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04 15:56
[기타] 벚꽃과 일본 그리고 팔만대장경
 글쓴이 : history2
조회 : 2,530  

KakaoTalk_20180404_155820985.jpg


일본의 벚꽃에 대한 애정은 유별나다. 탐미적이고 유희적인 감상뿐만 아니라. 벚꽃의 화려함과 순식간에 지는 모습 등에 대한 감상은 우리가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그들에게 작용하는 듯하다. 

개인적인 생각에서 일본의 사회적/문화적 특징은 사춘기적인 특성이 혼재된 사회/문화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부시도(武士道), 순수에 대한 강박, 소극적인고 수줍어하는 내향적 대인관과 정서, 집단주의적 자의식 등등, 청소년기의 특징적 감성이 성숙한 문화로 발전되지 못한 채 사회 전반에 지체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청소년 층이 흔히 그러하듯 문화적 참신함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문화적인 미숙함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일본의 국화(國花)가 벚꽃이나 국화(菊花 )로 알고 있는 경우도 많다.(언론 보도에서도 간혹 실수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일본은 공식으로 공표한 국화(國花)가 없으며, 국화(菊花)는 일본 왕가의 상징으로 사용되곤 한다. 

하지만, 일본은 벚꽃을 오랫동안 자신들의 상징으로 사용하여 왔고, 그로 인하여 일본의 상징으로 고착화된 것 또한 사실이다.  더구나 단순한 일본의 상징이 아니라 일본 군국주의/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꽃의 화사함과는 달리 상징으로서의 의미는 좋지 않다.

일본 내에서 역사적으로 벚꽃은 9세기 이후 대중적인 사랑을 받아왔다고 한다. 이후 사무라이 정신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고, 그 연장선에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전용되었다. 태평양전쟁에서는 일본 군국주의 자폭특공대(가미카제 ‘神風’) 의 자폭용 비행기를 ‘앵화'(벚꽃)이라 명명하기도 하였다. 현재 태평양전쟁 전범들이 합장된 야스쿠니 신사 등도 벚꽃으로 꾸며져 있으며, 이러한 일본 군국주의 상징으로 입지는 일본 내에서 아직도 유효하다.

국내에서는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제주도이므로 우리의 꽃으로 다시 벚꽃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원산지 우리나라 주장은 벚꽃에 대한 반감이 한풀 꺾이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꽃의 상징성의 문제이다 보니 원산지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것 같지는 않다.

근대 역사에서 특히 벚꽃은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꽃이었다. 일본 군사정권은 벚꽃을 영토 확장의 상징으로, 전쟁 참여를 독려하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벚꽃은 식민지에 꽂혀 일본 제국령을 알렸고, “천황을 위해 사쿠라 꽃잎처럼 지라”는 레토릭이 젊은 생명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중략)

‘원산지 증명’도 부질없다. 왕벚나무 원산지가 제주도이므로 벚꽃은 원래 우리 꽃이라고 우기는 건 비약을 넘어 억지다. 벚꽃 종류는 200여 가지에 이르며 국적을 따져 자랄 곳을 정할 리 만무하다.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전 세계 아열대와 열대지방에 폭넓게 분포하는 자연일 뿐이다. 어느 네티즌의 지적처럼 벚꽃 원산지는 그냥 지구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출처 : 세계일보 ‘벚꽃의 국적’ – 류순열>

벚나무는 쓰임이 많은 목재는 아니었던 듯하다. 팔만대장경 경판의 제작 목재 60% 정도가 벚나무였다. 고려의 대 몽골 항쟁 중에 목재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해 흔한 벚나무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그 외 다양한 용도가 있으나 특별한 벚나무로만 제작되는 물건 또한 별로 없다.

KakaoTalk_20180404_155821038.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hifteq 18-04-04 17:45
   
「개인적인 생각에서 일본의 사회적/문화적 특징은 사춘기적인 특성이 혼재된 사회/문화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부시도(武士道), 순수에 대한 강박, 소극적인고 수줍어하는 내향적 대인관과 정서, 집단주의적 자의식 등등, 청소년기의 특징적 감성이 성숙한 문화로 발전되지 못한 채 사회 전반에 지체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청소년 층이 흔히 그러하듯 문화적 참신함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문화적인 미숙함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이 부분을 읽고.. 역시 그렇구나.....라는 말을 속으로 하게 됐음..
내가 추상적으로나마 느끼던 일본이란 나라의 이미지도 이와 비슷함
애정결핍으로 인한 과시욕 과다를 보이는 청소년.. 같은 나라.
그 애정결핍이라 함은, 오랫동안 동아시아의 변방으로써 외교적, 문화적으로 무시 받은채 살아온 역사적 배경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함..
노비킴 18-04-04 19:20
   
벚나무 흔하지, 사계절도 흔하고, 식수도 흔해;;

하지만 일본인은 일본만 그런 줄 알지;;
psyke 18-04-04 22:59
   
‘원산지 증명’에 발끈하는건 왜넘들이 훨씬 더 심하죠...
이거 개량해서 뭔가 경제적정치적이익이 발생하면 왜넘농산부 장관나와서 지랄하는거 충분히 예상되죠..
도나201 18-04-06 17:11
   
사실 쓸데없는 논쟁중 하나..
그러나..
일본국보1호 반가사유상의 목재가 한국산 적송이라는 사실이 제일 중요한데

제작기법이나 제작술 제작인에 관한 전혀 어떠한 자료도 없고,
다만 한국산적송이라는데는 확인된 사실.
갓잡이 18-04-07 22:55
   
그 얘긴 우리가 아니라 일본한테 해야지
벚꽃의 원산지가 지구라면 딸기의 원산지도 지구지
벚꽃의 원산지 주장을 일본이 하니 일본벚꽃의 원산지는 제주도 왕벚꽃나무다
라고 사실확인을 시켜주는거도 원산지 주장인가? 왜 그게 의미가 없지?
그러면 어차피 죽을꺼 오늘 왜사냐 어차피 죽는데 살아가야할 의미가 없지않나?
부심을 부리자는게 아니라 거짓으로 자기껄로 만드는걸 보고도 의미없다고 방관하면 안되기 때문에
지적을 하는것 그이상고 그이하도 아님
왜국물을 좀 먹었나 보네
 
 
Total 22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3 [한국사] 당나라 시기 존재하던, 주위국가들 (4) history2 04-12 1523
192 [한국사] 고려 3대 수입품(목화, 화포, 그리고 .......임질) (2) history2 04-12 2048
191 [중국] 중국의 동북방을 지배한 공손씨 왕국 (5) history2 04-12 1814
190 [한국사] 조선의 곤룡포 재업 (5) history2 04-12 1350
189 [일본] 『양직공도』에 묘사된 왜국 사신의 복식에 대하여 history2 04-11 2234
188 [한국사] 당나라 부대의 기원...어영청 history2 04-11 872
187 [한국사]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멍청한 친일파 이용구 (11) history2 04-11 1510
186 [기타] 명나라 갑주......구글 이미지 펌 (12) history2 04-10 2581
185 [한국사] 임나와 가야는 같은 용어인가? 2 두가지 입장 정리(문… (1) history2 04-10 1229
184 [한국사] 임나와 가야는 같은 용어인가? 1 두가지 입장 정리(통… (3) history2 04-10 1043
183 [한국사] 이완용의 마지막 유언 (8) history2 04-10 2450
182 [기타] 포퓰리즘과 역사연구 (5) history2 04-10 929
181 [기타] 희대의 미친 년(루즈벨트 딸 일명 미국공주) 2 (3) history2 04-09 2923
180 [한국사] 한국사 가장 바보 짓 예송논쟁과 경신대기근 (4) history2 04-09 4166
179 [한국사] 희대의 미친 왕 1위 충혜왕과 그에대한 변명 (2) history2 04-09 1818
178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에밀리 브라운에 대해 아십… history2 04-08 2062
177 [한국사] 희대의 미친 년(루즈벨트 딸 일명 미국공주) (2) history2 04-08 3097
176 [한국사] 낙랑목간에 대한 비판(김병준 교수의 군현측면에서 … history2 04-08 1326
175 [한국사] 한일 함선비교 및 명량해전 (1) history2 04-08 3294
174 [한국사] 청동 화폐거푸집 등 (개인소장품) history2 04-07 1492
173 [한국사] 이정기의 치청왕국은 한국사의 범위에 들어올 수 있… (5) history2 04-07 1992
172 [중국] 당의 경제외교 2 history2 04-06 966
171 [중국] 당의 경제외교 1 history2 04-06 1216
170 [중국] 북방유목 민족과 농경지나(중국)과의 관계 (3) history2 04-06 1972
169 [중국] 하와이의 공주를 아내로 삼은 중국인 '진방" (13) history2 04-05 3464
168 [한국사] 고조선 시기 동아시아의 화폐에 대하여(명도전 - 첨… (15) history2 04-04 3050
167 [기타] 벚꽃과 일본 그리고 팔만대장경 (5) history2 04-04 2531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