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3-03-01 17:41
[기타] 국제관계학과 역사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1,003  


 
 역사를  왜 공부하고 배울까요?
 과거 역사를 통하여,  국내, 국제 관계에서   진취적이고 미래 지향적   한국의 현재, 미래를  만들기 위함일것입니다.
 개인적으로  한국 교과 과정에서 아쉬운점은,    외국의 경우   국제관계학을 공부하는  대학생의 필수 과목이 역사라는 점입니다.   완전 별개의 학문처럼 취급하는 인식 자체가 문제 있습니다.
  이전글  책보고의  김정민 박사 인터뷰 내용  서두에서도   언급합니다.
 
<  한국 주류 역사학계 사회적 책임과  의무가 무엇일까요?>

개인적으로는, 대다수 순수 학문차원 에서,  극소수의  역사학자 만의 전유물로  과거 역사의 탐구만에 그친다고 생각합니다.
 주류 역사학자들의 잘못된 인식은,    한국 사회에서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역사학자라는 특수성에 기인하여  본인들의 권리만을 주장하고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저버린다면  도둑놈이죠?

 첫째,  역사 공부를 왜 하는가?   민족의 기원  정체성을  밝히는것이 우선일것입니다.
         한국 주류 사학계  이에 충실했다고 말할수 있습니까?
          대다수   일본, 중국 언어,역사학자들이 재단해 놓은 틀에서만 한국역사를 이야기 합니다. 
 
 둘째,   한민족 후손들의 관심 소홀은,  국가 존재 이유에  잠재적 부정적 인식 배경을 갖게 합니다.  
               
   대표적 사례로,   이스라엘의 경우   흩어진 민족과, 후손을 찿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사료의 소실등으로, 입증이 어려울 경우 단순 DNA 검사 확인 만으로도  자국 국민으로 받아 들입니다.
 반면,   한국역사학계 입장은  " 나몰라라 " 아닐까?  생각 해봅니다. 
 자기 합리화 수단으로  글로벌화 되어가는 다문화 가정의 추세를 이야기 하며,  심한 경우에는 인류의 조상은 아프리카에 시작되었다. 현실감 없다고 이야기 합니다.   논점의 본질을 흐리게 하는경우를 자주 보게됩니다.       이들이 정상적 사고 일까요? 
  
  
 그나마  최근들어,  정부차원에서  인구감소,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한국계 후손 추정 귀화 작업을 우선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국 주류 역사학계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심화연구된 접근이 아니지요?
   
  
패망한 고조선 유민,  발해의 유민,  고구려의 유민들의 흔적을 찿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흩어진  한민족 후예들을 소홀히 하는 현실, 미래에도  역사가 반복될수 있습니다. 
한국의 독립을 위해 희생했던  독립 유공자들을  홀대하고, 소홀히 하는것과 동일 맥락으로 보여집니다.    

사회의 현실을 고려하면,  국민들에게 애국심을 요구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애국심은  자연스러운것 이어야 합니다.

 최근들어,  역사, 고대사의 교훈을  통하여,   한국 미래의 발전적 방향성  모색하는 컨텐츠가 보입니다.
 일부  몽골박사라 비하하는 김정민 박사,  요설(?) 도올 김용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유툽 컨텐츠  국제전략 tv etc 있습니다.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은 개개인  다를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향성 모색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현 주류 역사학계에 가장 불만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의무을 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미래를 위해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개혁은 현 주류 역사학계의 인식 변화이며 ,
 역사공부를 하는 근본적 목적, 이유를 국민들에게 알려줄수 없다면    공직, 강단에서 퇴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제 관계학 측면에서, 최근, 주 인도 한국대사관의   댄스 커버영상을 매우 인상깊게   보았습니다.
 한국과 인도 문화적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습니다.
 국제 관계학 측면에서,  한국역사학계가  제시  해야할 방향성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공통적 놀이 문화 기반    공동 행사를 개최할수도 있는것입니다.


  
  조회수 897,985회 2023. 2. 27.


아래 유툽채널 한국 인도 동일,유사성에 대한 역사적 해석은 개개인 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객관적 사회 현상에 주안점을 두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제네릭혀기 23-03-01 20:01
   
진취지향적 이란 말은 몬가요? 첨들어 봅니다.
     
조지아나 23-03-01 20:34
   
ㅋㅋ    진취적이고, 미래 지향적 의미로 쓴다는 글을  마음이 앞서 줄여썻군요~.
부르르르 23-03-02 00:31
   
역사를 배우기 전에 상식과 도덕, 정의를 먼저 배워라
     
조지아나 23-03-02 12:36
   
ㅎㅎ  사회 생활하면서,  민,형사상 사건으로 법원 간적없고,  당신같이 말하는 사람 처음 보는군요. 
 역사와 무관한 논점으로  상대방을 인격적으로 비하 모욕하는것이 목적이 무엇입니까?
  타인을 존중하는법 부터  배우세요.    글은 당신의 인격과 인품  입니다.
          
부르르르 23-03-03 00:12
   
그러게... 여기서만 놀면 뭐라 안 하잖아.
     
위구르 23-03-02 14:57
   
여기서는 비난을 하고 정작 진짜 헛소리를 남발했던 파XXX란 자를 옹호했었던 이유는 뭡니까? 이중적이기 짝이 없지 않습니까?
          
부르르르 23-03-03 00:11
   
발제자가 그동안 싸지른 똥들이 너무 많아서요...
튄 똥줄기 연장선 꼴보기가 싫어 그럽니다

그리고 누굴 옹호한 게 아니라 님의 거친 언사에 대한 거부반응이었습니다. 난 똥을 뿌린 적이 없거든요
               
위구르 23-03-03 12:27
   
꼬라지가 파XXX 수준에 걸맞네요
                    
파스크란 23-03-03 13:13
   
니 꼬라지 = 윤석열 추종 ^^
오늘도 2찍한 노답은 가만히 있는 나를 언급하면서 시비를 걸며 자기 수준을 증명한다.
좀 닥치면 좀 좋냐? 가만히 있는 나를 건드리지 마라. 2찍아
 
 
Total 1,6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46 [한국사] 당唐의 기미주로 보는 고구려의 강역, 영주·평주(營… (9) 파스크란 07-03 1292
1645 [한국사] 우리나라가 한번도 외국을 침공하지 않았다는 사람… (15) 천의무봉 04-23 3143
1644 [한국사] 고구려 장안성,동황성 위치 지도 (14) 파스크란 04-12 2330
1643 [한국사] 춘추 전국 진 서한시대 요수의 위치 (6) 하이시윤 03-14 1301
1642 [한국사] 위만정권ㅡ한 전쟁 당시 발해의 위치 (3) 하이시윤 03-14 1281
1641 [기타] 국제관계학과 역사 (9) 조지아나 03-01 1004
1640 [한국사] 파스크란님의 글이 역사학 글이 안되는 이유 (27) 하이시윤 02-20 1187
1639 [기타] 발해의 유민들은 카자흐스탄의 케레이족이 되었다 (5) 관심병자 02-21 2048
1638 [한국사] 세계4대평원 중 하나인 만주의 동북평원을 기반으로 … 하이시윤 02-18 1009
1637 [한국사] 고려 태조의 본명 왕봉규, 그는 신라천주절도사였다 (97) 파스크란 01-19 3787
1636 [기타] BC 6000년 빛살무뉘 토기 & BC4800년 쿠쿠테니 태극문명 (7) 조지아나 01-08 1701
1635 [기타] 티벳 무용 추정~ 한국외에도 댕기 머리를 했던곳이 (22) 조지아나 01-05 1847
1634 [한국사] 신라와 백제의 격전지. 침구에 대한 고찰 파스크란 01-02 1091
1633 [한국사] 왜 한사군 내지 한의 군현 위치가 요동반도여야 타당… (4) 윈도우폰 12-24 1563
1632 [한국사] 역사상 우리나라가 외국, 외부종족을 공격했던 사례 (1) 고구려거련 11-19 2120
1631 [한국사] 국제다큐 제작 준비중ㅣ 전세계에 알린다. 왜곡된 한… (12) 조지아나 10-28 3497
1630 [한국사] 단군조선 도읍 변천4ㅡ도읍의 위치 하이시윤 10-09 1219
1629 [한국사] 단군조선 도읍 변천2ㅡ중국사료분석2 하이시윤 10-09 984
1628 [한국사] 낙랑 위치에 대한 고찰 (16) 파스크란 08-20 1673
1627 [한국사] . (11) 흥무대왕a 08-18 1239
1626 [한국사] 요수와 위만조선의 위치 탐구 위구르 08-16 1217
1625 [한국사] 발해의 통설 영토로 본 방의 개념 위구르 08-09 1323
1624 [한국사] 발해 중경 현덕부의 위치 확인 위구르 08-09 1241
1623 [기타] 기자 조선 / 한 군현 /고구려 서계 위치 (2) 관심병자 08-09 1344
1622 [기타] . (8) 흥무대왕a 08-08 1042
1621 [한국사] 일본의 백제 왕족 성씨 분석 (다타라(多多良), 우라(… (2) 보리스진 08-07 1711
1620 [한국사] 낙랑군 변천사와 평양성 (13) 흥무대왕a 08-02 139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