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1 22:51
[한국사] 당나라 부대의 기원...어영청
 글쓴이 : history2
조회 : 871  

아무런 의지도 없이 되는대로 행동하는 모양을 일컫는 '어영부영'은 조선 군대에

서 유래한 말이다.


국어사전.gif



조선은
1623년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 이후 특수부대인 어영군을 만든다.

집권 서인 세력의 무력 기반을 강화하고 왕을 경호하는 게 창설 목적이었다.

260명으로 출발한 이 부대는 포격 훈련을 주로 받았다.

포는 조총이나 활, 칼 등을 능가하는 최신 병기였다.


AKR20170425092200797_01_i.jpg


이듬해 이괄 난을 계기로 부대 규모가 커진다.

이괄은 인조반정 논공행상에서 밀려 평안도 군사령관에 임명되자 반란을 일으켜 

한양을 점령한다.

인조는 어영군 경호를 받으며 충남 공주로 피신한다.

그곳에서 어영군은 산골 포수 약 600명을 흡수한다.

반란군이 진압됐을 때는 전체 병력이 1천 명을 넘어선다.

이후 5천 명까지 증원하고 명칭을 어영청으로 바꾼다.

주력 부대는 총이나 포로 무장한 사수와 포수였다.

근접전을 맡는 살수병도 양성했다.

살수병은 초승달을 닮은 칼과 무거운 쇳덩어리, 타격 도리깨 등으로 무장했다.


아들 효종이 즉위하고서 어영청 편성과 성격이 크게 달라진다.

1652년에는 전체 병력이 21천 명으로 대폭 확대된다.

청나라에 당한 수모를 설욕하려는 조처다.

인조는 1637년 청 태종 앞에 무릎을 꿇고 항복하는 '삼전도 굴욕'을 겪었다.

어영청 전략은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환한다.

병력은 특수훈련을 받은 직업군인으로 편성했다.

청나라 기병인 팔기군에 대응하려고 신무기도 개발한다.

수레에 화포를 싣고 다니다 적군을 만나면 

곧바로 포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전차다.

병자호란 당시 팔기군은 하루 약 100km를 달렸다.

임진왜란 때 왜군 북상 속도보다 무려 4배나 빨랐다.


어영청 전투력은 1654, 1658년 두 차례 나선정벌을 통해 가늠할 수 있다.

나선정벌은 청나라 요청을 받은 조선 조총부대가 러시아군과 중국에서 벌인 전투

.함경도에서 모집된 조총부대는 무기 성능이 뛰어나고 용맹하기로 소문난 러시

아군에 대승을 거둔다.

청나라 군대는 3년간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이런 조총부대도 북벌 선봉 부대로 단련된 어영청보다는 전투력이 뒤졌을 것으

로 추정된다어영청은 오늘날 특전사에 비유되는 최정예 부대였기 때문이다.

북벌계획은 준비만 하다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끝내 무산된다.

어영청은 주적이 사라지자 사기가 급격히 떨어진다.

양반 자제로 구성된 지휘부는 주색잡기로 소일했다.


AKR20170425092200797_04_i.jpg
                                   장충단(獎忠壇) 공원 자리에 있던 어영청



병사들도 자연스레 오합지졸로 변했다.

1706년 이후에는 부대가 축소되고 이름도 바뀌는 등 우여곡절을 겪는다.

1881년 첫 근대식 군대인 별기군이 창설된 후에는 극심한 차별까지 받는다.

결국, 3년 후 갑오개혁이 발표된 1894년 폐지된다.


당시 어영청은 기강이 문란해진 탓에 많은 지탄을 받았다.

군기풀린 어영청은 군대도 아니라는 비난으로 '어영비영'이라는 말까지 들었다.

이후 발음이 어영부영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655
19161 [한국사] '북방중심' 역사관 펼치는 북한…"구석기 유… 소유자™ 05-04 869
19160 [북한] 되돌아보는 6.25 수수께끼 01편. 돌통 07-29 869
19159 [북한] 김일성의 절친 독일인 저명한 여작가 루이저 린저의 … 돌통 09-16 869
19158 [한국사] 한강 대학생 의문사와 역사연구 (20) 감방친구 07-24 869
19157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요하문명(遼河文明)을 말… 아비바스 10-08 869
19156 [한국사] 낙랑군 낙랑군 문제? 무엇이 문제인가? (6) 고이왕 06-10 870
19155 [기타] 백제부흥운동 관심병자 02-20 870
19154 [북한] 한반도는왜 분할됐나?원폭이한반도의 공산화를막았… 돌통 05-17 870
19153 [한국사] 역사만화 바람따라 물따라 <나선정벌 편> 설민석 05-25 871
19152 [한국사] 전문가 집단의 오만방자를 질타한 현직교수의 기고… (1) 징기스 06-12 871
19151 [북한] 여순사건과 제주4,3사건등..이승만은 왜 학살을 명령… 돌통 05-25 871
19150 [기타] 역사 전문가, 혹은 역사에 대해 잘아는 분들께 여쭤… Marauder 04-01 872
19149 [한국사] 낙랑군을 한반도로 비정하지 않게 되면 생기는 모순 (11) 고이왕 06-10 872
19148 [한국사] 고구려 기년법(펌) 고이왕 12-14 872
19147 [한국사] 당나라 부대의 기원...어영청 history2 04-11 872
19146 [한국사] 평양의 어원 해석 방향 차이점 (6) 보리스진 01-16 872
19145 [한국사] 왜(倭) 1 - 《論衡(논형)》의 倭人 (1/4) (3) 감방친구 08-10 872
19144 [세계사] 일루미나티가 설쳐봐야 단군(부도지) 손바닥 안이다.… (2) 비가오랴나 04-18 873
19143 [북한] 김정은의 ‘웅대한 작전’ 시나리오 돌통 02-21 873
19142 [북한] 너무 나대지 말고 입조심도 필요.. 돌통 05-02 873
19141 [한국사] 삼한사의 재조명을 읽고.. (11) 뽀로록 08-13 873
19140 [기타] 누군가의 글을 읽다 보면 셀틱 05-22 874
19139 [한국사] 민족주의자가 본 민족주의에 대한 담론 (3) profe 01-13 874
19138 [한국사] 요동과 요동군, 요수와 압록수 감방친구 04-16 874
19137 [북한] 신채호의 어록."이승만은 이완용보다 더큰 역적이다. 돌통 02-10 874
19136 [한국사] 진한교체기 만주출토 청동기의 인식 (2) 지누짱 04-27 874
19135 [한국사] (6-3) 후한서 군국지 검토 (1) 감방친구 06-24 874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