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3-05-04 12:29
[일본] 백제인에게 살해 당한 일본 천왕, (소아씨의 비밀)
 글쓴이 : 예맥
조회 : 4,334  

유튜뷰 영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개한 일본에 문명의 빛을 밝히다
왕인 박사, '일본 학문의 조상'으로 꼽혀
철기·옷·술 제조 등 다양한 문물 전해


왕인이 왜국에 학문을 전파해 준 상황을 그린 상상도.
왜국에 다양한 문화와 기술 전파

일본 열도는 산이 많고 해안선이 복잡합니다. 곳곳에는 산에서 내려온 계곡 물을 중심으로 작은 평지도 발달되어 있지요. 이 때문에 큰 나라가 탄생하기 보다는 지역별로 작은 나라들이 활동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게 됐습니다.

서기 500~600년대 일본 열도의 중심은 나라와 오사카 지역이었답니다. 이곳에 왜국이 있었지만, 일본 전체를 다 지배할 정도는 아니었어요. 그저 가장 큰 나라에 불과했습니다.

일본 열도에서 가장 큰 섬인 혼슈우의 3분의 1 정도와 북쪽의 큰 섬인 홋카이도는 문명화가 되지 않은 아이누족이 살고 있었답니다. 남쪽의 큰 섬인 규슈의 남부 지역도 왜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지요.

역사서인 '삼국지'에는 '왜국 남자들의 옷은 단지 가로로 된 천을 묶어서 연결했을 뿐 꿰매는 부분이 없었다. 여자들은 천 중앙에 구멍을 뚫어 뒤집어 쓰는 홑옷을 입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왜국이 서기 500년대 초 양나라에 보낸 사신은 신발도 신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지요. 일본 열도의 문명 수준이 이렇게 낮았기 때문에,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백제를 비롯한 가야, 신라, 고구려 사람들은 일본 곳곳에 정착해 각자 새로운 지역을 개척해낼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 중 가장 열심인 나라는 단연코 백제였습니다. 고구려, 신라와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한반도에서 역사를 주도할 힘을 잃었기 때문이지요.

동맹국 대가야마저 562년 신라에 멸망하자 군사적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나라는 왜국뿐이었습니다. 백제가 열심히 사신을 보낸 바다 건너 양자강 유역의 양나라, 진나라 등은 문화와 무역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군사적 도움은 전혀 기대할 수 없었지요.

왜국만이 백제가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침입을 받았을 때인 서기 400년과, 550년대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왜국이 백제에 군사 원조를 해준 것은 앞선 문화와 학문, 기술을 전해 받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나주 왕인 기념관의 왕인 박사 동상.
일본에 큰 영향을 끼친 왕인 박사

왜국에 백제의 문화를 전해준 가장 유명한 사람은 '일본 학문의 조상'이라고 꼽히는 왕인 박사가 있습니다. 왕인은 논어 10 권과 천자문 1 권을 가지고 도공, 야공, 와공 등 기술자들과 함께 왜국으로 건너가 일본 학문의 조상이 된 것입니니다.

그는 우리나라 보다 일본에서 더욱 존경받는 인물이지요. 지금도 오사카 주변에는 왕인과 관련된 유적지가 많이 남아 있답니다.

왕인이 왜국으로 간 시기는 서기 400년 무렵인 근초고왕 또는 아신왕 때라고 합니다. 이 때 학문뿐 아니라, 철기 제작, 의복 만드는 기술 심지어 술 제조법까지 다방면에 걸친 백제 문물이 일본 열도에 전파되었지요.

552∼554년에는 군사 원조를 받기 위해 주역 학자인 역박사, 사서 오경에 뛰어난 오경박사, 의사인 의박사 등을 보내 많은 기술을 전해 주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뒤인 552년에는 불교를 전해주었지요. 처음에는 왜국 고유 신앙인 '신도'를 믿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나라의 종교로 수용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당시 왜국에는 백제 8대 귀족의 하나인 목씨 가문의 후손 소아씨가 큰 권력을 잡고 있었습니다. 백제로부터 적극적으로 불교를 들여오고자 노력했지요.

소아씨는 백제에게 왜국에 절을 지어달라고 요청했고, 그 결과 588년 무렵에는 백제의 많은 기술자가 왜국으로 건너갑니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 왜국에는 새로운 백제 열풍이 불게 됩니다.

이 때부터 백제와 왜국과의 관계는 크게 변하기 시작합니다. 다음 회에서도 일본 열도를 경영한 백제를 좀더 알아 보겠습니다.

나주 왕인 기념관에 있는 왕인 박사 관련 일본 내 유적지.



백제출신 ''소아''가문 日조정 실력자 군림


백제계 4명의 일본 왕을 옹립했던 아스카의 백제인 영웅 소아마자(蘇我馬子·소가노 우마코, 출생년 미상∼626)를 모르고는 일본 고대 역사를 논할 수 없다. 일본 최초의 웅장한 칠당가람 아스카노데라가 바로 그의 작품이다. 그런데 여기서 더욱 주목할 인물은 칠당가람 건축을 밀어준 백제 제27대 위덕왕(威德王·554∼598 재위)이다. 위덕왕의 지원이 없었더라면 아스카 구다라왕실의 불교국가 건설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백제 제26대 성왕의 장남인 위덕왕은 수많은 학승과 여승, 사찰 건축가들을 대거 일본 왕실로 보내 주면서 아스카 정권에 정신적인 기둥이 됐다. 심지어 도쿄미술학교 창립자 오카쿠라 가쿠조(岡倉覺三·1862∼1913) 교장이 “일본 왕실에서는 위덕왕 사후에 ‘화엄신장’(華嚴神將)으로 드높이 섬기며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이라고 찬양했다”고 적시했을 정도다.(‘岡倉天心全集’ 五 1940)
일본 헤이안시대(794∼1192)에 백제 위덕왕을 ‘대위덕명왕’으로 신격화시킨 발자취는 오늘날 한국, 일본이 아닌 미국 보스턴미술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이 지면을 통해 처음 공개하는 사실이다. 보스턴미술관 일본전시실에 11세기 일본왕실에서 만든 높이 93㎝짜리 위덕왕 목조 좌상 ‘대위덕명왕좌상’이 전시되고 있다.
‘대위덕명왕’에서 ‘명왕’이란 불교의 신격(神格)으로 온갖 죄를 뉘우치도록 이끌어주는 ‘지혜의 왕’이다. ‘명왕’에게는 죄악을 물리쳐주는 위력 넘치는 세 개의 얼굴(忿怒相)이 있다. 보스턴미술관에는 또 다른 비단 그림 ‘대위덕명왕좌상’(11세기 제작)도 있다. 아스카시대부터 헤이안시대까지, 일본 왕실이 위덕왕을 받든 물증이 아닐 수 없다.



◇도유라궁 터전의 건물(사진 왼쪽), 아스카역(긴데쓰 전철).


이제 ‘구다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소아마자 대신 가문의 발자취를 자세하게 살펴보자. 고구려 장수왕(413∼491 재위)이 한강변의 백제 왕도 한성을 포위하고 백제 개로왕(455∼475 재위)을 죽인 사실은 ‘삼국사기’를 통해 후세에 전해진다. 개로왕은 고구려 첩자로 왕실에 침투한 승려 도림과 바둑을 두면서 국사를 등한시했다. 도림은 백제 국가 기밀을 모두 탐지하자 고구려로 도망쳤고 개로왕은 도탄에 빠진 백성과 함께 장수왕의 침공으로 파국에 이르렀다.
이때 왕은 문주 왕자를 남쪽으로 피신시켰다. 간신히 화를 면한 왕자가 개로왕을 이어 문주왕(475∼478 재위)으로 등극하고 왕도를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천도했다(삼국사기). 바로 이 시기에 문주왕을 도왔던 목리만치(소아만치) 대신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백제가 후국(候國)이던 일본과 손잡고 고구려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가도와키 데이지(門脇禎二) 교토부립대 사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건너가자마자 유랴쿠왕(雄略王 456∼479 재위)의 조정에서 대신으로 뛰어난 정치 수완을 발휘하게 된 목리만치가 새로운 성씨를 만든 것이 소아(蘇我 소가)씨였다. 목리만치의 새로운 성명은 소아만치(蘇我滿智 소가노마치)였다. 유랴쿠왕으로서는 고구려·백제 정세에 소상한 목리만치가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요직에 등용했다”(飛鳥 1995)고 했다.


◇일본 최초의 1탑3금당 양식의 웅장한 아스카노데라(596년 준공) 복원 모형(나라문화재연구소).


유랴쿠왕은 누구인가. 소아 가문을 일본 왕실에 자리잡게 해 준 유랴쿠왕은 백제를 건국한 시조 온조왕(기원전 18∼기원후 27)의 제사를 몸소 받든 일본왕이다. 저명한 사학자이자 일본어학자였던 가나자와 쇼사부로(金澤庄三郞 1872∼1967) 전 고쿠가쿠인대 교수는 “유랴쿠 천황은 백제 건국신(建國神)에게 제사드렸다”고 일찍이 자신의 저서 ‘일선동조론’(1929)에서 밝히고 있다. 여기서 아울러 지적해두자면 목리만치는 뒷날 아스카 왕실의 대신이 된 소아마자의 친고조부다.
목리만치가 일본에 터전을 잡은 곳은 ‘소가(曾我)’라는 백제인 호족들이 지배하던 고장이었다. 이 고장을 석천(石川 이시카와)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그 터전에는 일본 불교 진흥의 유적으로 이름난 ‘석천정사’(石川精舍)라는 불당(佛堂) 터가 자리 잡고 있다. 소아마자 대신이 584년 자기 저택 자리에 불당을 세운 터전이다.
목리만치가 성씨를 소아씨로 바꾼 발자취도 흥미롭다. 가도와키 데이지 교수는 다음과 같이 소상하게 밝히고 있다.
“5세기 말 목리만치의 식솔들이 삶의 새 터전으로 잡은 장소는 어느 곳이었던가. 그 고장은 나라의 ‘소가’ 터전이었다. 목리만치와 그 일족은 우네비산(현재의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는 산)의 북쪽 ‘소가’ 땅에 정착했다. 지금의 가시하라시 이마이초(今井町)이다.”
이 지역은 고대에 줄곧 ‘구다라강’(百濟川)의 강 이름으로 일본 역사에 알려지고 있는 오늘의 소가강(曾我川) 중류 지대에 속하는 고장이다. 이 일대는 그 옛날 나라시대(710∼784)의 왕궁, 고분 등의 유적이 산재한 명소이다. 목리만치 대신에 앞서 ‘소가’ 땅의 지배자였던 백제인들은 일찌감치 강이름조차 ‘백제강’인 ‘구다라강’으로 명명했었다.


◇대위덕명왕좌상(미국 보스턴박물관 소장).


소아마자의 직계 조상인 소아만치 가문은 한국에서 건너가 대대로 조정의 강력한 지배자가 되었다. 소아만치의 친아들은 이름이 소아한자(蘇 我韓子 가라코)이고 그의 손자는 소아고려(蘇我高麗 고마), 증손자는 소아도목(蘇我稻目 이나메)이며, 고손자는 소아마자(蘇我馬子 우마코)이다. 친아들 이름의 ‘한자’(韓子)는 한국인 자식이라는 뜻이고 손자 ‘고려’(高麗)는 고구려이며 ‘도목’(稻目)은 벼농사가 한반도에서 건너가 번성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소아마자라는 이름은 백제 왕실이 암수 한 쌍의 양마를 일본 왕실로 보내준 일을 상징한다고 본다.
소아씨 가문이 백제계 일본 왕실과 외척으로 철저하게 밀착된 것은 소아마자의 아버지 소아도목(출생년 미상∼570) 대신 때부터이다. 긴메이왕(미상∼571 재위, 백제에서 건너간 성왕)의 부인 소아견염원(蘇我堅鹽媛) 왕비는 소아도목 대신의 큰딸이며, 둘째 왕비는 소아도목 대신의 둘째딸인 소아소자군(蘇我小姉君)이다. 소아씨 가문은 결국 외손자들 중에서 일왕 3인을 얻었다. 실로 막강한 외척 지위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외척 정치의 씨앗은 당초 소아도목(목리만치)이 뿌리기 시작했으나 가장 맛난 과실을 마음껏 누린 것은 소아마자 대신이었다.
“소아씨 가문의 여자들이 낳은 왕족은, 소아씨의 혈통을 잇는 왕족이라는 뜻에서 소아계(蘇我系) 왕족으로 불린다.”(遠山美都男 ‘謎にみちた古代史上 最大の雄族’ 1987). 여기에 덧붙이자면 “백제 성왕은 왜의 긴메이왕이다”(‘袋草子’ 1158)라는 내용이 담긴 고대 문헌도 있다. 지난날 필자가 발굴한 사료다.
목리만치가 새 성으로 선택한 ‘소가(蘇我 소아)’의 ‘소(蘇)’와 새 정착지의 지명 ‘소가’(曾我)의 ‘소’(曾)는 글자 형태가 서로 다르다. 그러나 고대 일본에선 한자어의 음차(音 借)에 의해 똑같은 소리를 내는 글자를 우리 ‘이두’식으로 함께 썼다. 그런 한자어 표현법을 ‘만요가나’라 부른다. 소아씨 가문의 옛 사당이 지금도 가시하라시의 이마이초에 고스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이 사당의 명칭은 ‘소가니마스소가쓰히코신사(宗我坐宗我都比古神社)’이다. 여기서도 사당의 ‘소가’(宗我)는 음차에 의한 한자 사용이며, 이 역시 蘇我나 曾我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외대 교수 senshyu@yahoo.co.kr
(다음주에 계속)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바꾸네 13-05-05 11:27
   
신라(경상)인의 쿠데타 본능이 ... ㄷㄷ
동족을 상잔하여,
(신라, 이 개새히들)
김춭추, 중국에 잘 보이고,
이후는 박통, 2대 걸쳐 미국에 잘 보이네.
백제는 일본을 실질 통치하는데,..
그러구 보면
한-일은 형제 국가이며,..

당시 고구려,백제,신라는 한민족이라는 개념이 없엇다.
이웃간 웬수나라엿을분.
오히혀 백제는 왜가 친근한 동지엿지
..
 
 
Total 1,19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1 [일본] 하시모토, 또 "위안부는 성노예 아니다" 망언 (5) doysglmetp 05-20 1930
600 [일본] [2013.5.18 워싱턴 포스트] doysglmetp 05-20 1719
599 [일본] [일본 심한왜곡] 칭기즈칸(Chinggis Khan)이 일본인(日本… (7) doysglmetp 05-20 4122
598 [일본] 하시모토 토루 오사카 시장의 망언에 오사카 자매도… (5) doysglmetp 05-19 2518
597 [일본] 일본의 날조 ボストンテロ日本の捏造,日本が韓国相… (2) 예맥 05-18 2907
596 [일본] 일본에 문자를 전한 백제인 왕인 박사 예맥 05-18 4281
595 [일본] 분노나 치밀어 오르네요... 일 의원 "재일 한국인은 … (3) 나이거참 05-18 2367
594 [일본] NSC보좌관 출신 부인 일본계:'일본·한반도통' … doysglmetp 05-18 2650
593 [일본] 일본 전범기와 나치기 (2) 행복찾기 05-17 5630
592 [일본] 여성가족부 유지해도 좋다. 다만... (2) 마왕등극 05-14 2025
591 [일본] 일본인이 만든 O2b 한국인 일본인 유전자 영상 (9) 예맥 05-14 7408
590 [일본] 백제 칠지도의 비밀 예맥 05-14 2329
589 [일본] 2ch에서 그러는데 일본인들 대부분이 한국을 동남아… (10) 빨갱이죽여 05-11 4299
588 [일본] [단독]"아베 총리 가문은 한국계" (2006년 기사) (4) doysglmetp 05-10 3005
587 [일본] 미국도 ‘극우 아베 신조’에 우려... 하지만, 일본의… doysglmetp 05-10 4093
586 [일본] 중국 "오키나와도 우리 땅" 전선 확대 (5) 머래머래 05-10 2754
585 [일본] A급 전범의 핏줄 꼴통 아베. (4) 굿잡스 05-09 5474
584 [일본] 일본 아베총리는 조선인의 후손 (9) 츠나 05-09 7190
583 [일본] 가야 제철 기술 일본으로 전파 (왜 지배 세력이 된 가… (1) 예맥 05-08 3806
582 [일본] 야마토 지배 세력이된 가야 세력 예맥 05-07 2124
581 [일본] [嫌韓日本人] 혐한 일본인들의 중국에 대한 한국기원… (1) 예맥 05-07 3064
580 [일본] [해외시론] 일본의 중국, 한국의 중국 (2) doysglmetp 05-06 3207
579 [일본] "한국가긴 비싸고..." 日연휴, 크게 붐비는 한인거리 (2) doysglmetp 05-05 2884
578 [일본] 야쿠자, 한국 노린다…신종마약 국내 무차별 확산 doysglmetp 05-05 2572
577 [일본] 백제인에게 살해 당한 일본 천왕, (소아씨의 비밀) (1) 예맥 05-04 4335
576 [일본] 일본왕 만수무강비는 불교판화 서울전시 파문 (1) doysglmetp 05-04 2203
575 [일본] 일본,'핵쓰레기장', 부산 제주도에서 100km 위… doysglmetp 05-04 2575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