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9-07-25 22:37
[기타] '읍니다'와 '습니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3,186  

보통 인터넷 상에서 상대자의 나이가 많다, 적다를 분별하는 기준 가운데 하나로 삼는 것이 '읍니다'를 쓰느냐의 여부이다

이게 기억이 맞다면 1989년을 전후하여 바뀐 것인데

이 글에서 하고자 하는 말은 세간의, 비교적 어린 사람들의 우스개처럼
'읍니다'가 과연 [음니다]로 발음되느냐 하는 것이다

예) 하였읍니다[하엳음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렇게 발음하는 것은 '그르다'

이는 사실 중등교육 과정의 국어문법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것으로 적어도 중등교육과정을 이수한 이라면 배우고 익혀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예외라고 한다
끝소리를 지닌 음절의 바로 뒤에 오는 낱말이 실제 '뜻'을 지녔느냐 아니면 형식적(문법적) 기능만을 하는 말이나에 따라서 예외가 적용된다

예)
ㅡ 옷 안[ 오단]
ㅡ 옷이[오시]


실제 뜻을 지닌 말이 뒤에 오면
음절의 끝소리규칙의 적용을 받은 뒤에 '연음'되나
실제 뜻을 지니지 않고 형식적 기능을 하는(형식형태소) 말이 뒤에 올 경우에는
음절의 끝소리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고 그대로 연음된다.

따라서

하였읍니다는
[하엳슴니다]로 발음된다

그런데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문법이라는 것은 언어에서 규칙을 찾고 그 규칙을 적용해 가는 것인데

하였읍니다의 경우
ㅡ 음절의 끝소리규칙의 적용을 받고(였 ㅡ>엳)
ㅡ 음절의 끝소리규칙의 예외에 따른 연음도 나타나므로(였읍ㅡ>엳슴)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이리하여 '읍니다'를 폐기하고 '습니다'를 적용한 것이다

하였습니다[하엳슴니다]

이렇게 했을 때에 문법의 규칙이 성립하는 것이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언어의 경제성(말을 쉽고 편하게 하려는 경향)을 추구하는 음성언어의 특성에 따라 우리말에서 그 끝소리를 ㄱ, ㄴ, ㄷ, ㄹ, ㅁ, ㅂ, ㅇ(가느다란 물방울)로 발음하는 현상으로서의 규칙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BTSv 19-07-25 23:49
   
쉬운 예로 먹다의 합니다체는
먹읍니다[머급니다]x
먹습니다[먹씀니다]o
셀틱 19-07-30 01:22
   
1. 얼마전까지 태극기부대 구별할 때 [읍 습] 으로 구별하기도 했었습니다 ㅎㅎ

2.
맛있다
마딛따
마싣따

예전엔 '마딛따' 만 옳은 표현이라 했는데 지금은 둘 다 허용.
구름위하늘 19-08-16 18:00
   
저는 개인적으로 위에 언급된 내용이 참 불편한 점이... 억지로 문법이나 규칙을 "만들어" 내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ㅡ 옷 안[ 오단]  : 그냥 "옷 안" 으로 발음하면 안돼나요?
ㅡ 옷이[오시]    : 그냥 "옷이"로 발음하면 안돼나요?

저는 옷 안을 의식적으로 [오단]이라고 읽지 않습니다.
제가 [옷안]이라고 읽는 것을 듣는 사람은 [오단]으로 듣는 것인지?

저처럼 "옷 안"을 [오단]이 아니라 [옷안]으로 읽는 것이 그렇게 불편한 것인지,
아니면 대다수의 사람이 정말 [오단]으로 읽기 때문에 정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8 [기타] 이 얼마나 얍쌉한 인간인가! (10) 감방친구 02-26 3237
667 [한국사] 발해 ㅡ 구국(舊國)과 고향(故鄉), 계루(桂婁)의 교차… (17) 감방친구 06-26 3211
666 [한국사] 대명일통지로 본 고구려 각 성의 위치 (3) 감방친구 04-22 3195
665 [한국사] 역사판의 3대 불량품(不良品) (8) 감방친구 07-23 3191
664 [기타] '읍니다'와 '습니다' (3) 감방친구 07-25 3187
663 [한국사]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고려 서북 국경은 中 요하지역 (14) 감방친구 11-30 3183
662 [한국사] 우리 민족의 형성 기반에 대한 이해 (8) 감방친구 02-22 3173
661 [한국사] 수/당 영주 위치 추적 잠정 중단 (4) 감방친구 07-01 3154
660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49
659 [한국사] 고구려의 도읍 변천 (19) 감방친구 12-04 3149
658 [한국사] 안동도호부의 위치 변천 (3) 감방친구 05-12 3148
657 [한국사] 고려시대 서경은 지금의 평양인가? (20) 감방친구 12-01 3089
656 [한국사] 사서 원문 해석의 고단함 (1) 감방친구 07-30 3077
655 [한국사] 발해 ㅡ 혼동강(混同江)과 속말수(粟末水), 그리고 홀… (2) 감방친구 07-05 3073
654 [한국사] 시각화하여 본 4세기~7세기 초, 고구려와 거란, 북위 … (11) 감방친구 05-28 3070
653 [한국사] 인류 최고(2만 9천여 년 전) 그물추 강원도 정선 매둔… 감방친구 08-12 3067
652 [한국사] 위치 비정의 중요성과 그 어려움 (45) 감방친구 12-11 3041
651 [한국사] 요동조선인에 대해서 (2) 감방친구 12-07 3007
650 [한국사] 고려 서북계 위치 추적 (7) ㅡ 암연현의 동계신라(東… (25) 감방친구 12-23 2993
649 [한국사] 거란의 영주 함락과 발해 건국의 전말 (2) 감방친구 10-07 2987
648 [한국사] 금나라 여진의 발원지는 흑룡강성 (8) 감방친구 01-28 2984
647 [한국사] 일본어의 친족 호칭 고찰 (16) 감방친구 11-26 2979
646 [한국사] 무경총요로 본 안시성과 거란 동경의 위치 (20) 감방친구 04-22 2958
645 [한국사] 388년, 북위 도무제와 약락수(弱洛水) (2) 감방친구 12-28 2947
644 [한국사] 일본어와 한국어의 수사(數詞) 비교 (12) 감방친구 11-25 2929
643 [한국사] 삼국사기 기록으로 본 백제 (16) 감방친구 09-26 2916
642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과 고구려 서계 (1) 감방친구 10-23 291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