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8 22:59
[한국사] 조양(영주)의 이동경로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933  

사기史記를 찾아보니 <조양沮陽>이 장성이남長城以南임을 밝힌 명백한 기록이 있다.

**************************************************************************************************************

新校本史記三家注/新校本史記/世家/卷五十七 絳侯周勃世家第二十七 

燕王盧綰反,勃以相國代樊噲將,擊下薊,得綰大將抵﹑丞相偃﹑守陘[一]﹑太尉弱﹑ 御史大夫施,屠渾都[二].破綰軍上蘭[三],復擊破綰軍沮陽[四].追至長城[五],定上谷十二縣,右北平十六縣,遼西﹑遼東二十九縣,漁陽二十二縣. 最從高帝[六]得相國一人,丞相二人,將軍﹑ 二千石各三人;別破軍二,下城三,定郡五,縣七十九,得丞相﹑大將各一人.
[四] 集解 徐廣曰:「在上谷.」駰案:服虔曰沮音阻.索隱按:地理志沮陽縣屬上谷.
正義括地志云:「上谷郡故城在媯州懷戎縣東北百二十里.燕上谷,秦因不改,漢為沮陽縣.」
[五] 正義即馬邑長城,亦名燕長城,在媯州北,今是.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반란을 일으키자,주발周勃은 상국相國으로써 번쾌樊噲를 대신하여 군사를 이끌고 계薊를 공격해 함락하여 노관盧綰의 대장大將 저抵, 승상丞相 언偃, 수守 형陘﹑[一], 태위太尉 약弱, 어사대부御史大夫 시施를 포로로 잡고,혼도渾都[二]를 무너뜨렸고 상란上蘭[三]에서 노관군盧綰軍을 깨뜨렸다. 
다시, 노관군盧綰軍을 조양沮陽[四]에서 공격해 격파하여 장성長城[五]까지 추격하였다. 이로서, 상곡上谷 12현縣,우북평右北平 16현縣,요서遼西․요동遼東 29현縣,어양漁陽 22현縣을 평정하였다.
모두 말하자면, 고제高帝[六]를 따라 종군하여 상국相國 1명,승상丞相 2명,장군將軍과 2천석石 식읍을 가진자 각 3명을 포로로 잡았고 홀로 2군軍을 격파하고,3城을 함락시키고,5郡과 79縣을 평정하여 승상丞相﹑대장大將 각 1명을 포로로 잡았었다.

[四] 집해集解에 서광徐廣이 이르길,「상곡上谷에 있다.」하였고 배인裴駰이 상고하기를, 복건服虔이 말하길 <沮>의 음音은 <조阻>라 하였다.색은索隱에 상고하기를, 지리지地理志에 <조양현沮陽縣>은 상곡上谷에 속한다고 하였다.
정의괄지지正義括地志에 이르길, 「상곡군上谷郡 옛 성城은 규주媯州 회융현懷戎縣 동북東北 120리里에 있다.연燕 상곡上谷은 진秦나라로 인하여 이름이 고쳐진 것이 아니고,한漢나라에 의해 조양현沮陽縣이 되었다.」

**************************************************************************************************************

위의 사료원문에 수록되어 있듯이 한漢의 상국相國인 주발周勃이 노관盧綰의 반란을 번쾌를 대신하여 평정하기 위해 출전하여 노관군盧綰軍을 조양沮陽[四]에서 격파하고 북으로 장성長城[五]까지 추격하였다는 기록이 나와 있습니다.

"燕王盧綰反,勃以相國代樊噲將,擊下薊,得綰大將抵﹑丞相偃﹑守陘[一]﹑太尉弱﹑ 御史大夫施,屠 渾都[二].破綰軍上蘭[三],復擊破綰軍沮陽[四].追至長城[五]"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반란을 일으켰을때 한漢의 조양沮陽이 장성이남長城以南이라는 것으로 한漢의 북쪽 끝이 오르도스사막의 남변에도 미치지 못했음이  명명백백하여졌고 그 위치는 아무리 올려보아도 현 섬서성 연안시일대에 불과한 것 이다. 

1.gif
* 조양이 이동된 것은 확실하다 


영주의 이동.jpg
그렇다고 이런식은 아닌것 같은데....조양의 위치가 이동되고 있슴을 아는 것만으로도 일단은 
소기의 성과이며, 이것을 근거로 역사를 재 구성하면 
발해의 5경의 위치에 대한 재 설정 고민이 생긴다.(어쩌면 정약용의 추측이 맞을지도)

문제는...그럼 만주북부지방이 너무 공지가 되어 버리고, 거기에 남은 유적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조양의 위치는 너무 중요하기에 지속적인 고민이 요구되는데, 일단 한나라 때, 조양이 장성 안쪽 섬서성 일대임은 확실하다. 
조양의 위치에 따라, 고구려의 영역에 너무 큰 영향을 준다. 


기정약용발해 (1).gif

난하요하일대신석기유적지.jpg


tkX4QxB.UH04jGHecZ0Nzg1.jpg
                          천진일대=유성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4-18 23:04
   
그 조양이 아닙니다
朝陽(朝阳)
감방친구 18-04-18 23:06
   
沮陽은 저양
히스토리2 18-04-18 23:09
   
수,당나라때의 <조양造陽>

그런데, 사기史記를 찾아보니 <조양沮陽>

그리고 <朝陽> 이 함정에 계속 빠지네요
히스토리2 18-04-18 23:12
   
근대 연이 쌓은 장성은 또 造陽에서 양평으로 기록이 되어 있으니.......의문입니다.
히스토리2 18-04-18 23:16
   
沮陽과 造陽은 혼용해서 사용된 것 같고,,,또 중국에 발음은 朝陽 造陽이 크게 차이가 안나는데요....우기는게 아니라,한자음이 송 이전에는 오히려 지금 우리가 부르는 한자음과 더 원음이 비슷한 점도 있고, 또 발음기를 틀어보아서 들어도 비슷합니다...그래서 혼동이 있는건지요.

우리도 경기도 광주와 전라도 광주를 자주 혼동하고,,,신촌과 신천을 혼동하고,,, 그런 문제인지 근본적으로 다른 문제인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히스토리2 18-04-18 23:17
   
근데 영주의 조양이 朝陽인건 확실합니다.
히스토리2 18-04-18 23:19
   
燕亦築長城,自造陽至襄平,置上谷、漁陽、右北平、遼西、遼東郡以距胡

전한서

연나라도 장성을 쌓았는데 조양에서 양평에 닿고 상곡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군으로 오랑캐를 막게했다.
히스토리2 18-04-18 23:20
   
이세적(李世勣)의 군사는 유성(柳城 조양(朝陽))을 떠나 형세를 크게 떨치며 회원진(懷遠鎭)으로 나가는 것처럼 하면서, 군사를 몰래 북쪽으로 용도(甬道 샛길)로 하여 고구려가 뜻하지 않은 데로 나가게 하였다. 하4월 초하루 무술에 이세적이 통정진(通定鎭)으로부터 요수(遼水)를 건너 현도(玄菟)에 이르니, 고구려는 크게 놀라서 성읍(城邑)은 다 성문을 닫고 나오지 않았다.
삼국사기
     
감방친구 18-04-18 23:24
   
유성 뒤에 괄호를 달아 조양을 써놓은 것은 원문에는 없는 것으로 학계 통설을 주로 단 것입니다
히스토리2 18-04-18 23:22
   
조양의 옛 이름이 유성인적도 있었는가? 조양은 영주인가? 거기에 영주도호부 혹은 안동도호부가 있었는가?
     
감방친구 18-04-18 23:25
   
님은 영주의 개념부터 먼저 이해하셔야 할 듯 하네요
히스토리2 18-04-18 23:24
   
대청광여도라는 청나라시기지도에 분명히 옛 유성이 천진의 동남쪽에 있다고 했다. 유성 =조양=천진부근?
히스토리2 18-04-18 23:25
   
그 조양은 朝陽일까요? 造陽일까요? 그게 궁금해서요.....
히스토리2 18-04-18 23:26
   
지금도 찾고는 있는데,,,,경상도 영주만 나오네요 ㅠㅠ
히스토리2 18-04-18 23:33
   
영주와 조양 그리고 유성과의 관계를 좀 더 공부하고 돌아오겠습니다. 님의 지적대로 영주에 대한 지식이 짧다보니, 선이 이어지지가 않는것 같습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027
15651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정동) 2..세우고 빼앗기고 되찾은 나… 히스토리2 04-19 1017
15650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정동) 1..세우고 빼앗기고 되찾은 나… 히스토리2 04-19 1473
15649 [한국사] 수사가지고 고구려어가 일본어 계통이라는 것은 억… (5) 고이왕 04-19 867
15648 [기타] 중국사서에 나오는 부여왕 기록 (1) 응룡 04-19 1066
15647 [한국사] 당나라 영주와 평주의 형세도 (9) 감방친구 04-19 2474
15646 [기타] 누르하치<몽고 너흰 유목민이고 우린 농경민이다!&… (7) 응룡 04-19 1463
15645 [기타] 중국 정사에서의 마지막 [발해인] 기록 (4) 응룡 04-19 1176
15644 [한국사] 안시성에 대한 고찰(통설 및 비판) (11) 히스토리2 04-19 2617
15643 [한국사] 안시성의 위치는 의무려산이 실마리가 될 듯합니다 (13) 감방친구 04-18 1919
15642 [한국사] 조양(영주)의 이동경로 (15) 히스토리2 04-18 934
15641 [기타] 소소한 역사탐방 (성북동)... 2 히스토리2 04-18 807
15640 [기타] 소소한 역사탐방 (성북동)... 1 히스토리2 04-18 1288
15639 [한국사] 고지도를 찾아봐도 답이 안 나오네 (4) 감방친구 04-18 923
15638 [기타] 동북아 역사재단 해체 법 시민연대가 금요일 오후 4… (3) 풍림화산투 04-18 786
15637 [기타] 굴욕 끝판왕 .....3명 (11) 히스토리2 04-18 3055
15636 [기타] 굴욕을 당한 왕 .....2 (기타) (2) 히스토리2 04-18 977
15635 [한국사] 굴욕을 당한 왕 .....1 (한국) (6) 히스토리2 04-18 1794
15634 [세계사] 일루미나티가 설쳐봐야 단군(부도지) 손바닥 안이다.… (2) 비가오랴나 04-18 873
15633 [세계사] 일루미나티가 설쳐봐야 단군(부도지) 손바닥 안이다 비가오랴나 04-18 778
15632 [한국사] 고구려 비사성의 위치(시각화 지도) (11) 감방친구 04-18 3971
15631 [기타] 중국에서 청나라에 대한 평가가 그리 좋지 않네요 (8) 응룡 04-18 1060
15630 [한국사] 동아시아 한중일 성(城)의 특징과 차이점 (3) 고이왕 04-18 1072
15629 [기타] 후한말 수당 남송 시대 중국어 (2) 응룡 04-18 660
15628 [한국사] 신라에게 괴롭힘 당하던 일본…신라정벌 거짓역사 … (3) 히스토리2 04-18 1402
15627 [한국사] 성덕왕 시기 서라벌(3D 사진)과 일본정벌 (1) 히스토리2 04-18 1387
15626 [한국사] 당나라 시기 거란 본거지 (3) 감방친구 04-18 918
15625 [한국사] 요사 지리지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감방친구 04-17 82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