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3-11 10:12
[한국사] 현 압록강은 오골강?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197  

복기대 팀은 가탐의 바닷길 코스를 등주에서 곧장 요동반도 남단 대련으로 건너는 것으로 보고 거리를 재서 현 압록강을 오골강에 비정하면서 이를 근거로 고구려 압록강은 현 압록강이 아니라는 논리 주장을 펼치는데

한 마디로 미친 짓입니다
이런 식이면 오골강과 관계 있는 오골성을 현 압록강 북안에 비정하는 학계 통설과 뭐가 다릅니까?

아니 오골강을, 오골성을 지나야 압록강이고 평양인데 이런 등신 같은 주장이 어디 있습니까

북위가 고구려에 막혀 연안항해를 못 하고 도해를 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은지 이백여 년 사이에 엄청난 해운&조선 기술의 발전이 있었답니까?

그리고 왜 등주에서 오골강까지 가는 경로는 무시합니까?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60832&sca=&sfl=mb_id%2C1&stx=cellmate&page=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3-11 10:14
   
산동반도 등주에서 고구려 가는 코스 고찰
감방친구 작성일 : 17-12-12 06:34 조회 : 1,301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60832&sca=&sfl=mb_id%2C1&stx=cellmate&page=8
남북통일 18-03-11 10:14
   
현 압록강을 오골강으로 비정하면 수나라, 당나라의 침공로가 가장 이해가 안 됩니다
     
감방친구 18-03-11 10:17
   
위에 링크로 제시한 제 소논문이 가장 정확하다고 자신합니다
          
남북통일 18-03-11 10:25
   
저도 님의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복기대 팀에서는 압록강을 요하로 보고 있어요.
               
감방친구 18-03-11 10:28
   
일단 고려 전기 압록강은 혼하로 보고 1차 연구를 확정지으려 하는데
고구려 압록강은 요하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남북통일 18-03-11 11:07
   
http://blog.daum.net/gusan0579/8018684
고구려 압록강인 요하인 몇가지 증거
                         
감방친구 18-03-11 11:22
   
이거 그 때 보여주신 거네요
사실 개인적으로 저런 식의 나열은  그 내용을 포함 설득력을 갖기 어렵습니다
history2 18-03-11 12:57
   
금사지리지
遼陽. 倚. 東梁河, 國名烏勒呼必喇, 俗名太子河.
요양현. 동량하(東梁河)가 있는데 나라사람들은 오륵홀필라(烏勒呼必喇)라고 하며 세속에서는 태자하(太子河)라고도 한다........오골강을 태자하로 저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그런데 혹시 관련이 있을까 해서 적어봅니다
그러면 압록강 =동량하=오륵홀피라=태자하
     
감방친구 18-03-11 21:45
   
제가 언제 오골강을 태자하라고 했습니까?
          
history2 18-03-11 22:34
   
오골강과 태자하가 같다는건,,,, 오륵홀필라를 태자하라 한다고 한거여서,,,그런거지 님이 태자하라고 하신적은 없습니다...제가 이 세속의 말을 인정하지 않는다 라는 것 입니다. 그래소 관련이 있을 까 해서 적어 본다고 썼습니다.
               
history2 18-03-11 22:35
   
태자하와 오골홀필라가 동일하다는 말은 세속의 말, 즉 그냥 그런 이야기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감방친구 18-03-11 23:35
   
태자하에서 대릉하 사이에 작은 강하가 무수히 많습니다 또 이곳도 물줄기가 무수히 바뀌어온 하류지대여서

발착수와 마찬가지로 오골강 역시 이곳 어드메의 한 강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죠

또 압록ㅡ오골ㅡ오륵홀 등 음가의 상사성으로 보건데

함께 놓고 생각해 볼 여지는 있습니다
history2 18-03-11 12:59
   
동량하(東梁河)는 동쪽산에서 서쪽으로 흘러 혼하(渾河)와 합하여 소구(小口)가 되어 요하와 만나 바다로 들어가니, 동량하 =태자하 물길의 방향은 맞네요 ...요사지리지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3 [한국사] (2)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1124
262 [한국사] (1)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1185
261 [한국사] 가탐 도리기 항로는 군사 목적 항로가 아닙니다 (3) 감방친구 03-17 877
260 [한국사] 당 태종 2~차 원정과 수군 침략 경로 고찰 중간 보고 (14) 감방친구 03-16 1523
259 [한국사] 학계 통설에서의 가탐도리기 해로 경유지 비정 (4) 감방친구 03-15 1405
258 [한국사] 도배시러님, 마석산이요! (5) 감방친구 03-14 924
257 [한국사] 고구려의 역산은 과연 황하 갈석산인가? (추적) (52) 감방친구 03-14 2855
256 [한국사] 역수(易水)는 어떻게 보세요? (17) 감방친구 03-13 1717
255 [한국사] 고구려 말기 서쪽 경계는 현 산동성 빈주 일대 (추정) (12) 감방친구 03-12 2257
254 [한국사] 현 압록강은 오골강? (13) 감방친구 03-11 1198
253 [한국사] 여러분, 진짜 미치겠네요 (2) 감방친구 03-11 931
252 [한국사] 고려 전기를 시작점으로 삼는 이유 감방친구 03-10 902
251 [한국사] 제가 착각했네요 (4) 감방친구 03-10 854
250 [한국사] 중국 현 행정지명의 차이에 따른 소통 문제 (7) 감방친구 03-10 942
249 [한국사] 동요하가 압록강일 가능성, 그리고 10세기 여진족의 … (28) 감방친구 03-09 1885
248 [한국사] 압록강을 동요하에 비정하면 생기는 문제 (10) 감방친구 03-08 1448
247 [한국사] 정안국 수도 랴오위안시 비정에 대한 비판 (48) 감방친구 03-08 1379
246 [한국사] 역사는 취미의 대상인가 (5) 감방친구 03-07 930
245 [한국사] 지금의 평양이 고구려 수도 평양이 아닌 7가지 이유 (7) 감방친구 03-05 1383
244 [한국사] 정안국을 비롯한 발해부흥운동의 전개 상황 (3) 감방친구 03-04 1665
243 [기타] 대체 이게 무슨 경우입니까 (15) 감방친구 03-04 1459
242 [한국사] 요녕성 상세지도가 절실합니다 (3) 감방친구 03-04 1434
241 [한국사] 백제왕이 제수한 작위로 본 대륙백제 (8) 감방친구 03-03 2251
240 [기타] 여러분, 절대 먹이 주지 마세요 (2) 감방친구 02-28 870
239 [한국사] 역사 커뮤니티의 기본은 공조와 존중입니다 (6) 감방친구 02-27 850
238 [한국사] 녹주 압록군의 위치 문제 (12) 감방친구 02-24 1789
237 [일본] 일본애들이 웃긴 게 (4) 감방친구 02-23 1409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