선시대 만인소 (5) shrekandy 11-30 3636
77 [한국사] 한때 우리나라는 일본뿐만 아니라 서양열강들이 탐… (4) 타마 11-29 4121
76 [한국사] 인구수 질문. (15) 해달 11-28 4488
75 [한국사] 서울 한양 크기 (10) 해달 11-28 5725
74 [한국사] 하하하 전두환, 노태우가 나중에 죽으면 국가장? (28) 전쟁망치 11-26 5218
73 [한국사] 환향녀들의 한과 눈물이 담긴 '홍제천' 블루하와이 11-24 3867
72 [한국사] 삼국통일전쟁 (4) 호랭이해 11-23 2556
71 [한국사] 조선시대말 군사력이 그렇게 형편없었나요? (16) 시골가생 11-21 5314
70 [한국사] 초록불씨 왈,"상고사대토론회서 이덕일 복기대가 발… (3) 한량012 11-20 3180
69 [한국사] 후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국정교과서(교육은 百… (5) 스리랑 11-20 1661
68 [한국사] 한자 읽는 법 질문. (12) 해달 11-17 2411
67 [한국사]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이 얼마전까지 매국노들에게 … 스리랑 11-17 1887
66 [한국사] 제헌헌법과 진보적 민주주의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 (1) 해달 11-17 2328
65 [한국사] 국정교과서 한방으로.. (2) 흑화한다 11-16 1840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