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4-18 12:16
[한국사] 숲의 옛말과 신라 백제의 길사
 글쓴이 : 호랭이해
조회 : 1,437  

군대가서 오랜만에 왔어요
심심해서 올려봅니다


기매현(其買縣)[임천(林川)이라고도 한다.] 
감매현(甘買縣)

林 수풀 림

옛 지명에서 기, 감 = 林
을 추출 할 수 있는데
기와 감의 자형이 비슷해 생긴오기로 감이 옳을듯 싶다

==
거질미왕(居叱彌王) = 금물(今勿)

거질(居叱) = 것, 갓

고이왕 이표기
구니(久爾) 고니(古爾) 고모(古慕)

일본서기 훈
한(韓) ; 카라
간(干) ; 칸, 카무
금(錦) ; 키무, 코무 
금(金) ; 콘, 코무 ​

금=감
==
​숲의 방언으로
가슬 가스리 고지 곶 곳이 있다

거시(​居叱)=감(甘)으로
숲의 옛 우리말 곳과 같음을 알 수 있다

감은 크다, 곶은 뾰족한 것, 높은 것을 나타내므로 산과 숲을 뜻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어 카시라(머리, 두목)와 같은 단어일까
​==
무레, 모로, 모리 -> 뫼(산)

나리 -> 냏
누리 -> 뉘

모리 -> 묗

용비어천가 모로
대산(帶山 ; 시토로모로) 시토로-> ㅅ듸 -> 띠
벽지산 (辟支山 ヘキノムレ ; 헤키노무레)​
==
뫼(산)의 옛 형태는 모로 모리로 음이 머리와 통한다
마루, 마립간등 머리는 높은, 우두머리를 뜻하므로

카시라=곶 을 생각하 볼 수 있지만 잘 모르겠다

--
==
귀수(貴首) = 귀류왕(貴流王)
구차례현(仇次禮縣) = 구례현(求禮縣)
​굴자군(屈自郡) = 구사군(仇史郡) = 구사모라(久斯牟羅) 
​가수리군(加須利君) 카스리노키시 = 개로왕(蓋鹵王)

어을매곶(於乙買串) = 천정구현(泉井口縣)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 장항구(獐項口)
갑비고차(甲比古次) 혈구군(穴口郡)

곶(岬)=골(古尸)
​==

곳(久斯,古次) 골시(屈自, 忽次) = 口
의 대응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어귀(口)의 방언 옛말 코시, 구자의 형태로 남아있다

==
平淮押縣(평회압현) 別史波衣(별사파의)
阿珍押縣(아진압현) 窮嶽(궁악)
唐嶽縣(당악현) 加火押(가화압)
猪䢘穴縣(저수혈현) 烏斯押(오사압)

屈於押(굴어압) 紅西(홍서)
心岳城(심악성)은 본시 居尸押(거시압)
杇岳城(오악성)은 본시 骨尸押(골시압)
牙岳城(아악성)은 본시 皆尸押忽(개시압홀)

松岳郡(송악군)은 본시 扶蘇岬(부소갑)
大楊菅郡(대양관군) 馬斤押(마근압)
岬城郡(갑성군)은 본시 古尸伊縣(고시이현)
管城郡(관성군)은본시 古尸山郡(고시산군)

갑홀(甲忽)이었던 혈성(穴城)
穴口郡(혈구군) 甲比古次(갑비고차)

菅의 훈은 골이다.
​==

압(押) = 嶽, 岳

岬은 곶으로 지명외에도 기록에서 古尸로 쓰인다고 쓰여있다 古尸은 골로 읽힌다

大楊菅郡(대양관군) 馬斤押(마근압)
岬城郡(갑성군)은 본시 古尸伊縣(고시이현)
管城郡(관성군)은본시 古尸山郡(고시산군)

押은 누르다는 뜻으로 당시에는 꽂다는 뜻도 같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 꽂다의 옛말은 곶다이다 꽃다는 바닥에 힘을가해 넣는다는 뜻으로 누르다와 통한다

이로보아 곶은 숲과 산(嶽)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 모리와 우리말 뫼의 상관을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잘 모르겠다

==
귀수(貴首) = 귀류왕(貴流王)
구차례현(仇次禮縣) = 구례현(求禮縣)
​가수리군(加須利君) 카스리노키시 = 개로왕(蓋鹵王)
==
굴자, 홀차=口
구사, 고차=口

이와 동일한 형태의 이표기를 가지고 있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길사다

==
임나의 습속에 재(宰)를 길(吉)이라고 일컬으니, 고로 그 후예의 성씨를 길씨(吉氏)라고 삼았다. 신찬성씨록 길전련조

​길사(吉士)
길지(吉之)
길지지(吉之智)
길차(吉次)
계지(稽知)
당(幢)

동자홀현(童子忽縣)=구사파의(仇斯波衣)=당산현(幢山縣)
일본서기 훈독음 키시

之 斯 次 는 시로 읽힌다
==

당(幢)은 기치(旗幟)를 뜻하며 기치는 기시로 읽혔다 구사(仇斯)와 당(幢)이 대응한다

구시=길시
구시=굴시(忽次, 屈自)

구소왕 가수리군 가실왕등의 이름은 높은사람 귀족을 뜻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일본 오국(吳國)의 훈 쿠레노쿠니를 귀국(貴國)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대방(帶方)이 오국(吳國)으로 적혀 있기도 한데 왜는 대방이든 오국이든 백제, 가야의 도움으로 통교 할 수 있으므로 부르는 명칭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
“거서간은 진한(辰韓)의 말로 왕을 이름이다.”라 하였고, “혹은 말하기를 귀인(貴人)을 부르는 칭호이다.”

거슬감(居瑟邯)

마한
구슬(珠)을 귀중히 여겨서 옷에 꿰메어 장식하기도 하고 목이나 귀에 달기도 한다. 

​玉馬縣(옥마현)은 본시 고구려의古斯馬縣(고사마현)
​옥기현(玉(王)岐縣) 개차정현(皆次丁縣)

거질미왕=금물왕
엄(검)수(淹水)=개사수(蓋斯水)
​==

옥(玉)은 구슬로 지명에서 고시 개시의 형태로 나와있다
​위 가슬의 이표기들과 같은 형태다

여담으로 밝도 불시, 비슬의 형태가 있다


거칠부의 거칠도 사실 위 단어들과 뜻이 같을듯 싶다

==
황종(荒宗)
거칠부(居柒夫)
구지포례(久遲布禮)
구례이사지우내사마리(久禮爾師知于奈師磨里)
​=

구디(久遲) t->ㄹ 구리

황은 훈차표기 거칠다
까슬까슬하다 거슬다

구례이사지우내사마리는(于는 간의 오기)
구례/이사지간/내사마리로 나누어 볼 수 있고 구례가 인명으로 보인다
곶의 이표기 골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거슬, 구디, 구리로 위 단어들과 통한다

고구려의
고추가(古鄒加)
추(鄒)는 ㄷ로 ㄷ은 ㄹ로 바뀌므로 구례와 같다
==
계림유사 두(頭) = 마뎨(麻帝) = 머리
加知奈 加乙乃 가디내=가을내
==

고추가의 고추 거서간의 거서는 같은 단어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3 [한국사] 물웅덩이 속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는 백제 멸망 순… mymiky 03-02 1157
252 [한국사] 산동백제에 대한 본인의 의견 요약 정리 (6) 감방친구 02-03 1656
251 [한국사] 산동백제에 대해서 ㅡ 국산아몬드님께 답변 (28) 감방친구 01-30 1903
250 [한국사] 백제의 산동 및 하북 점유는 위사일 가능성이 높습니… (15) 감방친구 01-27 1724
249 [한국사] 백제의 요서영토, 산동반도 점유과정에 대한 추론 (14) 국산아몬드 01-25 1981
248 [한국사] 백제 요서경략설(百濟 遼西經略說) (11) 봉대리 01-24 1474
247 [한국사] 광개토대왕의 고구려, 근초고왕 근구수왕의 백제 전… (23) 고구려거련 11-22 4114
246 [한국사] 고대 일본 씨족 중 한국계 26%..백제계 압도적 (3) 스파게티 11-11 1173
245 [기타] 日150억 내라.."백제미소보살" 환수 결국 무산, 韓은 42… (3) 스쿨즈건0 10-12 1303
244 [기타] 고조선,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고려, 조선, 대한… 관심병자 09-26 1236
243 [한국사] 백제 전통의상이라고 하네요. (3) 암바구룬 09-22 1699
242 [한국사] 요서백제 새증거 (10) 지누짱 09-13 1695
241 [한국사] 일본, 신라, 백제 이야기 (1) 녹내장 09-12 1305
240 [중국] 중국인 : 고구려 부여 백제는 중국역사다 (5) 예왕지인 09-05 1350
239 [한국사] 국제정치학과 기술수준으로 본 백제와 왜 (2) ssak 09-04 818
238 [한국사] 백제,가야는 한국의 역사인데 일본의 역사는 왜 한… (15) 조지아나 09-02 1495
237 [한국사] 일본의 역사는 백제 역사의 일부분 일까요? 아닐까요 (1) 조지아나 08-18 1043
236 [한국사] 왜계백제관료 인명 (3) 호랭이해 07-17 1121
235 [기타] 일본열도 백제와 대륙백제, 반도백제 이야기 (2) 관심병자 07-09 1549
234 [기타] 고조선,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고려, 조선, 대한… (1) 관심병자 07-05 1335
233 [한국사] 백제의 마지막 공주, 부여태비 ssak 06-13 2166
232 [한국사] 요서 백제와 대륙 백제는 언제 사라졌나? (4) 고구려거련 05-20 2429
231 [한국사] 고구려 광개토대왕 vs 백제 근초고왕 vs 신라 진흥왕 (2) 고구려거련 05-06 1053
230 [한국사] 숲의 옛말과 신라 백제의 길사 호랭이해 04-18 1438
229 [한국사] 5세기 남북조 시대 고구려, 백제, 왜 무장 책봉 작위 (1) Irene 02-22 1731
228 [기타] 백제, 나당 전쟁 미스테리 (3) 관심병자 01-21 2137
227 [세계사] 동남아 유적서 튀어나온 '백제'와 '로마제… (5) 소유자™ 01-10 332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