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2 18:19
[한국사] 아름다운 한국의 정원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375  

우리나라의 정원에서는 유럽이나 다른 여러 나라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분수가 없는 대신 자연스럽게 조성된 폭포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높은 데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거슬리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한 늘 푸른 상록수를 선호하는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정원에서는 계절의 영향을 받는 낙엽활엽수가 더 많이 눈에 띄는데, 이것 역시 계절의 변화를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는 우리의 자연친화적 성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원의 가장 큰 특징은 그렇게 정원으로 스며든 자연경관을 연못의 배치, 바위와 조각상과 같은 각종 경물(景物), 수목(樹木), 정자의 편액 또는 암각서 등 정원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인문경관으로 탈바꿈시켰다는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정원은 단순한 감상과 휴식의 공간이 아니라 그 정원 주인의 욕망과 정신세계를 상징적 수법으로 구현한 또 다른 성격의 생활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예컨대, 궁궐 정원이나 선비들이 낙향하여 조성한 별서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모난 연못 한가운데 둥근 섬이 떠 있는 모습의 방지원도(方池圓島)형 연못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는 유교적 우주론의 반영이며, 그 연못에 주로 연꽃을 심은 것도 연꽃이 유교에서 이상적 인간형으로 삼은 군자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그런 연못에 3개의 바위들을 심어놓고 삼신산(三神山)으로 부르거나 정원 구석구석에 12개의 크고 작은 자연석을 세워 놓고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이라 이름한 것은 도가 사상의 영향으로서, 당시 사람들이 유한한 인간의 수명과 속세의 현실적 제약을 벗어나 생사의 굴레에 초연한 신선과 같은 삶을 꿈꾸었음을 짐작케 한다.

아울러 정원에 심은 나무들에도 제각기 깊은 뜻이 있어서 은행나무는 공자의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는 장소를 의미하는 행단(杏壇)의 상징이며 소나무, 대나무, 매화 등의 나무들은 지조와 은일의 상징으로서, 그 나무들에서 옛 사람들은 곧은 선비와 고아한 군자의 모습을 보았다.

정자(亭子)나 당(堂), 각(閣), 헌(軒), 재(齋) 등 건물의 편액과 산수정원의 큰 바위나 대(臺) 등의 암각서에 주자나 굴원 등 옛 성현의 글이나 고사(故事)에서 딴 이름을 붙인 것 역시 그들에 대한 선망과 흠모의 표시임과 동시에 자신도 그들처럼 살고자 하는 욕망과 다짐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편액과 각서는 당대 사람들의 생활철학과 사상 또는 현실적 욕망을 고스란히 함축하고 있는 정신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이라 할 것이다.

maxresdefault.jpg

낙천정.jpg

보길도4.jpg

보길도1.jpg

rear_garden00.jpg

K2015042819743866.jpg

jbcaesar_151399_2[458570].jpg

seoul_07_02.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뚜리뚜바 18-04-22 21:51
   
ㅎㅎ 제가 조경하는 입장에서 이 자료가 올라온건 대단히 반갑네요. 세계에 자신만의 사상과 정신을 가진 정원 문화를 가진 나라는 사실 몇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런면에서 신선사상, 음양오행 등의 불교, 도교, 유교의 철학적 세계관이 담겨있는 정원들의 뒷이야기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이 철학적 관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각 계층마다의 정원도 그 시대별로 살펴보면 흥미롭습니다. 궁궐 정원, 서원 정원, 민가 정원, 전통 마을 등 현재도 남아있는 곳이 많아 볼 곳이 참많습니다. 지금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려 시대에는 정원이 정말 휘황찬란했다더군요. 조선과는 비교도 할수 없을 만큼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특히 의종때는 나라는 말아먹었지만 건축, 정원 하나만큼은 끝장났다더라고요.
아무튼 정원쪽도 시간되시면 동양조경사 한번 보심을 추천해드립니다. 삼국시대 백제나 신라~ 지금 안압지만 봐도 신선사상이 굉장히 잘 발달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수 있죠 ㅋ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168
15705 [한국사] 역사를 움직이는 힘- '무역' (고구려와 당나라… (1) 히스토리2 04-24 1645
15704 [한국사]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 (10) 꼬마러브 04-23 1963
15703 [기타] 비내리는 궁궐의 풍경 히스토리2 04-23 1719
15702 [한국사] 비오는 날 가보고 싶은 근대 건축물들 히스토리2 04-23 943
15701 [한국사] 몹시 혼란스럽고 복잡하네요 (1) 감방친구 04-23 1028
15700 [기타] [부도지역법 응용] 요(7일, 담장).14만4천 (1440분= 하루 비가오랴나 04-22 877
15699 [한국사] 역사는 현재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14) 히스토리2 04-22 1261
15698 [한국사] 한국의 개화기 궁궐 내부 히스토리2 04-22 2976
15697 [한국사] 한국의 궁궐 (야경) (1) 히스토리2 04-22 1287
15696 [한국사] 아름다운 한국의 정원 (1) 히스토리2 04-22 1376
15695 [한국사] 아름다운 청기와 건물 산책 (2) 히스토리2 04-22 2389
15694 [한국사] 광해군의 재위기의 상징 인경궁 히스토리2 04-22 2395
15693 [한국사] 무경총요로 본 안시성과 거란 동경의 위치 (20) 감방친구 04-22 2958
15692 [한국사] 대한제국 성립 후, 황제국으로서 지정한 5악 5진 4해 4… 히스토리2 04-22 1034
15691 [한국사] 안시성과 주필산 (3) 감방친구 04-22 1316
15690 [한국사] 대명일통지로 본 고구려 각 성의 위치 (3) 감방친구 04-22 3196
15689 [한국사] 독사방여기요로 본 고구려 주요 성의 위치 (2) 감방친구 04-22 2591
15688 [한국사] 성경강역고로 본 고구려 주요 지명 위치 (3) 감방친구 04-22 1692
15687 [한국사] 고구려 음악 (6) 호랭이해 04-22 882
15686 [한국사] 인조의 삼전도 굴욕과 비교도 안되는 선조의 굴욕 (3) 히스토리2 04-22 2536
15685 [중국] 화번공주....중국역사의 실제얼굴 히스토리2 04-21 2340
15684 [한국사] 한 요동군 양평현 관련지 (7) 감방친구 04-21 1441
15683 [한국사] 한원 동이전의 안시성 언급 기사 (8) 감방친구 04-21 1120
15682 [한국사] 한국의 영토는 남북 삼천리가 맞는가? (사천리로 기… (18) 히스토리2 04-21 2112
15681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세검정에서 백석동천을 지나 환… 히스토리2 04-21 1006
15680 [기타] 몽골을 고전하게 만든 남송 (5) 응룡 04-21 1356
15679 [한국사] 이 그림에서 신기한걸 발견했네요... (15) 북명 04-21 1484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